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4권 음악, 삶의 역사와 만나다
  • 1 음악의 근원
  • 04. 음악과 경제
  • 예술후원자들
송지원

조선 후기 예술 발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집단으로 예술후원자들이 있었다. 서양에서는 이들을 ‘패트런(patron)’이라는 용어로 규정하고 있다. 패트런의 사전적 정의는 ‘보호자의 역할을 하는 사람, 예술가나 사회사업·학술 단체 따위를 재정적으로 원조하는 사람’이라 되어 있는데,38) 『Webster』 사전 참조. 이는 ‘후원자’, ‘보호자’, ‘장려자’, ‘은인’ 등의 개념으로서 ‘스폰서(sponser)’와 유사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조선시대의 문헌 기록에는 패트런의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보이는 인물의 유형이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이들을 ‘예술후원자’라는 용어로 규정해 놓지는 않았다. 따라서 예술후원자로 상정할 만한 활동 양상을 보이는 이러한 인물군(人物群), 다시 말하면 예술가에 대한 스폰서 역할을 담당한 개인, 집단, 기관 등을 범칭 ‘예술후원자’로 규정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이들의 후원이 예술 전반에 걸쳐 이루어졌고, 그러한 후원이 예술을, 예술작품을 가동시키는 큰 힘의 하나가 되었음은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직업으로서의 음악 활동으로는 안정된 생활을 유지할 수 없던 음악인들에게 물적 토대를 제공하는 무리의 존재는 중요하다. 아무런 후원 없이 홀로 서야 하는 음악인들의 경제적 위축이 자칫 예술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에서 재력있는 후원자의 물질적 후원은 재능있는 예술가들에게 큰 힘이 되었음에 분명하다. 물질적 후원에서 더 나아가 후원자들과의 교류를 통한 지적, 정신적 후원이 예술가들에 미친 영향 또한 간과할 수 없다는 점에서 후원자들을 살펴보아야 한다.

예술, 그 중에서도 음악의 유통은 일정한 시간과 공간, 그리고 그것을 연주할 예술가와 그것을 감상할 청중이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러한 시·공간을 작동시키는 동력 가운데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가 곧 후원자이다. 후원자의 요구에 의해 연행되는 음악은 곧 특정 집단이 추구하는 예술양식, 혹은 예술 취향을 반영하므로 그 음악에 시대성, 혹은 계층성을 담게 된다. 조선 왕실의 후원을 받는 장악원 소속의 음악인들이 왕실에서 유통되는 아악과 당악 향악에 속하는 궁중 음악을 연주하고, 민간의 후원자로부터 후원을 받는 음악인이 여타 민간 음악을 소화해 내는 현실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이처럼 예술후원자의 층위는 넓은 편이다. 국가, 왕실, 기관, 한 개인, 집단 모두가 후원자가 될 수 있었고, 이들 가운데 어떠한 존재에게 어떠한 목적으로 후원을 받았는지 여부에 따라 수혜자가 주로 연주할 혹은 생산할 음악의 종류, 양식을 좌우하기도 한다. 후원자의 성향에 따라서는 수혜자에게 큰 요구 없이 음악 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만을 조성해 주고, 특정 장르의 음악에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경우도 있다.39) 조선 후기의 중인서리 집단의 참여와 후원에 의해 가곡의 쟝르적 발달이 이루어졌던 것이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 후원자들의 이러한 역할이 음악 각 분야의 개체적 발달에 일정한 공헌을 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