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4권 음악, 삶의 역사와 만나다
  • 4 전환기의 삶과 음악
  • 02. 서양 음악의 유입
  • 창가에서 가곡으로
이소영
확대보기
서양 음악의 선구자 홍난파(1898∼1941)
서양 음악의 선구자 홍난파(1898∼1941)
팝업창 닫기

우리나라에서 가곡은 원래 조선시대에 발달한 <초수대엽>, <이수대엽>과 같은 전통 성악 장르를 일컫는 말이었다. 그런데 현재 우리에게 익숙한 가곡은 <옛동산에 올라>, <성불사의 밤> 등 소위 ‘한국 가곡’이라 일컬어지는 노래를 의미한다. 이 두 장르는 가곡이란 말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음악 어법에 있어서는 확연히 다르다. 전통 가곡은 말 그대로 전통 음악 양식으로 이루어진 성악 장르를 가리키는데 비해 한국 가곡의 줄임말로 일컬어지는 가곡은 서양 조성 음악의 한 갈래인 예술가곡을 의식하며 창작된 근대적 성악 장르를 의미한다. 후자는 1920년대 들어 창가가 동요, 가곡, 대중가요 등으로 분화 발전하는 가운데 예술적인 노래 양식으로 정착된 음악 장르를 일컫는 용어라 할 수 있다. 1929년에 출판된 『안기영 작곡집 제1집』은 초기 예술가곡의 예라 할 수 있다.

초기 예술가곡 중 가장 많이 애창된 노래는 홍난파의 <봉선화>이다. 원래 이 곡은 1920년에 <애수>라는 바이올린 곡으로 발표되었다. 1926년에 김형준이 ‘한국의 민족혼’을 상징하는 봉선화에 대한 가사를 붙였고 제목도 <봉선화>를 거쳐 <봉숭아>로 바뀌어 전해지고 있다.222) 민경찬, 앞의 책, p.103. 홍난파는 이 외에도 <봄처녀>, <옛 동산에 올라>, <사랑>, <장안사>, <금강에 살으리랏다> 등 사람들에게 널리 애창되는 가곡을 다수 발표하였다.

확대보기
서울시 종로구 홍파동 홍난파 가옥
서울시 종로구 홍파동 홍난파 가옥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홍난파 가옥 내부 전시실
홍난파 가옥 내부 전시실
팝업창 닫기

1920년대 우리나라 가곡을 개척한 작곡가들은 홍난파 외에도 현제명, 안기영, 박태준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은 모두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나 선교사에게 음악을 배웠다는 공통점을 가졌다. 대표적인 가곡으로는 박태준의 <동무생각>, 안기영의 <그리운 강남>, 현제명의 <고향생각>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가곡은 창가에서 벗어났지만 여전히 단순하고 소박한 초기 한국 가곡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이 유절 형식이며 가사에서 서정성과 낭만성을 지향하고 있으며 한국말의 특징과 서양 음악의 문법이 충돌하여 가사와 음악의 액센트가 잘 맞지 않는 등 전문적인 예술가곡으로서의 면모보다는 딜레탕티즘으로 표현되는 교양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1920년대와 30년대 정착된 한국 가곡은 동요가 그랬듯이 비록 서양 음악적 어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20세기 전체에 걸쳐 전 국민적으로 친근하고 익숙한 노래로서 민요적인 기능을 톡톡히 해왔다는데 그 의미가 크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