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
  • ●서울 성주받이 뒷전
허용호

서울굿의 하나인 성주받이에서 가장 마지막에 연행되는 굿거리이다. 성주받이는 새로 이사를 가거나 집을 지었을 때 최고의 가신(家神)인 성주신을 봉안(奉安)하여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는 굿이다. 이 러한 굿의 맨 마지막에 뒷전이라 불리는 무당굿놀이가 행해진다. 가진뒷전, 갖은뒷전, 각인뒷전, 안당뒷전 등으로 불리는 성주받이 뒷전은 성주를 모시는 모든 굿거리를 마치고, 뒷전상을 제외한 상위의 모든 음식을 거둔 이후에 벌어진다.

성주받이 뒷전에는 걸립·대감·텃대감·지신·맹인·서낭·영산·상문·수비 등의 신격이 등장한다. 다양하게 등장하는 신격들의 역할은 만신이 도맡는다. 만신이 장구잽이와 서로 재담을 주고받고 타령과 같은 노래를 하며 각 신격으로 전환하여 뒷전 연행을 해나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만신은 일상적인 도구들을 다양하게 소도구로 활용하며, 굿을 의뢰한 제가집 역시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성주받이 뒷전의 내용은 청배·걸립·대감·텃대감·지신·맹인·서낭·영산·상문·수비 등의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격들이 각각 등장하여 자신의 속성을 드러내며 한바탕 놀고 퇴장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어진다. 청배 대목은 만신과 장구잽이가 만수받이로 푸는 대목이다. 걸립·터주·맹인·서낭·영산·상문 등을 모두 불러서 이 신격들이 굿을 행한 자리에서 한바탕 잘 놀고 베풀어서 나쁜 것을 다 몰아내기를 기원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걸립 대목에서는 뒷전을 잘해야 비로소 제대로 된 굿이라는 사실이 강조된다. 또한, 가정을 이끌어가는 집안의 남자, 곧 대주에게 일어나는 문제들을 잘 해결해 줄 것을 약속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감 대목에서는 만신이 팥떡시루를 이고 밖으로 나가 집의 이곳 저곳에 술을 뿌리고 돌아다닌다. 집안의 나쁜 것들을 몰아내는 것이다. 텃대감 대목에서는 만신이 텃대감 역할을 하며 대주에게 장난스러운 말들을 던지며 논다. 장난스러운 대화 속에서 집을 잘 짓게 되고, 재수가 있으며 재물도 많아지게 된다는 내용이 오고 간다.

지신 대목은 좀 길게 진행된다. 지신 할머니의 영감 찾기, 지신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만남, 지경 다지기, 방아찧기, 노구메 팔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길게 진행되기는 하지만 다른 대목과 같이 만신의 주도로 장구잽이와의 대화를 통해 연행이 이루어진다. 지신 대목은, 지신 할머니가 등장해서 지신 할아버지를 찾기 위해 길을 떠나고, 수양산에 들어간 지신 할머니가 지신 할아버지와 만난다. 소원이던 영감을 만난 지신 할머니는 집을 잘 지을 수 있도록 먼저 지경을 다지고, 명당산세풀이를 불러준다. 또 방아를 찧고, 신에게 올리는 노구메를 파는 내용이다. 내용 사이 사이에 집터가 명당 터이며, 집안의 번성을 위한 기원, 삶의 풍요와 안정에 대한 기대 등이 담겨 있다.

이어지는 맹인 대목은 만신이 따비를 지팡이 삼아서 짚고 등장하며 진행된다. 지신 대목과 함께 성주받이 뒷전에서는 강조되고 길게 연행되는 대목이다. 장님 강 건너기, 자기 소개, 맹인 놀리기, 맹인 시장기 모면하기, 맹인 점치기, 맹인 눈뜨기, 뺑덕어멈 찾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맹인이 잃어버린 부인 뺑덕어멈을 찾으러 다니는 길에 좋은 명당터에 와서 억울한 것을 풀고, 배고픈 것을 해결하고, 눈을 뜨고, 뺑덕어멈까지 찾게 된다는 내용이다. 지팡이를 짚고 더듬거리며 등장한 맹인 조심스럽게 강을 건넌다. 어려움 속에 굿하는 장소에 도착한 맹인은 자신을 소개하는데, 자신이 고귀한 신분이었다고 한다. 맹인은 오던 길에 아이들을 만나 모욕을 당한 이야기를 하고 난후, 배불리 맛있는 음식을 얻어먹는다. 배불리 얻어 먹은 맹인은 이 집안을 위해 점을 쳐주고, 집안에 복이 가득할 것임을 말한다. 이어서 맹인은 집안에 있는 신이한 약수로 눈으로 뜨게 된다. 눈을 뜬 맹인은 자신의 부인인 뺑덕어미를 찾고, 마지막으로 대주에게 이 집 주인의 마누라가 지신할머니이기에 잘 위해야 한다고 말하고 맺는다. 맹인이 자신의 아내인 뺑덕어미를 찾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여러 일들이 재담과 노래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서낭 대목은 서낭 역을 맡은 만신이 제가집의 정성을 받아들여 도와주겠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영산 대목은 억울하게 죽은 여러 영산을 나열하고, 안 좋은 것을 다 제치러 왔으니 배불리 먹고 가슴에 응어리진 것을 풀고 가기를 청하는 내용이다. 상문 대목은 상문이 들어왔다고 알리고, 여러 죽음과 관련된 상문을 나열한다. 상문들을 잘 풀어먹이면 인간들을 잘 돌보아 줄 것이라고 한다. 수비 대목은 휘모리 장단에 잦은 만수받이로 여러 수비를 풀어먹인다. 그리고 모든 잡귀 잡신들이 잘 물러났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부엌칼과 북어를 문 밖으로 던져서 칼끝과 북어머리가 문밖을 향했는지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뒷전을 노는 동안 바가지에 모은 음식물과 상위의 음식을 보태서 밖에 내보내는 것으로 맺어진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