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
  • ●경기도 도당굿 뒷전
허용호

경기도의 마을굿인 도당굿에서 맨 마지막에 행해지는 무당굿놀이이다. 어둥이·무당·정업이 등의 등장 인물이 등장한다. 어둥이는 뒷전을 맡아하는 인물로 뒷전꾼 또는 굿꾼이라 불리며, 화랭이가 맡아한다. 무당은 깨낌꾼의 역할을 맡는다. 정업이는 사람 키보다 크게 만들어진 허수아비이다. 어둥이가 정업이의 대사를 맡아한다. 허수아비 정업이의 존재는 경기도 도당굿 뒷전을 인형 연행적 무당굿놀이로 보게 한다.

경기도 도당굿 뒷전의 내용은 뒷전꾼 어둥이가 오쟁이를 메고 밖에서부터 굿청으로 들어오는 것으로 시작된다. 오쟁이 안에는 온갖 금은보화와 비단, 약, 세간 도구, 음식 등이 다 들어있다. 굿청으로 들어온 어둥이는 께낌꾼과 마주치고 서로 신분을 확인한다. 그리고 씨름을 한다. 서로 얼르며 한참 동안 씨름을 하다가 결국 어둥이가 이긴다. 승리한 어둥이는 께낌꾼과 재담을 주고 받은 후, 뒷전을 맡아 행식한다. 어둥이는 도당할아버지로부터 이 마을의 수비 영산을 풀어먹이라는 영을 받고 호랑이에 물려간 영산, 아기낳다 죽은 영 산, 물에 빠져 수살 영산, 불에 간 화살 영산 등 억울하게 죽은 객귀들을 물린다. 그리고 장님 수비의 점에 따라 마을의 온갖 액을 품고 있는 정업이를 없애야 한다는 임무를 부여받는다. 이에 어둥이는 굿청 밖으로 나가 세워둔 정업이와 한바탕 씨름을 벌인다. 정업이와의 씨름에서 승리한 어둥이는 정업이를 굿당 안으로 데리고 들어와 치죄하며 매를 때린다. 매를 맞는 정업이는 노래를 부른다. 화랭이에 의해 불리는 이 노래는 판소리 춘향가 중 십장가이다. 판소리를 차용하여 정업이의 억울함과 아픔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업이의 죄는 인정되고 불에 던져져 태워진다.

확대보기
경기도 도당굿 뒷전
경기도 도당굿 뒷전
팝업창 닫기

경기도 도당굿 뒷전은 이처럼 잡귀 잡신들을 풀어먹이고, 마을의 모든 액을 품고 있는 정업이를 축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잡귀 잡신들을 풀어먹임으로써 혹 있을지 모르는 재앙을 예방하는 동시에, 마을의 모든 액의 원흉인 정업이를 구체적으로 축출하는 축귀적 무당굿놀이인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