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
  • ●제주도 전상놀이
허용호

제주도에서 큰 굿을 할 때 벌어지는 무당굿놀이로 삼공맞이라고도 부른다. 제주도 무속 신화인 삼공본풀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전상놀이 또는 삼공맞이는 삼공신을 맞아들이고 그 삼공신으로 하여금 집안의 모든 사(邪)를 쫓아내게 하는 무당굿놀이이다. 전상놀이에서 몰아내는 사는 전상으로 구체화된다. 전상이란 평상시와 달리 마구 술을 먹거나 해괴한 짓을 하여 집안을 망치는 행위, 또는 그러한 행위를 일으키게 하는 것이라 한다. 노름이나 버릇이 된 도둑질 또는 직업까지도 유난히 집착하면 이를 제주도에서는 전상이라 하는데, 이 전상을 쫓아내는 무당굿놀이가 전상놀이인 것이다.

전상놀이에는 장님 거지부부와 가믄장 애기가 등장한다. 가믄장 애기는 심방이 맡아서 하며, 장님 거지 부부는 소미 2명이 맡는다. 장님 거지 부부가 흰 헝겊가면을 쓰고 등장한다는 점에서, 전상놀이는 가면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전상놀이는 삼공맞이상을 차려놓고 소미 2명이 장님 거지 부부로 분장해서 바깥에 대기하게 한 뒤 시작된다. 이들 부부는 허름한 차림에 지팡이를 짚고 흰 헝겊가면을 썼다. 심방이 삼공신을 청하면 밖에 있던 장님 거지 부부가 막대기를 짚고 더듬거리며 등장한다. 장님 거지 부부는 가믄장 애기가 연 거지 잔치에 얻어먹으러 온 것이다.

부모임을 알아본 가믄장 애기가 잔치를 마친 후 손수 음식을 권한다. 그리고 살아온 이야기 듣기를 청하니 딸을 구박하여 재산 잃고 장님이 된 내력을 노래한다. 장구를 치면서 노래하는 그 내력이 바로 서사무가 ‘삼공본풀이’이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흉년이 든 해에 위아래 마을에 사는 거지가 만나 부부가 되었다. 가난해도 금실이 좋아 은장 애기, 놋장 애기, 가믄장 애기 등 세 딸을 낳아 키우며 부자가 되었다. 부부가 하루는 세 딸을 불러 누구 덕에 사느냐 물으니 첫째와 둘째 딸은 하느님, 지하님, 부모님 덕이라 했다. 하지만 막내딸 가믄장 애기는 ‘뱃또롱 아래 선그믓 덕’(배꼽 밑의 선금 덕)에 잘산다고 했다. 부모는 위로 두 딸을 효심이 지극하다고 칭찬해주고 막내 딸을 불효하다고 내쫓았다. 딸을 내쫓은 부부는 섭섭한 마음에 딸을 부르려고 내닫다가 문지방에 눈이 부딪쳐 장님이 되고 일시에 가산을 탕진하여 거지가 된다. 쫓겨난 막내 딸은 마를 캐 먹고 사는 마퉁이를 만나 결혼하고 마구덩이에서 금덩이, 은덩이가 쏟아져 나와 부자가 된다. 부자가 된 막내 딸은 부모가 장님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부모를 찾기 위해 각 고을의 장님을 초청해 석달 열흘 동안 잔치를 벌인다.

장님 거지 부부와 상을 받고 앉아 여기까지 노래를 하면, 막내 딸은 자신이 가믄장 애기라고 밝힌다. 이 소리를 들은 거지 부부는 깜짝 놀라며 두 눈을 뜨게 된다. 눈을 뜬 거지 부부는 전상을 재연하고 몰아낸다. 먼저 남편이 방마다 돌아다니며 돗자리를 둘러쓰고 누우면, 심방이 막대기로 때려 내쫓는다. 돗자리를 둘러쓰고 누운 것이 곧 전상을 구체화한 것이며, 이를 막대기로 때리며 쫓아내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부부가 같이 집안의 모든 전상을 집밖으로 쫓는 것으로 전상놀이를 끝낸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