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5권 ‘몸’으로 본 한국여성사
  • Ⅱ. 유순한 몸, 저항하는 몸-3 타자화된 하층 여성의 몸
  • 01. 성(姓) 없이 이름만 가진 사람들
이성임

조선시대는 계층의 구분이 엄격하였던 사회로 최하층에 노비가 위치한다. 조선시대 노비는 소속 기관에 따라 공노비와 사노비로 구분된다. 공노비란 국가 기관에 귀속된 노비로 사원노비[寺奴婢]·역노비·관노비이고, 사노비란 개인이 소유하던 노비이다.

조선시대에 사노비는 주인의 재산이었다. 『경국대전』에 15∼50세의 노비의 가격을 저화 4천 장으로 정하고 있는데, 이는 쌀 20석 또는 면포 40필에 해당한다. 당시 말 한 마리의 가격이 면포 30∼40필 정도였으니, 노비는 말보다 조금 비쌌던 셈이다. 노비는 이처럼 주인의 재산으로서 독립적인 인격의 주체가 되지 못하였다.260) 이영훈, 「노비의 혼인과 부부생활」, 『조선시대 생활사』 2, 역사비평사, 2000, p.102. 고려시대 10% 정도에 불과하던 노비는 15∼17세기에는 급격히 늘어나 전체 인구의 30∼40할 정도를 차지하게 되었다.261) 이영훈, 「한국사에 있어서 奴婢制의 추이와 성격」, 『노비·농노·노예』, 일조각, 1998, pp.365∼366. 그 중의 절반이 여비였다면 그 수효도 결코 적지 않은 것이다. 그러면 이제 여비가 하던 일과 이들의 혼인, 그리고 그 안에 내포된 사랑과 인간적인 고뇌가 어떠하였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TV 사극 <짝패>를 보면 여비로 ‘큰년이’ ‘작은년이’ ‘막순이’ ‘덴년이’ ‘삼월이’ 등이 등장한다. 아마 큰년은 커서, 작은년은 작아 서, 막순이는 아들을 기원하는 의미로, 덴년이는 데인 곳이 있어서, 삼월이는 3월에 태어나 붙여진 이름일 것이다.262) 金容晩, 『朝鮮時代 私奴婢硏究』, 集文堂, 1997, pp.47∼56. 어쨌든 조선시대 노비의 이름은 성+이름의 형태를 띠지 않고, 이름만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노비의 이름은 노비의 주인이나 부모가 지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글 이름으로 쉽게 부르다가 분재기·매매문기·호적자료 등에 등재되면서 한자를 차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확대보기
속량문서
속량문서
팝업창 닫기

조선시대 양반 여성들도 출생하여 혼인 이전까지 이름이 있겠지만, 대부분 혼인 이후는 본관+성씨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 양반 여성의 이름은 그리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비의 경우 재산으로서, 부세 부담자로서 관련 문서에 등재되어 여비의 이름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노비 이름은 한자어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한글 이름에 한자의 뜻과 음을 차용하여 불렀으므로 역사학보다는 국어학이나 음운학 분야의 연구가 현실을 보다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다.

경상도 대구부 호적의 분석 결과에 의하여 노비명 작성의 경향과 빈도를 파악할 수 있다.263) 이하는 車載銀의 연구를 바탕으로 기술하였다(「대구부 동상면 호적의 고유어계 노비명에 관한 계량적 고찰」, 『大東文化硏究』 66, 2009). 대구부 동상면의 노비 이름으로 남노(男奴) 이름 23,041, 여비(女婢) 이름 37,944를 합하여 총 60,985의 노 비명이 추출되었다. 37,944의 여비 이름 중 30회 이상 등장하는 수효는 5,018로 전체의 13%에 이르는데, 이를 보면 조시(助是, 조이)가 2,633으로 가장 많으며, 다음 소사(召史, 조이)가 437, 막랑(莫郞)이 230, 조시(早是, 조이)가 215, 막녀(莫女)가 130, 자은연(自은連은, 년)이 123, 건리덕(件里德, 리덕)이 93, 막례(莫禮)가 97, 막심(莫心)이 85, 막내(莫乃)가 69, 강아지(江牙之)가 63, 잉녀(芿女, 늦녀)가 55, 막절(莫切)이 53, 아지(牙只, 아기)가 53, 개덕(介德)이 45, 건리개(件里介, 리개)가 44, 개이(介伊, 개이)가 43, 잉절(芿切, 늦절)이 43, 막조시(莫助是, 막조이) 41, 잉단(芿丹, 늦단)이 39, 막금(莫今)이 37, 막진(莫進)이 37, 말질례(末叱禮, 긋례)가 36, 개진(介進)이 35, 잉질분(芿叱分, 늣분)이 34, 감덕(甘德)이 33, 막춘(莫春)이 33, 자금(自今, 쟈금)이 33, 자음덕(者音德, 덕)이 33, 잉질덕(芿叱德, 늣덕)이 32, 잠심(岑心)이 31, 개분(介分)이 30이다. 이들 비명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었다.

확대보기
노비들의 명단(노비안)
노비들의 명단(노비안)
팝업창 닫기

① 아무개를 지칭하는 것 : 악지(岳只, 아기), 조시(助是, 조이)

② 단산기원 : 막금(莫金, 막쇠), 말질춘(末叱春, 긋춘)

③ 잠과 관련된 것 : 자음아(者音牙, 아), 자음옥(者音玉, 옥), 자음진(者音進, 진)

④ 동물을 비유한 것 : 개덕(介德), 소아지(小阿只, 송아지), 벌어지(伐於之, 버 러지)

⑤ 외모와 관련된 것 : 고읍단(古邑丹, 곱단), 여희덕(汝邑德, 넙적), 소ㄱ덕(小ㄱ德, 쟉덕)

⑥ 암석과 관련된 것 : 돌진(乭進), 암외(岩外, 바위)

⑦ 소유와 관련된 것 : 언진례(彦叱禮, 엇례), 어질금(於叱今, 엇금)

⑧ 도구와 관련된 것 : 광자리(光自里, 빗자루), 소고리(小古里, 소코리), 화리덕(禾里德, 화덕)

⑨ 더부살이와 관련된 것 : 더부덕(加夫德), 담사리(淡沙里)

⑩ 장소를 나타내는 것 : 구지(九之, 구디=구덩이), 노은덕(老근德, 논덕), 부엌(夫億, 부엌), 평을분(坪乙分, 들분)

대체적으로 이들 노비명은 인성(人性) 보다는 물성(物性)이 강조되었다. 노비명은 남녀 모두에게 단산기원(딸은 그만 낳자)·더부살이·도구·동물·소유·암석·아무개·외모의 의미가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남노명은 여비명에 비하여 금기·쇠가, 여비명은 잠·장소가 많이 나타난다. 남노의 경우 똥이나 성기와 관련된 고유어가 직접적으로 드러나는데 비하여, 여비명에서는 일정하게 금기시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