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
  • ●제주도 구삼싱냄
허용호

구삼싱냄은 아기에게 병을 주는 구삼싱할망의 범접으로 앓는 아이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행해진다. 등장 인물은 구삼싱할망과 아기, 조왕신, 고팡제왕칠성, 마루방신, 오방토신, 삼싱할망 등이다. 여러 인물이 등장하지만 심방이 모든 역할을 맡아서 한다. 구삼싱 할망 역할을 하는 심방이 채롱 안에 음식을 넣어 애기구덕인양 하고 ‘웡이 자랑 웡이 자랑’ 하면서 자장가를 부르며 흔들어 마치 아기가 있는 듯 보이게 한다. 구삼싱할망은 심방이 역할을 맡는다. 허름한 치마저고리를 입고, 흰 천에 눈 코 입의 구멍을 뚫은 가면을 써서 구삼싱할망 역할을 한다. 가면을 쓰고 등장한다는 점에서 가면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조왕신·고팡제왕칠성·마루방신·오방토신·삼싱할망 등은 각각의 장면 속에서 구삼싱할망 역을 하는 심방이 1인 2역을 되풀이하는 방식으로 형상화된다. 사실상 구삼싱냄은 심방 1인의 연행이라 할 수 있다.

구삼싱냄의 내용은 갑자기 구삼싱할망으로 분장한 심방이 애기구덕을 뺏어 들고 부엌으로 달려들어 조왕신에게 자기를 숨겨달라고 부탁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때 심방이 돌아서서 어조를 달리하여 버드나무 막대기로 솥두껑을 때리면서 “나쁜 년이 누구에게 숨겨달라고 하느냐, 썩 꺼져라”하고 소리를 지른다. 이런 식으로 온 집안을 다니면서 고팡, 마루방, 오방토신, 삼신할망이 있는 아기구덕에까지 가보지만 쫓겨나가기를 반복할 뿐이다. 결국 숨을 곳이 없음을 안 구삼싱할망이 떠날 결심을 하면 집안 사람들은 돈과 음식을 주면서 잘 떠나라고 대접한다. 연행은 구삼싱할망이 마을 밖으로 나가는 것으로 끝이 난다.

구삼싱냄에서는 아기에게 병을 주는 악귀가 초라한 여자의 모습으로 구체화된다. 그런데 이 악귀, 곧 구삼싱할망은 순순히 물러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든 집에 머물고자 한다. 이에 온 집안의 신격들이 한 마음이 되어 몰아내는 것이다. 구삼싱할망이 집안 여기저기로 도망다닐 때, 굿을 하는 집안 식구들은 집안의 신격들과 한 마음이 되어 구삼싱할망을 몰아내는 일을 거든다. 심방들과 가족 혹은 마을 사람들은 마을 밖으로 구삼싱할망을 내쫓는 일에 기꺼이 참여한다. 이 과정에서 즉흥적인 행동과 말이 덧붙여지기도 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