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3권 삶과 생명의 공간, 집의 문화
  • 4 주 생활용품
  • 03. 민속 기물과 가구
  • 1. 앞닫이 궤와 윗닫이 궤
정대영

궤(櫃)는 조선시대 전 지역에서 일상적으로 쓰였던 보편적인 가구이자 가장 단순한 가구이다. 궤는 앞닫이 궤와 윗닫이 궤로 나누는데 개폐 위치에 따라 앞면이면 앞닫이 궤, 윗면이면 윗닫이 궤로 칭한다. 반닫이는 윗면이든, 앞면이든 문판이 그 면적의 반쪽이 여닫이라는 의미로 부르는 명칭이다.

앞의 두 조건을 다 갖춘 육면체 궤 모두를 반닫이 궤라 할 수 있다. 앞닫이 궤는 후대까지 많이 제작 사용하였기 때문에 ‘반닫이 궤’를 앞닫이 궤로 인식하고 있다. 모두 단일한 육면체로 구성되어 그 형태만으로는 용도 구별이 어렵다.

확대보기
앞닫이 궤
앞닫이 궤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윗닫이 궤
윗닫이 궤
팝업창 닫기

궤의 용도는 책, 곡식(씨앗), 엽전(돈), 옷[衣], 그릇, 제사용구(제기), 의료, 화살 등 집에서 중요하다고 여긴 모든 것을 보관하였다. 윗닫이 궤는 용도 대상물 중 엽전, 곡식, 그릇 등을 위에서 식별하기에도 좋고 넣고 꺼내기 편리한 실용성을 갖추고 있다. 그 수량은 앞닫이 궤에 비해 적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