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
  • ●동해안 거리굿
허용호

거리굿은 동해안 별신굿의 맨 마지막에 행해진다. 보통 굿의 맨 마지막에는 굿판에 오기는 했으나 그 신격이 낮아서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했던 잡귀 잡신들을 한꺼번에 풀어먹이고 위로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동해안 별신굿의 거리굿 역시 이러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거리굿은 굿청에서 제상위의 제물들을 모두 헐어서 한데 섞어 수비들을 먹일 물밥을 만들어 놓고 탁주 한 말을 준비하고 진행한다. 따로 신위를 배설하지도 않는다. 실제 연행은 동해안 지역의 무부(巫夫)인 화랭이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진다. 반주를 맡는 이들도 화랭이이며, 실제 거리굿을 이끌어가는 연행자도 화랭이이다. 거리굿의 진행 방식은 거리굿을 진행하는 화랭이 1인과 장고 반주를 맡는 화랭이의 대화로 이루어진다. 장고 반주를 맡는 화랭이는 거리굿을 진행하는 화랭이의 연행에 말참견을 하거나 묻는 말에 대답을 하며 대화의 상대가 되기도 한다. 때때로 관중들 가운데서 상대역이 뽑혀 거리굿의 등장 인물로 참여하기도 한다. 하지만 한 사람의 화랭이가 모든 거리를 진행하기에 일인다역은 필수적이다. 거리굿을 진행하는 화랭이는 맡게 되는 인물에 따라 소박하지만 분장을 하고,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소도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거리굿은 전체적으로 볼 때, 연행 이유 설명, 훈장거리, 과거거리, 귀신문열기, 관례거리, 골매기할매수부거리, 골매기할배수부거리, 봉사거리, 해녀거리, 어부거리, 군대놀이, 해산거리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연행 이유 설명 대목은 거리굿을 진행하는 화랭이가 거리굿의 목적과 의미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평복을 입은 화랭이가 장구잽이와 마주 서서 설명이 이루어진다. 훈장거리에서는 엉터리 훈장이 등장하여 엉터리로 공부하는 과정이 익살스럽게 표현된다. 화랭이 혼자서 훈장과 제자들의 역할을 모두 한다. 때때로 장구잽이가 개입하기도 하며 연행이 진행된다. 화랭이가 도맡아 하는 훈장과 제자들은 모두 비정상적인 엉터리 인물들이다. 천자뒤 풀이, 한글뒤풀이, 장타령 등의 골계적 가요가 여기서 불려진다.

확대보기
동해안 별신굿 소지 올림
동해안 별신굿 소지 올림
팝업창 닫기

과거거리는 엉터리 선생이 과거 보는 이야기가 중심이 된다. 역시 화랭이가 혼자서 연행한다. 엉터리로 답안을 작성한 선생은 과거에 합격했으나 주는 벼슬을 모두 거절해서 쫓겨나, 이를 비관하여 자살해서는 저승에 가서 다시 과거를 본다. 그리고 저승 과거에 합격하여 귀신을 관장하는 호구강관이라는 직책을 받고 이승으로 되돌아온다는 내용이다. 귀신문열기는 뚜렷한 움직임이 없는 대목이다. 경문을 낭송하는데, 육갑의 순서에 따라 방위별로 귀신을 배치한다는 내용이다. 관례거리에서는 관중이 등장 인물이 된다. 사촌, 사장, 아버지 등의 인물을 관중 가운데서 뽑아 나오게 한 뒤, 사촌과 대화를 골계적으로 진행한다. 짚으로 만든 성기를 상투라 하여 사촌의 머리에 씌웠다가 다시 풀어서 아랫도리에 매어 놓고 굿당 안을 돌며 돈을 걷어 오게 한다. 이것은 남모르게 먼저 어른 되는 부분부터 관례를 해야 된다는 이유라고 설명하지만, 이 과정에서 사촌역을 하는 마을 사람은 짚으로 만든 성기를 공공연하게 드러내고 실컷 무안을 당한다.

골매기할매수부거리에서 화랭이는 치마 저고리를 입고 수건을 쓰고 등장한다. 화랭이는 골매기할매수부가 되어 착한 며느리와 악한 며느리의 행실을 실감나게 비교해서 보여준다. 골매기할배수부거리는 골매기할배수부가 할멈을 찾는다며 익살을 부리는 내용이다. 화랭이는 갓을 쓰고 짚으로 만든 안경을 쓰고 지팡이를 짚고 등장하여 골매기할배수부 역할을 한다. 봉사거리는 장님이 등장하여 방아 찧는 동네 아주머니들과 수작을 부리는 내용이다. 아주머니들과 봉사 사이에서 불리어지는 노래는 상당히 외설스럽다. 여기서 화랭이는 눈을 감고 지팡이를 짚고 등장하여 봉사임을 표현한다. 이 거리의 후반부는 약수를 길어다가 눈을 씻자 눈이 뜨이는 것으로 마무리되고, 화랭이는 안질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해달라는 의미로 행하는 굿이라고 설명한다.

해녀거리에서는 화랭이가 짚으로 만든 물안경을 쓰고 등장해서 잠수질하는 흉내를 낸다. 대사가 거의 없고, 동작이 중심이 되는 거리로 머구리거리라고도 한다. 해녀 혹은 잠수부들의 사고를 막아줄 것을 비는 내용이 담겨있지만, 해산물을 딴다고 하면서 할머니들의 치맛자락을 들추는 행동을 통해 한바탕 웃음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어부거리에서는 폭풍우를 만난 어부가 배가 뒤집혀 물에 빠져 죽는 광경을 보여준다. 군대놀이에서는 군사 훈련을 받는 모습을 보여준다.

해산거리는 마을 유지의 꾐에 빠져 아이를 밴 여인이 아이를 낳는 과정이 표현된다. 화랭이가 치마저고리를 입고 수건을 쓰고 짚단에 바가지를 씌워서 치마 속에 넣고 아기 낳는 모습을 보여준다. 짚으로 만들어진 몸체에 바가지로 된 얼굴을 가진 일인형이 아기 역할을 한다. 태어난 아기는 얼마 안되어 병이 들어 죽고, 거리굿을 진행하는 화랭이는 인형 아기를 깨끗이 태워 없애게 한다.

흔히 거리굿을 연행하는 이유를 여러 굿거리에서 청배한 신들을 따라온 수비들을 먹여 보내는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본다면 다른 지역의 뒷전과 그 성격이 유사하다. 제대로 대접받지 못한 잡귀 잡신을 풀어먹이는 뒷전의 속성을 공유하는 것이다. 하지만 거리굿의 내용을 보면, 잡귀 잡신을 한꺼번에 풀어먹이고 위로한다는 의미 이외에도, 인간 생활의 여러 면모를 다양하게 그것도 재미있게 보여주려는 의도가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 생활 주변에서 흔히 부 딪치는 문제들을 과장되고 골계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화랭이들은 성과 관련된 모습을 과감하게 노출하고 온갖 재담과 소리를 동원하여 웃음을 불러일으키려 애를 쓴다. 이러한 성격으로 인하여 동해안 별신굿의 거리굿은 흥미와 재미를 추구하는 속성이 강화된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