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6권 한 해, 사계절에 담긴 우리 풍속
  • 4 세시 풍속과 종교
  • 02. 불교와 세시 풍속
  • 불교의 주요 월별 풍속
  • 4. 입춘과 동지의 불공
진철승

불가에서는 입춘에 입춘 불공을 올린다. 본래 불가의 행사는 아니지만, 한 해의 첫 시기에 연중의 길복을 비는 대중의 소망에 부응하기 위해 조선 중기 이후 성행한 것으로 보인다. 정조 때에는 『부모은중경』의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아아나 사바하”라는 진언을 인쇄해 나누어주었고, 이를 문설주에 붙여 재앙소멸과 만복도래를 기원한 것은 입춘과 불교의 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절에서는 이날 사시 불공을 마치고 삼재 풀이를 한다. 쌀 한 말, 밥 세 그릇, 내의 한 벌, 백지 한 권, 삼재 부적과 각종 부적 등을 중단(中壇)에 올리고 법주스님이 『육모적살경』과 『불설삼재경』을 읽고 축원한다. 이후 헌식과 소지를 하면 삼재 풀이가 끝나는데, 삼재 부적 외에는 모 두 태운다. 신도들은 삼재 부적을 갖고 가서 집 문설주에 붙인다.

불가에서는 동지에도 불공을 올린다. 아침 예불 시에 각 단(壇)에 팥죽을 올리고, 사시 불공을 마친 다음 신도들과 팥죽을 나누어 먹는다. 한편, 민가에서는 애동지에는 아이에게 좋지 않다고 하여 팥죽을 쓰지 않고 대신 팥떡을 해먹는다. 그러나 절에서는 애동지임에도 그에 구애받지 않고 팥죽을 쑤므로, 민가에서는 절에서 팥죽을 얻어먹는 풍속이 있다. 동지 팥죽 한 그릇에 나이 한 살 더 먹는다는 설은 동지를 설로 여기기 때문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