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4권 음악, 삶의 역사와 만나다
  • 2 음악과 일상 생활
  • 05. 풍자와 음악: 탈놀이 음악
  • 풍자와 음악: 탈놀이 음악
  • 탈놀이의 종류
이용식

탈놀이는 벽사진경의 민간신앙적 의미와 놀이로서의 유희적 의미를 동시에 갖는 이중적인 성격때문에 명절에 연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탈놀이는 연행시기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① 상원형(음력 1월 15일): 북청사자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 고성오광대, 통영오광대, 수영야류, 동래야류

② 초파일형(음력 4월 8일): 개성탈춤

③ 단오형(음력 5월 5일): 강령탈춤, 봉산탈춤, 은율탈춤, 양주별산대놀이, 강릉관노가면극

④ 백중형(음력 7월 15일): 송파산대놀이

이렇게 세시풍속과 맞물려 연행되는 탈놀이는 남녀노소가 즐기는 대표적인 전승연희로 정착할 수 있었던 것이다.

탈놀이는 또한 지역적으로도 그 연희 방법이나 음악이 구분되기도 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확대보기
하회별신굿 탈놀이
하회별신굿 탈놀이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강릉관노가면극
강릉관노가면극
팝업창 닫기

① 해서지방의 탈춤: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등

② 경기지방의 산대놀이: 서울본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③ 경상도 북부지방의 별신굿탈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

④ 경상도 남부지방의 야류(野流)와 오광대(五廣大): 수영야류, 동래야류, 고성오광대, 통영오광대, 가산오광대

⑤ 관북지방의 사자놀이: 북청사자놀이

(표)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탈놀이
연번 종목 지정일시 지역
제2호 양주별산대놀이 1964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유양리
제6호 통영오광대 1964 경상남도 통영시
제7호 고성오광대 1964 경상남도 고성군
제15호 북청사자놀이 1967 함경남도 북청군
제17호 봉산탈춤 1967 황해도 봉산군
제34호 강령탈춤 1970 황해도 강령군
제61호 은율탈춤 1970 황해도 은율군
제49호 송파산대놀이 1973 서울시 송파구
제43호 수영야류 1971 부산시 수영구
제69호 하회별신굿 탈놀이 1980 경상북도 안동시 하회마을
제73호 가산오광대 1980 경상남도 가산

탈놀이는 오래전부터 민중의 놀이로서 각광받았고, 그 뛰어난 예술성으로 인해 많은 종목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최근에는 서울의 애오개(아현동)본산대놀이나 경상남도의 마산오광대·진주오광대 등도 발굴되어 전승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외에도 강릉의 관노가면극과 각 지방의 굿에서 연행되는 굿놀이가 있는데, 황해도 평산소놀음굿이나 경기도 양주소놀이굿, 그리고 동해안에서 연행되는 범굿이나 남해안의 탈굿 등이 이에 속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