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풍요 기원의 무당굿놀이
  • ●소놀이굿(양주 소놀이굿·평산 소놀음굿·연백 소놀음굿·옹진 소놀이굿)
허용호

양주 소놀이굿은 경기도 양주 지역의 경사굿에서 벌어지는 무당굿놀이이다. 양주 소놀이굿은 양주 지역 재수굿의 일종인 경사굿과 깊은 관련이 있다. 소놀이굿만 독립적으로 연행되는 것이 아니고, 농사나 사업·장사 등이 잘되고 자손이 번창하기를 바라는 경사굿의 일부로서 제석거리에 이어서 행해졌다. 보통 가을 추수 후에 신곡(新穀)맞이 경사굿에서 연행되었다.

양주 소놀이굿은 멍석 등으로 소를 꾸며 만들어서 제석거리 주관자인 무녀와 가장한 소를 몰고 온 마부가 재담과 소리를 주고받는 양상으로 연행된다. 양주 소놀이굿에 등장하는 소와 송아지는 일종의 전신 가면을 쓴 연행자들이 가장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 표현 도구를 기준으로 해서 보았을 때, 양주 소놀이굿은 가면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양주 소놀이굿은 무당굿놀이이기는 하지만 무당 중심의 연행이 아니라, 마을의 신명 많은 놀이꾼들과 함께 연행해 나간다는 점이 독특하다.

경사굿은 첫 굿거리인 행추물림에서 시작하여 부정·불사맞이· 본향·초가망·조상·대감·성주받이·상산·별상·신장·산대감·제석(소놀이굿)·호구거리·성주·산거리·창부·뒷전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소놀이굿은 이러한 경사굿의 문맥 속에서 제석거리에 연계되어서 연행된다. 소놀이굿의 연행 전개는 길놀이, 제석굿의 주바지, 마 부의 등장과 소의 등장, 소의 모색치레, 소의 치장치레, 소의 논밭갈기와 글 가르치기, 고사·축원·덕담, 소흥정과 권주, 뒷풀이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확대보기
양주 소놀이굿
양주 소놀이굿
팝업창 닫기

구체적으로 양주 소놀이굿의 연행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석거리 절차가 되면 대청마루에서 진행되던 굿이 안마당으로 옮겨지고 제석상이 차려진다. 마당에 제석상이 차려지면, 악사들이 밑으로 내려와 자리를 잡고 원마부 한 명과 곁마부 2명이 어미소와 송아지를 데리고 들어와 소놀이굿을 한다. 어미소는 4명의 사람이 들어가 가장한 것이고, 송아지는 2명의 사람이 들어가 가장한 것이다. 소놀이굿에 등장하는 무당은 제석거리 복색인 장삼과 고깔을 쓰고 함께 마당에서 춤을 추면서 판을 이끌어간다. 양주 소놀이굿은 마부들과 무당의 재담과 타령이 중심이 되며 진행된다.

판에 등장한 무당은 먼저 제석 청배한다. 제석 청배를 끝낸 무당은 마부를 부르고 이때부터 본격적인 소놀이굿이 시작된다. 만신이 부르는 소리에 등장한 마부는 만신과 재담을 주고받는다. 무당이 짤막한 말을 던지며 원마부와 곁마부가 교대로 서로 창을 한다. 그 과정에서 원마부타령, 곁마부타령, 마부노정기 등의 타령이 불려진 다. 마부들과 함께 등장한 어미소와 송아지는 까불면서 마당판을 돌아다닌다. 마부들은 절타령과 보물타령을 통해서 어미소를 소개한다. 이어서 소의 생김새를 타령으로 부르는데, 소빛내력→머리치레→뿔치레→귀치레→눈치레→코치레→입치레→혀치레→이치레→꼬리치레→다리치레→굽치레로 이어진다. 이어서 소의 치장치레가 진행된다. 질마치장, 굴레치장, 마부치장 등의 소 장식품에 대한 모습이 묘사된다. 치장치레 다음에 소의 기능적인 모습이 강조된다. 마부가 소를 부리는 일과 함께 글 가르치기를 시도하는 데, 소가 사람의 말을 알아들어 잘 부릴 수 있음을 여기서 보여준다. 이어서 고사·축원·덕담이 진행된다. 이 대목에서는 소놀이굿이 마부 중심에서 무당에게로 넘어간다. 양주 소놀이굿의 결말은 소흥정 대목이다. 무당이 집 주인을 내세워 소 값을 흥정하고 소를 사고 파는 행위가 이루어진다. 소가 팔리면 집안이 잘되도록 무당이 축원을 하고 소놀이굿은 마무리된다.

양주 소놀이굿과 유사한 형태의 무당굿놀이는 다른 지역에서도 연행된다. 경기도와 황해도 일대에서 소놀이굿 형태의 무당굿놀이가 발견되는 것이다. 경기도와 황해도 지역의 소놀이굿은 경사굿 문맥에서 제석거리와 연계되어 연행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볼 때 적지 않은 차별성이 보인다.

확대보기
황해도 평산 소놀음굿
황해도 평산 소놀음굿
팝업창 닫기

황해도 평산군에서 전승 연행되던 소놀이굿이 평산 소놀음굿이다. 평산 소놀음굿의 특징은 다른 소놀이굿과 비교해 볼 때, 연극적인 속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제석굿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연극적 형태로 새롭게 분화되고 발전되어 등장한다. 제석님, 삼신제석, 복 립지석, 지인지석, 신농씨, 애미보살, 지장보살, 마부, 약대 등으로 등장 인물이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고, 그 인물들의 역할 또한, 분명하다. 제석님은 애기를 점지하고 농사를 감독하는 구실을 한다. 신농씨는 농사를 감독하고, 애미보살은 씨뿌리기를 하고, 지장보살은 김매기 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평산 소놀음굿을 이끌어가는 주체는 제석과 마부이지만, 나머지 인물들도 적절한 나름의 역할을 한다. 다른 소놀음굿과 비교해 볼 때 가장 연극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황해도 연백군에서도 소놀이굿이 연행되었다. 연백 소놀이굿의 주된 내용은 마부와 만신의 말 겨루기가 서두에 진행된다. 이어서 소가 분명히 제 구실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서 소에게 축원하고 대접하는 내용이 이어진다. 결말 부분은 대주가 나서서 풍농을 기원하자, 마부가 나서서 잦은난봉가, 산염불, 잦은염불 등을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연백 소놀이굿의 특징은 소놀이굿의 제의적 성격이 분명하게 드러난다는 점이다. 제의적 성격이 많이 거세된 양주 소놀이굿에 비해 연백 소놀이굿은 소놀이굿의 제의적 의미가 뚜렷하게 드러난다.

또 다른 소놀이굿으로 황해도 만신이었던 우옥주가 연행했던 것이 있다. 어느 지역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황해도 옹진군 일대에서 전승되던 것으로 추론한다. 이 소놀이굿에는 경관만신·마부·상좌 등이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경관만신이 묻고, 그 말을 상좌가 마부에게 전하고, 마부가 한 말을 다시 상좌가 듣고, 상좌가 그 말을 경관만신에게 전하는 대사 전달법이 독특하다. 간접 화법을 사용하는 소놀이굿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본다면 소놀이굿은 크게 네 가지가 전승되고 있으며, 각각 나름의 지역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소놀이굿의 형태는 각기 다르지만 가장한 소를 두고서 만신과 마부 가 여러 가지 재담과 소리를 하면서 한바탕 놀이를 벌인다는 점은 동일하다. 각 지역 경사굿의 문맥에서 제석거리에 연결되어 연행된다는 점 역시 공통적인 속성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