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풍요 기원의 무당굿놀이
  • ●황해도 사냥굿
허용호

황해도 대동굿과 철물이굿에서 하는 무당굿놀이이다. 황해도 사냥굿은 마을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여 이루어진다. 대동굿인 경우 마을 공동 제의이기에 마을 사람들이 참여가 이루어지는 것은 자연스럽다고 할 수 있다. 개인적인 굿이라 할 수 있는 철물이굿 역시 보통 마을의 부자가 벌이는 동네 잔치의 성격이 짙기 때문에 마을 사람들이 함께 참여한다.

본래 사냥굿은 인삼 녹용 또는 산삼 녹용으로 상징되는 사슴을 잡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통상 돼지를 사냥의 대상으로 삼아, 그것을 어르고 잡아서 명과 복과 부귀로 삼는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연행은 무당과 장고잽이, 그리고 마을에서 놀기 좋아하는 사람이 역을 맡는 상산막둥이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진다. 마을 사람들은 상산막둥이 역은 물론이고 몰이꾼으로도 대거 참여하여 한바탕 사냥굿을 벌인다.

사냥굿 연행은 마당 가운데 산 돼지가 놓이고, 무당이 등장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무당은 산타령을 불러 굿판을 산으로 표현한다. 이어서 무당은 장고잽이와의 재담을 통해 단골들을 위해 사냥을 나왔다고 말한다. 그리고 사냥을 하기 위해서 어려서 잃어버린 아들 상산막둥이를 찾는다. 마침내 무당과 상산막둥이는 만나게 되고 함께 사냥을 나간다. 그리고 굿판 한가운데 엎드려 사냥감을 기다리다 여기 저기 화살을 쏘다가 돼지를 잡게 된다. 잡은 돼지는 곧 이어 진행될 타살굿에서 제물로 올라간다. 이로 보아 사냥굿은 제물을 마련하는 과정을 흉내낸 것이라 할 수 있다. 황해도 사냥굿은 신에게 바칠 제물을 마련하는 제의이자 동시에 사냥의 성공을 비는 제의라 할 수 있다. 이때 무당은 ‘인삼 녹용을 사냥가자’, ‘명복을 타러가자’는 등의 노래를 불러 사냥을 통해 풍요를 기원하는 의도를 드러낸다. 끝에 덧붙여지는 막둥이 장가들이는 대목이 끝에 덧붙여짐으로써 성적 결합을 통한 풍요 추구의 의도 역시 드러낸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