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7권 한국 서예문화의 역사
  • 5 한글 서예의 변천
  • 04. 언문 후기: 1700년∼1800년대
  • 언문 후기의 판본체
  • 2. 언문 후기 판본체의 서체적 특징
박병천

언문 전기의 도형적 자형에 가깝게 이루어졌던 판본체의 특징이 1700년∼1800년대에 이르면서 더욱 필사체의 느낌이 풍기는 자형으로 변형되었다.

1700년대에 판본체의 서체로는 딱딱한 느낌으로 종모음의 세로획 입필부분을 직선형으로 낸 『팔세아』, 『무예도보통지 언해』가 있고, 종모음의 세로획 입필부분을 뾰족한 획형으로 약간 구부리고 수 필부분을 가늘게 나타내어 부드럽게 표현한 『어제상훈 언해』, 『오륜행실도』 등이 있다. 특히, 필사체 자형에 아주 가까운 『어제상훈 언해』와 『오륜행실도』의 서체는 붓으로 직접 필사한 느낌이 나는 서체이다. 이 두 서체 중에서 『어제상훈 언해』는 『오륜행실도』보다 50여 년 정도 앞서서 간행한 서체이다. 부드러움이 적은 편으로 세로획의 끝부분을 글자에 따라 뾰족하게 한 것과 그렇지 않게 나타낸 것 등 불규칙하게 나타냈다. 『오륜행실도』는 수필부분 획형을 뾰족하게 나타내어 더욱 필사체 맛이 난다.

확대보기
『어제상훈 언해』
『어제상훈 언해』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무예도보통지 언해』
『무예도보통지 언해』
팝업창 닫기

1800년대의 판본체는 더욱 부드러운 필사체형으로 변모하였다. 한 글자에서 자음과 모음의 크기 차이를 크게 나타내고, 점획의 서선 굵기의 변화를 보인다. 이때의 판본체 중 경직된 느낌이 나는 『척사윤음』과 『삼성훈경』은 세로획의 입필부분을 불규칙하게 약간만 구부려 뾰족하게 나타냈다. 특히, 『삼성훈경』은 자음 크기를 다른 판본체들보다 크게 나타내어 더욱 딱딱한 느낌을 풍긴다. 이에 비하여 『불설아미타경』, 『경석자지문』, 『이언』 등의 글자들은 앞의 두 판본체보다 훨씬 부드러운 필사체형으로 나타냈다.

이 시기에 지방에서 나온 방각본들은 목판에 글자를 작게 조각하여 찍어냈는데, 서체의 선명도가 그리 정교하지 않을 뿐 아니라 글자의 서선 굵기도 일정하지 못하고 배자가 고르지 않다. 1800년대 이후 1900년대 초에 이르러 출간된 방각본의 소설책에 나오는 서체는 대체로 세로선을 송곳 모양으로 나타낸 특징이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