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풍요 기원의 무당굿놀이
  • ●사또놀이(황해도 만수대탁굿 사또놀이·황해도 대동굿 사또놀이)
허용호

사또놀이는 두 가지가 있다. 황해도 만수대탁굿에서 행해지는 사또놀이와 황해도 대동굿에서 행해지는 사또놀이가 그것이다. 동일한 이름으로 불리지만, 그 내용은 서로 구분이 된다. 만수대탁굿 사또놀이의 경우 옛 만신과 새 만신 간의 교체를 주 내용으로 하는 반면에, 대동굿 사또놀이는 구관 사또와 신관 사또 간의 알력과 다툼을 주 내용으로 한다. 그 내용에 있어 신성성이 남아있는 만수대탁굿 사또놀이와 세속화된 대동굿 사또놀이로 구별된다.

만수대탁굿은 황해도굿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굿이다. 당골과 제자를 많이 둔 무당이 평생에 3번 밖에 할 수 없다는 굿이다. 만수대탁굿에서 사또놀이는 ‘헌 만신 나가고 새 만신 들어오는 굿’이라고 하여 중요한 거리로 취급된다. 굿을 하는 큰 무당이 가마를 타고 집밖으로 나가면 제자들 중에서 대를 이을 새 무당이 들어온다는 것이다. 이때 큰 무당은 구관 사또라 부르고 새 무당을 신관 사또라고 한다. 문서를 주고받는 데 파란색 종이(문서)는 구관이 물러선다는 표시이고, 빨간색 종이는 신관이 들어온다는 의미라고 한다. 자리를 물려준 큰 무당을 위해서 산수왕을 갈라준다. 산수왕[生十王]굿이란 아직 죽지 않은 노인의 사후 왕생극락을 비는 굿이다. 큰무당의 제자들이 나졸로 분장하여 재미를 돋우기도 한다.

그런데 황해도 대동굿에서 연행되는 사또놀이는 좀 다르다. 무당은 신관 사또 역할을 맡고, 그 외의 인물은 마을 사람들이 맡아 대규모의 무당굿놀이가 벌어진다. 황해도 대동굿 사또놀이는 굿청과 마당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굿청 안에는 구관 사또와 손님들이 흥청대며 술판을 벌이고, 마당에서는 신관 사또가 말을 타고 부임하다가 농민과 수작을 벌인다. 농민은 구관 사또의 행패가 심하다고 고하고 신관 사또는 사령을 불러 파란색 기를 구관 사또에게 전해준다. 실랑이를 한 끝에 마지막에 구관 사또가 빨간색 기를 보내오 면, 신관 사또가 굿청에 들어 부임하는 것이다.

황해도 대동굿 사또놀이에서 사또는 문자 그대로 사또로 등장한다. 옛 만신과 새 만신 간의 교체를 다루기보다는 구관 사또와 신관 사또의 알력이 다루어진다. 만수대탁굿 사또놀이에서처럼 자연스럽게 계승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구관 사또는 신관 사또를 문밖에 세워둔 채 술판을 벌이며 꿈쩍도 않는다. 결국 신관 사또가 몇 번이나 나졸을 보내어 재촉한 끝에 마지못해 물러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신관 사또가 부패한 구관 사또를 문책하고 자리를 차지하는 것이 골격을 이루면서 백성들의 하소연, 나졸들의 나태함 등이 첨가된다. 신들간의 혹은 신과 연관된 갈등이나 내용이 진행되기 보다는, 인간 사이의 갈등이 핵심 내용이 되고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