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3 무당의 생활과 유형
  • 03. 무당의 여러 유형과 역할
  • 신을 받은 무당과 세습 무당
이경엽

한국의 무당은 성무과정으로 볼 때 강신무와 세습무로 구분된다. 전자는 신이 들려서 무당이 된 경우이고, 후자는 집안 내림의 무업을 승계하여 무당이 되는 경우이다. 강신무는 반드시 강신 체험을 동반하며 선배 무당으로부터 내림굿을 받고 기능을 학습받음으로써 무당이 된다. 곧, ‘신어머니(신아버지)-신딸(신아들)’의 관계 속에 서 무당이 되고 무업을 하게 된다. 혈연이나 지연 등의 요소가 아니라 영력에 의해 무당으로서 사회적 인정을 받고 무업 활동을 하는 것이다.

확대보기
경기도의 만신
경기도의 만신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경기도의 만신
경기도의 만신
팝업창 닫기

이에 비해 세습무는 세습무계 출신의 여자가 세습무계 출신의 남자와 결혼한 후 시어머니로부터 기능을 물려받는 ‘시어머니-며느리’ 또는 ‘아버지-아들’의 세습 관계 속에서 무업을 계승하게 된다. 물론 그 가족 관계는 경우에 따라 달라지지만, 가계의 전통을 이어 무당이 되는 과정은 공통적이다. 세습무는 혈연적인 승계로 무업을 잇는 까닭에 무당 집안에서 무당을 배출하는 무계를 형성한다. 또한, 사제권의 세습과 사회적 지지를 기반으로 일정한 지역에서 무권(巫權)을 행사하는 당골판을 유지한다.

지역적으로 보면 강신무는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며, 세습무는 남부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서울이나 황해도의 만신이 전자에 속하고, 전라도의 당골, 경상도의 화랭이·무당이 후자에 속한다. 무당의 분포를 지역적으로 확정해서 말할 수는 없으나, 해당 지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누가 하는가라는 기준으로 볼 때 크게 두 권역으로 나눌 수 있다. 중·북부지방의 강신무는 강신에 의한 신병 체험을 통해서 무당이 되어 신의 영력에 의해 예언을 하고 제의를 집행하며, 남부지방의 세습무는 세습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무당이 되기 때문에 영력과 관련 없는 의례화된 제의를 집행한다. 중·북부의 무당이 강신 체험과, 체험된 신을 봉안한 신단 그리고 신의 영력에 의해 진행되는 제의의 일원화를 보이는데 비해 남부지역 세습무는 신단이 없고, 영력이 없어 이원적 양식으로 제의를 진행한다.

확대보기
황해도 강신무
황해도 강신무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황해도 굿
황해도 굿
팝업창 닫기

강신무와 세습무는 굿을 하는 방법에서도 약간 차이가 있다. 강신무는 굿하는 도중에 스스로 신이 들려 신격화된다. 그리고 굿거리가 바뀔 때마다 화려한 무복을 갈아 입고 신칼, 방울 등과 같은 무구들을 들고서 춤을 추며 자신의 몸에 신을 받아 인간에게 신의 말을 하는 공수를 내린다. 이에 비해 세습무는 음악적 연행 위주로 신을 즐겁게 하고 신에게 인간의 소원을 빌어 준다. 세습무는 굿거리에 따라 무복을 갈아 입지 않고, 방울이나 삼지창 등과 같은 무구를 사용하지도 않는다. 또한, 곡예나 묘기 같은 특별한 시각적 볼거리가 제공되지 않으며, 신의 입장에게 내리는 공수도 없다.

강신무와 세습무는 서로 구분되지만 둘이 별개의 존재는 아니다. 이들의 성무과정에 차이가 있고 굿을 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그 속에서 구현되는 무속의 세계, 곧 신관이나 무가의 내용, 계통이 이질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강신무 현상 중에서 세습적인 부분이 발견되기도 하며, 세습무 중에서 강신을 경험한 이들도 있어서 엄밀히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강신무 가계를 조사하다 보면, 같은 집안에서 거듭 무당이 배출되는 사례를 발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서울 애기씨당의 당주인 김옥염(여, 1936∼ )의 경우, 당주 무당의 역할을 세습하고 있어 주목된다. 1∼3대는 확인이 안되지만, 4대 당주는 친할머니인 고송자이고, 5대 당주는 친어머니인 김묘분이며, 현 6대 당주는 김옥염이다. 그리고 그의 친딸이 무업을 승계할 준비를 하고 있다. 강신무이지만 무업이 세습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뚜렷하지 않더라도 강신무 집안에 무당이 있었던 사례가 많이 발견되는데, ‘무당 집안에서 무당이 나오는’ 현상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처럼 강신무 가족 중에 무당이 거듭 배출되는 경우가 있고, 어떤 경우 조상의 ‘내림’에 의해 무당이 되었음을 강조하기도 한다. 이 경우 세습무계처럼 직접적인 승계는 아니더라도 ‘영적 세습’ 현상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관심을 끈다.

또한, 일반적인 사례라고 보기 어렵지만 세습무 중에도 강신 현상과 관련된 사례가 있다. 국가지정 무형문화재인 진도씻김굿 전수자이기도 했던 이완순 무녀는 세습무이면서도 무병을 앓고 신단을 모신 적이 있다. 그리고 영암의 세습무인 정화점은 결혼 직후 신이 내려 신내림굿을 하고 무업에 종사하고 나서야 병이 나았던 경험이 있고, 집 안에 신단을 차려 놓고 무업을 했다. 세습무이면서 강신무적인 성격도 띠고 있는 것이다. 또한, 강신무 출신이 세습무굿을 배워서 활동하는 경우도 있다. 강릉 단오제 주무인 빈순애는 무병을 앓고 시어머니로부터 세습무 굿을 배워 무업을 하고 있다. 진도 씻김굿 전수 조교인 송순단도 내림굿을 받고 무당이 된 후 세습무굿을 배워 활동하는 사례에 속한다. 이러한 상황으로 살펴볼 때 세습과 강신 현상은 대립적인 속성이라고 말할 수 없다.

한편, 굿의 내용을 보면 공통적인 부분도 많다. 굿의 절차 이름부터 이질적인 부분이 많아 차이점 중심으로 관찰하게 되지만 내재된 원리나 구조를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서울 강신무와 전라도 세습무가 하는 망자천도굿을 보면, 현상적으로는 상당히 달라 보이지만 안굿과 바깥굿이라는 구조적 틀이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굿에 해당하는 굿들은 모두 산 자들의 복락을 축원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후에 나오는 중반부의 굿들에 이르러 망자를 위한 본격적인 절차들이 진행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뒷전 또는 중천이라는 비슷한 성격의 굿을 배치해서 마무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런 구성은 죽음 의례에 담겨 있는 한국인의 현세주의적 태도를 보여준다. 사령굿이 일차적으로는 망자의 천도를 희구하지만 궁극적으로 산사람들의 현세적 삶을 안정시키고자 하는 현세주의적 태도를 담고 있다는 것과 관련 있다. 강신무와 세습무가 각기 따로 진행하는 사령굿이지만 굿의 전체적인 틀과 구성 원리는 마찬가지이며, 그것에 작용하는 무속적 관념 역시 별개의 세계가 아니라는 것을 볼 수 있다.

확대보기
강릉 단오제 굿
강릉 단오제 굿
팝업창 닫기

이와 같이 세습무와 강신무는 다른 모습을 띠고 있지만 서로 다른 존재가 아님을 알게 된다. 그럼에도 기존의 논의들을 보면 대부분 그 차이점을 부각시키는 쪽에 관심이 있었다. 아직까지 세습무· 강신무의 역사적 전개나 관계에 대해서 분명히 정리되어 있지 않고, 무업을 담당하는 존재로서 어떻게 같고 다른지 실상에 걸맞는 명확한 대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서로 다른 점만 강조하다보니 무당으로서의 공통점이나 상호 관계에 대해서는 논외로 하는 경향이 있었다.

확대보기
호남의 세습 무녀-순천 박경자
호남의 세습 무녀-순천 박경자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호남의 세습 무녀-진도 채정례
호남의 세습 무녀-진도 채정례
팝업창 닫기

세습무와 강신무는 개념적으로 구분해서 설명이 가능하지만, 완전히 이질적인 존재가 아니다. 또한, 지역적으로 별도로 활동하는 중부지방의 강신무, 남부지방의 세습무만을 놓고 볼 것이 아니라, 같은 지역에서 공존하는 현상을 보면 두 부류로 구분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라도는 세습무권이지만 신을 받아 무업을 하는 강신무 계열의 점쟁이가 활동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강신무인 점쟁이는 세습무와 성격이 다르지만 같은 지역에서 오랜 동안 긴밀한 관계를 맺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점쟁이가 굿을 하기도 하는 등 역할 구분이 무의미해지고 있다. 이런 현상은 강신무와 세습무의 구분을 고정시키기보다는 상호 관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