• 한국문화사
  • 33권 삶과 생명의 공간, 집의 문화
  • 1 전통적인 취락의 입지 원리와 풍수
  • 03. 전통적인 입지 원리로서의 풍수와 취락
  • 마을과 풍수
  • 2.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오록리 창마
이용석

오록리는 경상북도의 최북단에 위치한 봉화군에서도 가장 북쪽에 위치하며, 우리나라 등줄기 산맥인 백두대간의 높은 산자락을 끼고 있는 곳이라 교통이 불편하여 사람들의 발길이 쉽게 닿을 수 있는 곳은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그만큼 세상의 때를 덜 타고 비교적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는 말이 될 수도 있다.

물야면의 면 소재지인 오록리 일대는 내성천의 작은 지류가 열어놓은 평탄한 골짜기를 따라 자리하고 있다. 마을 남쪽으로 솟아 있는 만석산과 천석산의 좁은 수구(水口)를 제외하면 안쪽으로는 사방 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안은 비교적 넓게 트여 있는 호리병 모양이다. 논농사를 크게 지을 만한 너른 평지도 없고 외부와는 동떨어진 궁벽한 농촌이지만, ‘물야(物野)’라는 이름처럼 들에서 나는 곡식과 산에서 얻을 수 있는 임산물들이 다양해서 풍족한 삶은 아니더라도 안정적인 생활을 꾀하기에는 부족함이 없는 곳이다.

확대보기
오록리 마을 전경
오록리 마을 전경
팝업창 닫기

오록리 서북쪽에는 봉황산(鳳凰山)이 있는데, 봉황산은 지금의 봉화군과 영주시의 경계이자 해동 화엄종찰인 부석사(浮石寺)를 품고 있는 주산이다. 봉황은 예로부터 상서로움을 상징하는 상상의 새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큰 임금이나 성인의 등장을 알리는 징조라 여겨졌다. 오록리(梧麓里)의 마을 이름에 ‘오동나무 오(梧)’자를 넣은 것은 봉황이 멀리 날아가지 않고 마을에 오랫동안 머물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에서 비롯되었다. 봉황은 오동나무에 머물며 대나무 열매를 먹고 영천(靈泉)의 물을 마시며 산다고 전하는데, 이웃한 오전리(梧田里)의 마을 이름에 ‘오’자가 들어간 것도 그 때문이다.

오록리를 중심으로 이 골짜기 안쪽으로는 다양한 성씨들이 오랜 세월을 함께 하며 살아왔지만, 그 중에서도 풍산 김씨(豊山金氏)의 명망이 높다. 풍산 김씨는 오록리의 자연 마을 중의 하나인 창마(창마을)에 가장 많이 살고 있는데, ‘창마’는 조선시대 구휼미를 보관하던 창고가 마을에 있었던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지금은 외지로 나간 주민들이 많아 그 수가 50호에도 못 미치지만, 여전히 풍산 김씨는 마을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풍산 김씨가 이곳에 터전을 마련하게 된 것은 17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마을 입향조인 노봉(蘆峯) 김정(金, 1670∼1737)이 1696년(숙종 22) 후손들이 안정된 삶의 터전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이곳을 세거지로 삼은 데서 비롯되었다. 풍수에 조예가 깊었던 노봉은 마을의 좌청룡에 해당하는 산줄기의 흐름이 약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석축을 쌓고 긴 숲을 조성하였다고 전한다. 이 숲은 좌청룡의 맥을 대신하여 마을 입구까지 내려왔다 하여 용머리숲이라고 불린다. 이처럼 땅의 모자라고 지나침을 채우고 눌러주는 풍수의 방책을 비보와 압승(壓勝)이라 하는데, 오록리에서는 마을 이름에 ‘오’자를 넣은 지명 비보와 함께 마을 숲 비보로 보다 완전한 땅의 조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이 용머리숲과 함께 어울리는 숲이 있으니, 바로 마을 앞들 가운데 나지막히 솟아 있는 독산(獨山)이다. 땅의 생김새를 두고 그 땅의 기운을 읽는 풍수의 형국론으로 볼 때, 용머리숲은 길게 뻗은 붓에 그리고 마을 앞들 가운데 솟은 독산은 책상 위에 놓인 연적(硯滴)에 견줄 수 있다.

책상 위에 놓인 붓과 연적은 글을 쓰는 문필(文筆), 선비의 모습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마을 풍산 김씨 문중에서는 조선 말까지 과거 대·소과에 70여 명의 인물이 배출되었는데, 이를 두고 마을 사람들은 땅의 모양새가 지닌 땅의 기운이 이곳에 터전을 두고 있는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 풀이하고 있다. 그리고 여전히 문필이 끊어지지 않을 것임을 믿고 있는지도 모른다.

확대보기
용머리숲
용머리숲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독산(獨山)
독산(獨山)
팝업창 닫기

지난 1996년은 노봉이 이곳에 터를 잡은 지 300년이 되는 해였다. 마을 입구의 용머리숲 옆에는 아담한 기념비가 세워져 있는데, 노봉의 행적을 기리고 풍산 김씨의 오록리 300년을 기념하는 내용이 쓰여 있다. 노봉은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목민관으로 치적을 많이 남겼다고 전하는데, 제주목사로 있을 때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푼 것에 감사하여 제주도에서도 추모비를 세우는 데 정성을 모았다고 한다. 지금은 대부분 적송으로 바뀌었지만 용머리숲은 노봉이 제주에서 가져온 해송의 솔씨를 심어서 조성된 것이라고 한다.

이 숲과 함께 마을 입구에 위치한 물야초등학교에는 2001년 산림청이 지정한 ‘아름다운 학교 숲’이 있다. 소나무, 느티나무, 향나무 등 약 600여 그루가 어우러진 숲은 학교와 마을주민, 행정기관이 함께 가꾸고 있다. 자연을 아끼고 숲을 사랑하는 옛 사람들의 전통이 지금까지 이 마을에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