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3 무당의 생활과 유형
  • 03. 무당의 여러 유형과 역할
  • 춤추는 무당과 춤추지 않는 무당
  • 관우를 모시는 전내, 죽은 아이의 혼령을 모시는 태주
이경엽

몸주신을 누구로 모시는가에 따라 무당의 명칭과 역할이 특징화되는 경우가 있다. 관우를 몸주로 모시는 전내(殿內), 어린 아이의 혼령을 모시는 태주, 명두 등이 그것이다.

지금은 전내의 존재를 보기 힘들지만 20세기 초까지도 서울에 전내가 많았다. 한말과 일제강점기 신문들을 보면 관성제군(關聖帝君, 關羽)을 모신 전내에 대한 기록이 많이 나온다. 특히, 한말에 많은 주목을 받았는데, 당시 국가와 민간에서 무력(武力)이 강한 관왕에 대한 관심이 많았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국가 차원에서 관왕묘에 제사를 지냈으며 고종 황제가 직접 관왕묘에 행차하기도 했다. 또 한, 서울 곳곳에 관왕묘가 세워지고 중건되었고 민간에서도 관우를 신앙 대상으로 모시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관우를 몸주신으로 모시는 전내가 관왕묘 건립을 주도하고 활발하게 활동했다.

확대보기
관성제군[관우]
관성제군[관우]
팝업창 닫기

태주무당(太主巫堂)은 죽은 아이의 혼령을 몸주신으로 모시는 무당이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보통 굶어 죽거나 천연두에 걸려 죽은 아이의 혼령이 태주무당의 몸주신이 된다고 한다. 태주는 남녀 어린이 모두의 혼령과 관련되기도 하지만, 좁혀서 남자 아이에 한정해서 일컫기도 한다. 여자 아이의 혼령이나 그 혼령을 몸주로 모시는 무당을 명두 또는 명도라고 한다. 근래에 들어서는 태주라는 말보다, 도령·동자·애기동자·산신동자·선동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태주무당은 공중에서 나는 휘파람같은 소리로 망령과 대화를 한다. 태주는 인간의 운명을 말해 주는 신으로 인식되며 때에 따라서는 자손 번영, 인간의 무병장수, 죽은 자를 살려내는 힘까지 지니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태주를 각별하게 모신다고 한다. 무당이 점을 치거나 굿을 할 때 태주가 몸에 들어오면 아기 목소리로 말한다. 그리고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이나 사탕, 옷 등을 장만해서 바친다고 한다. 태주는 어린 귀신이지만 상당히 영험하며 소홀히 대접하면 후환이 생기기 때문에 각별히 모신다고 한다. 또한, 변덕이 심하고 소란스러워 진지하지 못할 때가 많지만 영험이 많고 잘만 달래면 인간이 요구하는 것들을 잘 들어주는 신이라고 한다.

태주는 지역에 따라 태자(太子)·명두·새튼이·공징 등으로도 불린다. 평안도·함경도 등지에서는 새튼이·새타니·새티니·새치니 등으로 부른다. 이 호칭은 어린이 혼령이 내는 소리가 트인 잇새나 입 술의 틈이 벌려져 나온 소리이거나 이와 유사하게 나온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경상도·전라도에서는 명두 또는 명도라는 호칭을 많이 쓴다. 남녀를 구분하지 않기도 하지만, 주로 여아의 혼령에 한정하여 이 명칭을 사용할 때가 많다. 경상도에서는 공징, 공밍, 공명이라고도 하는데, 태주의 목소리가 공중에서 떨린다는 뜻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