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4권 음악, 삶의 역사와 만나다
  • 1 음악의 근원
  • 02. 음악과 이념
  • 조선의 예악정치, 그 이념
송지원
확대보기
번암 채제공 초상화
번암 채제공 초상화
팝업창 닫기

예악정치는 조선의 역대 제왕이 한결 같이 추구하고자 한 노선이었다. 문물 정비의 일환으로 예와 악을 정리하고 새로운 음악을 창제한 세종의 업적과 성종·숙종·영조대를 거쳐 정조대에 이루어진 예악의 재정비를 위한 여러 정책은 모두 예악정치를 이상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결과물이었다. 그러나 예악정치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예’에 비해 ‘악’에 소홀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예는 잘 갖추어졌어도 악은 미비하게 되어 예와 악이 균형을 잃는 경우가 많았다.

정조대의 명신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은 “예와 악은 어느 하나도 폐할 수 없는데, 오로지 예학만이 극성하고 악학을 익히지 않아 폐단이 있다”라는 말을 남긴 바 있다. 이처럼 조선시대에 예와 악의 불균형을 지적하는 논의는 매우 많았고, 악이 미비하다는 이야기가 대세였다.

악이 미비하게 된 데에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다. 이는 예와 악의 본질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기도 하며, 예와 악이 사회적으로 소통되는 양상에 서로 차이가 있는 데도 원인이 있었다. 또 한편으로는 지극히 현실적인 이유 때문이기도 하였다. 예컨대 전란을 치른 후 악기가 훼손되고, 음악을 연주할 악생이나 악공이 다시 궁으로 돌아오지 않아 음악을 연주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음악을 연주한다고 하더라도 연습이 제대로 되지 않아 음악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적도 있었다. ‘악(樂)’과 ‘악을 하는 사람’에 대한 이분화된 시각도 예와 악이 균형을 잃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악의 중요성은 인정하지만 궁중에서 악을 담당하는 사람과 그 기예에 대하여는 낮게 평가하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악이 소통되는 특성은 한편 예와 악이 불균형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지만, 예와 악을 통한 예악정치의 지향만은 조선조 내내 변함이 없었다. 성음이 치도(治道)와 관계된 것으로 파악하였던 조선조 역대 제왕들이 예와 악의 균형적 소통을 중시하였던 까닭이다. 『예기』 「악기」에서 강조하는 ‘음악은 정치의 반영’이라는 화두가 현실 정치에 그대로 드러나는 것으로 파악하였던 조선의 왕들은 조화로운 음악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음악은 예와 함께 어우러져 조선조 궁중의례에 충실히 반영됨으로써 외부로 드러나게 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