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풍요 기원의 무당굿놀이
  • ●동해안 중도둑잡이놀이
허용호

동해안 지역의 마을굿인 동해안별신굿에서 연행되는 무당굿놀이이다. 무녀가 얼사촌을 모아서 마을에 든 도둑을 잡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중도둑잡이놀이는 세존곤반이라 불리기도 한다. 세존곤반이라는 명칭에서 볼 수 있듯이, 세존굿 후반부에 연행된다. 세존의 내력, 곧 제석본풀이를 구송하는 대목이 끝난 후, 무녀와 남자 무당인 화랭이들을 중심으로 연행된다.

중도둑잡이놀이에는 중·상좌·중도둑·중잡이·얼사촌 등의 인물이 등장한다. 중은 무녀가 담당한다. 상좌와 중도둑은 보통 별신굿의 제관이 맡는다. 중잡이는 편의상 붙인 명칭이다. 중도둑잡이를 주도적으로 연행하는 무녀를 일컫는다. 얼사촌과 함께 중도둑을 잡는 역할을 한다. 얼사촌은 2명이 등장하는데, 화랭이들이 맡는다. 이렇게 본다면, 중도둑잡이놀이는 무녀와 제관 그리고 화랭이들이 모두 역을 맡고 등장하는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주된 연행의 진행은 중과 중잡이 역할을 하는 무녀와 얼사촌 역할을 하는 화랭이가 맡아서 한다.

확대보기
중도둑잡이놀이
중도둑잡이놀이
팝업창 닫기

중도둑잡이놀이는 제석본풀이를 구송한 무녀가 춤을 춘 이후 중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중의 역할을 하는 무녀는 앉아서 졸기, 깨어나 이 잡아 먹기, 세수하기, 짚신 삼기 등을 동작으로 보여준다. 이어서 바라춤을 춘 후, 본격적인 중도둑잡이놀이가 진행된다. 중도둑잡이놀이의 내용은 마을로 내려온 중이 자신의 상좌중을 찾는 대목과 중도둑을 잡는 대목으로 구성된다. 상좌중을 찾는 대목은 중의 역할을 하는 무녀가 제주를 상좌중이라 하면서 찾아내는 것으로 시작된다. 중의 역할을 하는 무녀는 제주에게 장삼, 고깔, 염주 등을 벗어주며 상좌로 꾸민 후, 관중에게 시주를 걷게 한다. 중도둑을 잡는 대목은 중잡이 역할을 맡은 무녀가 등장하여 얼사촌을 불러내는 것으로 시작된다. 중도둑을 얼사촌과 함께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얼사촌들이 등장하여 인사를 하고 재담을 나누고, 중도둑을 잡으러 다니다가 다쳐 병신이 되는 상황이 이어진다. 우여곡절 끝에 중도둑이 잡히고, 그가 훔친 물건들을 자루 속에서 하나 하나 꺼내 확인한다. 제관이나 마을 대표가 맡는 중도둑이 가지 고 있던 자루 안에는 온갖 물건이 다 들어 있다. 그 물건들은 다름 아닌 신성한 물건들이었음이 무녀의 설명을 통해 드러난다. 중이 가지고 있던 물건들을 꺼내고 보니 일상적인 물건이 아니라 마을의 명과 복을 주는 신성한 물건이라는 것이다. 중도둑잡기는 이 물건들을 마을 사람들에게 되돌려 주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결국 중도둑잡이놀이는 중잡이 역할을 하는 무녀가 인간에게 복을 가져다주는 행위를 핵심 내용으로 하는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도둑이 훔친 마을의 명과 복을 되찾아 마을에 돌려주기까지의 과정을 무당굿놀이화한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