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풍요 기원의 무당굿놀이
  • ●황해도 영산대감 영산할아뱜 영산할먐굿
허용호

황해도 해안 지역에서 전승되는 배연신굿·대동굿에서 연행되는 무당굿놀이이다. 광대라 불리는 탈을 이마에 비스듬히 쓰고 벌어진다는 점에서 가면 연행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만신은 홍치마 위에 삼베치마와 남쾌자를 입은 다음, 머릿수건과 광대라 불리는 가면을 이마 위쪽에 비스듬히 쓰고 영산할먐 역할을 맡는다. 영산할아뱜 역과 아들 개똥이 역은 배의 도사공이나 박수 또는 마을 사람들 중에서 맡는다. 영산할아뱜은 활옷을 입고 영산할먐과 같이 광대를 이마 위쪽에 비스듬히 붙인다.

이 무당굿놀이의 내용은 우선 영산할먐이 영산할아뱜을 찾으며 돌아다니다가 장구잽이에게 헤어진 사연과 할아뱜의 생김새 등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영산할아뱜의 행색을 들은 장고잽이는 저쪽으로 갔다고 일러준다. 영산할먐이 장고잽이가 가리키는 쪽으로 멀어져 가면, 이번에는 영산할아뱜이 등장하여 영산할먐을 찾는다. 장고잽이는 영산할먐이 간 방향을 일러준다. 둘은 서로를 부르면서 여기 저기를 다니다가 마침내 만난다. 부부가 헤어진 것은 병자호란 때인데, 피난 중 영산할먐이 뒷간에 간 사이에 뙤놈들이 밀려와서 그만 헤어지고 만 것이다. 반갑게 만난 둘은 지나간 회포를 푼다. 그 사이에 영산할먐은 신이 내려서 무당이 되었고, 영산할아뱜은 배의 영좌(책임자)가 되었다. 영산할아뱜은 자식의 생사를 묻는 영산할먐에게 첫째와 둘째는 죽고 막내 개똥이는 인심 좋은 배임자의 딸과 혼인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마침내 배의 화장으로 개똥이와도 만나게 된다. 오랫동안 헤어졌다가 만나게 된 세 식구는 억지로 눈물을 짜서 뿌리는 흉내 등으로 사람들을 웃기고 난봉가를 부르며 한바탕 놀고 배에 고기를 퍼 실어 주는 흉내를 내어 모의 어로 작업을 한 후 놀이를 끝낸다.

영산대감·영산할아뱜·영산할먐굿은 황해도 배연신굿·대동굿 의 뒷부분에 행해진다. 맨 끝에 행해지는 마당굿에 바로 앞서서 연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굿거리의 위치나 영산이라는 명칭을 통해서 보았을 때, 재앙이나 잡귀를 몰아내는 성격이 강한 무당굿놀이로 볼 수 있다. 영산은 불행하게 죽은 신이다. 영산대감·영산할아뱜·영산할먐굿의 내용에 비추어 보았을 때, 난리통에 발생한 잡귀 잡신들이 등장하는 무당굿놀이로 볼 여지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내용을 보면, 재앙을 막거나 잡귀를 쫓아내는 성격보다는 풍어 기원의 성격이 강하다. 무당이 뱃사람들과 함께 고기잡는 과정을 충실히 흉내 내고 있다. 그물을 바다에 던지고 고기를 가득 끌어올리고, 그 고기를 배밑 선창에 담는 과정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로 보아 풍어에의 의지와 기원이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