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3 무당의 생활과 유형
  • 03. 무당의 여러 유형과 역할
  • 지역별 무당의 호칭
이경엽

여자 무당을 흔히 무당이라고 부르지만 성별로 구분할 때는 여자를 ‘무(巫)’라고 하고 남자를 ‘격(覡)’이라 한다. 하지만 실제 용례에서는 무녀·여무 그리고 남무 등으로 표기하는 사례도 있고, 지역이나 역할 등에 따라 더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무당을 부르는 말은 지역마다 각기 다르다. 행정 구역 단위로 엄밀하게 구분할 수 없지만 편의상 행정 구역별로 무당 호칭에 대해 보기로 한다.

함경북도에서는 남무가 성행했고 주로 재가승 출신자가 무인이 되었다고 한다. 남녀를 구별하지 않고 스승 또는 무당이라고 부르는데 전자는 경칭이며 후자는 비칭이다. 함경남도에서도 남녀를 구분하지 않고 무당이라고 부르지만, 북청지방에서는 단골판(檀家)을 담당하는 특정 여무를 홑에미(Hosemi), 남무를 홑에비(Hosebi)라고 한다. 그리고 함흥에서는 남무를 ‘박시’라고 하고 여무를 ‘무당’라고 한다.

평안도·황해도에서는 여무를 무당 또는 만신이라고 하며 남자 무당을 박수[박사]라고 한다. 신을 받아 무당이 되며 점을 치는 일과 굿을 겸하는 경우가 많지만 큰 만신들은 대개 굿 위주로 무업활동을 했다. 만신과 짝이 되어 장구를 치는 무당을 평안도에서는 술맞이할머니라고 하고, 황해도에서는 장구할머니라고 한다. 점쟁이 중에서 죽은 아이의 영혼을 모셔 점을 치는 이도 있는데 이를 ‘태주’라고 한다.

서울과 경기도의 무당은 오랜 기간 역사·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해온 지역 답게 다채로운 양상을 보여준다. 무당의 성격에 따라 한강 이북과 이남지역이 서로 다른 모습을 띠고 있다. 서울을 포함한 한강 이북 지역은 신내림을 받은 무당들이 주축을 이루는데, 그들을 ‘기자(祈子)’ 또는 ‘만신’이라고 부른다. 남무의 경우 박수무당이라고 따로 부른다. 그리고 만신과 짝을 이뤄 굿을 할 때 음악을 담당하는 기대(장구치는 여자), 전악(피리나 해금을 연주하는 남자), 재비(제금을 치는 무녀) 등이 있다. 한강 이남에는 세습무 계통의 여무인 미지와 남무인 화랭이가 있다. 화랭이는 악사 역할에 그치지 않고 몇 개의 굿거리를 따로 맡아 진행한다. 상대적으로 남무의 비중이 큰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들 외에 점을 치거나 독경을 하는 이들도 있다. 판수라고 불리는 남자 맹인은 지속적이고 뚜렷한 전통에 속하며, 이외도 관우를 몸주신으로 모시는 전내(殿內)와 어린 아이의 혼령을 모신 태주 등도 있었다. 특히, 한말 이후 일제시대에 많은 활동을 했던 전내는 서울에서 두드러진 존재였다.

충청도와 강원도에서는 법사 또는 복술(卜術)이라고 부르는 독경무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은 경무·경객·경문쟁이·복술·복사·문복쟁이·점사·법사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는데, 이 중에서 법사란 말이 보편적인 호칭이다. 또한, 이 지역에도 화랭이, 양중, 재인이라고 불리는 세습무계 남무들이 있고 그와 짝을 이룬 무녀들이 있다. 충청도에서 이들의 역할은 현재 중단되었다. 이외에 점을 치는 점쟁이와 간단한 비손을 하는 비래쟁이와 막음쟁이도 있다.

확대보기
제주도 심방과 약사
제주도 심방과 약사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제주도 심방
제주도 심방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제주도 심방[만택 대심방]
제주도 심방[만택 대심방]
팝업창 닫기

호남에서는 세습무 계통의 여무인 당골[단골]과 남무인 고인(鼓人)의 존재가 두드러진다. 각 지역에 기반을 둔 세습무들이 대를 이어 활동해 왔다. 이외에 점복과 간단한 비손을 담당하는 강신무 계열의 점쟁이가 있다. 남자의 경우 법사, 여자는 보살이라 한다. 법사나 보살은 충청도, 강원도, 경북의 사례와 비슷한 존재라 할 수 있다.

영남에서 무당은 남녀를 구분하는 용어가 아니다. 암무당·숫무당이란 비칭으로 성별을 구분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여자를 무녀라고 하고 남자는 화랭이 또는 양중이라고 한다. 이들은 강원도 영동지역부터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경남 남해안까지 폭넓게 자리잡고 있다. 이들과 달리 신내림 받은 점쟁이 선무당이 있고, 간단한 비손을 하는 비래쟁이, 막음쟁이도 있다.

제주도에서는 무당을 심방이라고 부른다. 성별 구분하지 않고 심방이라고 통칭하지만, 굳이 구분한다면 남자는 소나이심방, 여자는 예심방이라고 부른다. 아이의 무병생육을 축원하는 여자 무당을 삼승할망이라고 따로 호칭한다. 이외에 악기를 반주하는 소미, 심부름하는 제비 등도 있다.

이처럼 지역마다 무당을 부르는 호칭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함경도에서는 스승이라고 하고, 제주도에서는 심방, 중부지방에서는 만신, 남부지방에서는 당골이라고 부르는 등 색다른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길흉화복을 점치고 의례를 주관하는 존재라는 점에서는 공통적이지만 이름과 역할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점복과 독경 등을 담당하는 이들도 지역에 따라 여러 호칭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