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6권 한 해, 사계절에 담긴 우리 풍속
  • 3 세시 풍속과 생업: 생산
  • 04 생업과 세시의 장기 지속과 단기 지속
  • 6월
  • 20세기 6월 세시와 생업
주강현

보리 수확이 완전히 끝나고 모심기·고구마 이식·김장용 무우 배추심기·밭 김매기 등으로 바쁜 철이다. 유두 풍습이 주목된다. 유두날 논고사와 충제를 지내는 전통은 전국적이다. 논에 기름 냄새를 풍기기 위해 전을 부치는 풍습도 전국적이다. 벼가 웃자라는 조건에서 유두벼 패인 것을 가지고 유두상을 차려 농사의 풍요를 기원함도 전국적이다.

그러나 6월 세시의 최대는 역시나 세벌 김매기다. 두레를 조직하여 세벌김을 매면서 한해 농사의 가장 힘겨운 과정을 거치는 시기이다. 복날 풍습은 세벌 김매기 와중에 벌어지는 가장 뜻깊은 휴일이기도 하다. 복날은 머슴 등을 위로하는 성격도 지닌다. 참외가 많이 나오는 시절인지라 전국적으로 참외제, 혹은 원두막제가 확인된다. 6월 6일 유두와 복날에 세시가 집중된다.

【6월 6일(유두)】
지역 세 시
강원 일꾼들에게 유두상 차리기(강원도), 참외제(강원도 동해), 부침개 부치기(강원도 춘천), 유두상(강원도 양양), 유두할애비(강원도 영월), 유두 고사(강원도 영월·원성), 유두날보고 풍흉 점치기(강원도 영월), 호박잎 두드리기(강원도 영월), 밀국수 먹기(강원도 홍천), 논에 가서 전 부쳐 먹기(강원도 화천), 호미씻이(강원도 삼척), 씨종자 해먹기(강원도 강롱), 유두조·유두콩·유두벼(강원도 강롱), 논굿(강원도 강릉), 쓰레씻이(강원도 속초), 머슴들 유두연(강원도 속초), 유두상차리기(강원도 속초)
충청 원두제(충청북도 청주), 참외제(충청북도 충주), 물고 고사(충청북도 영동), 논에 기름 냄새 피우기(충청북도 청원), 머슴 대접하기(충청북도 괴산), 충제(충청북도 제천·괴산·단양)
【6월 6일(유두)】
지역 세 시
경상 초군들 놀리기(경상북도 경주), 유두 국수(경상북도 구미), 못제(경상북도 구미), 용제(경상북도 구미·선산·안동), 저릅대에 송편 꽂아 논에 가져다두기(경상북도 금릉), 유두 송편(경상북도 선산), 일꾼 떡해주기(경상북도 울진), 뜸부기 점(부산), 유두 날씨 점(부산), 참외제(부산), 유두제(부산), 논고사 논꼬시(경상남도 거창·함양), 논굿(경상남도 남해), 유두비 온다(유두물 진다)(경상남도 남해)
【6월 20일】
지역 세 시
제주 닭 잡아먹는 날(제주·북제주·남제주·서귀포)
【6월 30일】
지역 세 시
경기 두레 파접(경기도)
【삼복】
지역 세 시
강원 복때림(일꾼들 대접하는 날)(강원도 속초), 밭 고사(강원도 태백·평창), 논에 가서 소당떡 먹기(강원도 화천)
충청 복다름(충청남도 공주), 복달입(충청남도 천안·아산), 복다림(충청남도 서천·연기·부여), 복날 비보기(충청남도 예산), 복달임(충청북도 제천·청주·충주·괴산·보은)
전라 복달음(전라북도 진안·부안), 복대름·복달임(전라남도 나주·남원)
경상 복달음(경상북도 경산), 복제(경상북도 구미), 개잡아 회치하기(경상남도), 삼복비 점(부산), 복날 날씨 점(부산), 복달임(경상남도 하동·합천)
제주 복물맞이, 복개장
【초복】
지역 세 시
강원 밭 고사(강원도 태백), 복제(강원도 철원), 머슴 천렵보내기(강원도 홍천), 복날 기풍(강원도 삼척), 감자 부치기(강원도 정선)
충청 대추 풍흉 점치기(충청남도 부여)
경상 논둑 용제(경상북도 안동), 보제(경상북도 선산)
【중복】
지역 세 시
강원 무·배추 파종(강원도), 메밀 심기(강원도 인제), 감자 부치기(강원도 정선)
충청 메밀각종 나물 밭에 심기(충청남도 금산)
경상 보제(경상북도 안동)
【말복】
지역 세 시
경기·강원 호미씻이(경기도 남양주), 복제(강원도 철원)
【월내】
지역 세 시
강원 호미씻이(강원도 삼척), 질먹기(강원도 삼척·고성), 참이밭제(강원도 춘천), 원두제(강원도 홍천), 참외밭 신주 위하기(강원도 홍천), 참외밭 고사(강원도 화천), 감자 캐기(강원도 화천·명주), 두레 농상기(강원도 춘천), 질 쓰레씻이(강원도 고성), 김매기와 오독떼기(강원도 강릉), 두레기싸움(강원도 횡성), 씨종자 해먹기(강원도 강릉), 논맥이기(강원도 동해), 두벌 김매기(강원도 명주)
충청 세벌 김매기(대전, 충청남도 공주), 삯고지 두레(대전), 참외제(충청남도 공주·보령·서천·예산·아산), 자랑포기로 강우량 점치기(충청남도 공주), 초닷새에 밭 예쁘게 매기(충청남도 금산), 정자나무 아래 두레 공사(충청남도 논산), 두레 공론(충청남도 부여), 논매는 두레(충청남도 보령), 맥이두레(충청남도 부여), 옴뱅이(충청남도 부여), 두레 싸움(충청남도 논산), 달머슴(충청남도 부여), 노나깽이 끊어 생필품 만들기(충청남도 당진), 원두제(충청남도 당진·천안), 공좌상집에서 셈보기(충청남도 당진), 써레부심(충청남도 연기), 논에 기름 냄새 피우기(충청남도 연기), 높과 품앗이 김매기(충청남도 연기), 농신제(충청남도 아산), 피 보고 풍흉 점치기(충청남도 청양), 호미씻이(충청북도 제천), 원두제(충청북도 청주), 두레기 싸움(충청북도 청주), 논두렁에서 부침개 부치기(충청북도 보은), 논두렁에 짠지국 버리기(충청북도 청원), 부침개 냄새 피우기(충청북도 옥천·보은·청원)
전라 두레 공사(전라북도 익산), 만두레(전라남도 남원·장흥·광주)
경상 장원례(경상북도 경주), 물싸움(경상북도 상주), 복제(경상북도 봉화), 풋구(경상북도 구미·예천), 마당닦개(경상북도 예천), 수박제(부산), 꼼배기놀이(경상남도 김해), 써레씻이(경상남도 남해), 여자들 두렛삼(경상남도 남해)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