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
  • ●서울 진오기굿 사재삼성
허용호

서울 지역의 진오기굿 또는 새남굿에서 연행되는 무당굿놀이이다. 일반적인 진오기굿에서 밖굿의 절차 가운데 가장 먼저 연행된다. 사재삼성이란 망자(亡者)를 잡아간 3사람의 저승사자를 말한다. 사재삼성 거리에서는 망자를 저승에서 이승으로 데려왔다가 다시 저승으로 데려가는 사재삼성이 중심 인물이 되는 연행이다.

사재삼성의 내용은 초반부의 사재 신분과 그 내력을 밝히는 대목과 후반부의 극락으로 떠나기를 두 축으로 하여, 연행 마다 그 순서가 다양하게 바뀌는 대목들이 그 사이에 배치된다. 대체적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재가 등장하여 자신이 복을 주는 천량할아버지가 아니라 사재임을 밝힌다. 그리고 자신은 망자의 부름에 따라 굿하는 곳으로 오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어서 사재는 상주 험담을 하고, 자신에게 푸대접을 했다며 망자를 지옥에 보내겠 다고 엄포를 놓는다. 또한, 사재는 인정에 따라 극락과 지옥에 가는 것이 정해질 수 있다면 자손들과 흥정을 하고, 자신의 심술을 늘어놓으며 인정을 더 요구하기도 한다. 그러다가 진오기굿을 하는 자손들을 칭찬하기도 하고, 자신에게 차려 놓은 상이 맘에 안든다고 하다가 자손들의 회유에 다시 만족해하기도 한다. 조상(弔喪)을 한다며 상례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고, 망자타령을 슬픈 곡조로 부르기도 한다. 이렇게 기분내키는대로 행동을 하다가 마침내 사재는 죽은 망자를 극락으로 천도하겠다고 하고, 떠나는 것으로 사재삼성은 마무리된다.

확대보기
사재삼성
사재삼성
팝업창 닫기

사재삼성에서 거리는 사재는 무서운 존재이기도 하고 어리숙한 존재이기도 하다. 사재가 행하는 행위들 속에 이러한 사재의 모습이 잘 나타난다. 사재는 등장하자마자 사재다리를 갑자기 굿상 위로 획 던져 상위에 놓인 망자를 상징하는 넋종이를 잡아채려 한다. 망자를 끌어내려 데리고 가려는 것이다. 이때 가족들은 우르르 달려들어 굿상 앞에 막아선다. 사재는 이 과정에서 주먹을 휘두르며 위협을 하다가 사재다리를 바닥에 놓고 인정을 놓게 한다. 돈을 조 금내면 다시 굿상위의 넋종이, 곧 망자를 잡아채려는 동작을 계속하며 돈을 더 내도록 한다. 사재상은 굿상에서 제일 변변치 않다.

사재는 자신을 위해 차려진 상을 처음에는 싫다고 하다가 사람들이 모두 제일 좋은 상이라 말하면 나중에 향기가 좋다고 하면서 만족한다. 사재는 망자에게 조상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제대로 하지 않고 엉덩이로 한다. 사람들이 야단치면 능청을 떤다. 다시 하라고 하면 이번엔 뾰족한 데로 한다면서 왼발 오른발을 번갈아 번쩍번쩍 들면서 조상을 한다. 또 야단치면 저승이나 이승이나 먼저 나온 데가 제일이라면서 비로소 제대로 머리로 절을 한다. 하지만 이번에도 눈물이 나오지 않아, 침을 찍어 바르는 등의 우스꽝스러운 행동을 한다.

사재는 저승에서 인간을 잡으러 온 존재로서 사람들이 모두 싫어한다. 사재의 괴기한 복장이나, 사재가 망자를 낚아채 저승으로 끌고 가려는 동작에서 사재의 부정적 속성이 나타난다. 동시에 사재삼성에서 표현되는 사재는 다분히 바보스럽기도 하다. 위에서 언급한 사재의 여러 행위들이 이를 말해 준다. 이러한 사재에 대해 사람들은 무서운 존재로 두려워하면서도 그 바보스러움에 대해 웃게 된다. 진오기굿 영실거리를 통하여 망자를 만나, 슬픔과 회한에 젖었던 가족들에게 사재의 갑작스러운 등장과 공격은 가족들을 긴장하게 한다. 하지만 엉뚱한 장난과 재담 그리고 사재의 바보스러움과 놀이적 속성을 통해 가족들은 숨을 돌리게 되고 안정을 되찾은 다음 망자를 저승으로 떠날 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