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3 무당의 생활과 유형
  • 03. 무당의 여러 유형과 역할
  • 위계나 역할에 따른 무당 구분
  • 점쟁이와 막음쟁이
이경엽

점쟁이는 말 그대로 점을 치는 사람이다. 이들은 신과의 교류를 드러내는 종교적인 장치를 설치한다. 집 앞에 세워진 신대와 집 안 에 설치된 신단이 그것이다. 대개 점쟁이라고 하지만 흔히 남자는 법사라고 하고, 여자는 보살이라고 호칭한다. 그런데 점쟁이라는 이름에서 보듯이 본래 굿을 집전하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에 정통 사제무라고 할 수는 없다. 전통적으로 이들은 점을 치고 독경하는 일들을 담당했고 본격적인 굿은 하지 않았다.

막음쟁이는 집에 탈이 나거나 동티[動土]가 났을 때 액을 막기 위해 ‘막음질’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을 말한다. 비래쟁이는 비손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둘의 역할이 약간 구분되기도 하는데, 비래쟁이는 신에게 인간의 바람을 요구하는 의례에 치중하고, 막음쟁이는 재화를 차단하는 데 역점을 둔다. 막음쟁이와 비래쟁이는 아이들이 탈이 나거나 아프게 되면 민간 의료로 침이나 부황을 놓기도 한다. 또한, 액을 면하고 병이 낫기를 빌어주기도 하며, 가정 신앙의 일부인 안택과 텃제·액막이·성주매기 등을 지낼 때도 대주를 대신하여 성주·조왕·지신 등에게 빌어준다. 이들은 신수를 보는 일에서부터 객귀물리기, 액막이, 동토잡이, 주당물리기, 조상풀이, 삼재풀이, 안택고사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의례를 집행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