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
  • ●남해안 적덕이놀이굿
허용호

적덕이놀이굿은 적덕이라고 불리는 인형이 등장하는 무당굿놀이이다. 남해안별신굿의 가장 마지막 굿거리인 시석 직전에 연행된다. 등장하는 인물은 적덕이, 적귀, 천하궁도시, 지하궁도시, 하인 등이다. 2명의 산이가 각각 일인다역을 한다. 적덕이와 적귀는 당나라 사람으로 근친상간하여 죽임을 당한 남매 귀신들이다. 이들은 동네방네 돌아다니며 동네의 분란을 일으키는 존재이다. 이 적덕이와 적귀를 몰아내는 것이 적덕이놀이굿의 중심 내용이 된다.

적덕이놀이굿은 ‘적덕이와 적귀의 등장’, ‘천하궁도시·지하궁도시·하인의 등장’, ‘적덕이와 적귀가 마을 사람들을 희롱’, ‘천하궁도시와 지하궁도시가 적덕이와 적귀를 징치’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놀이가 시작되면 적덕이와 적귀의 역할을 맡은 2명의 산이들이 등장하여 수작을 벌인다. 그러다가 상황과 배역이 변경되면서 산이 1명이 천하궁도시와 지하궁도시가 되어 대나무 장대로 된 말을 타고 칼을 들고 나타난다. 또 다른 산이는 하인이 되어 천하궁도시와 지하궁도시를 따라다니면서 마을 사람들에게 술을 건네고 별비를 얻는다. 그러다 다시 상황이 바뀌면 하인역을 맡은 산이가 적덕이와 적귀를 상징하는 인형을 양손에 갈라 쥐고 마을 사람들을 희롱한다. 인형은 짚으로 만든 것으로 50㎝ 내외의 크기이다. 여자인 적귀는 마을 사람들에게 다가가 뺨을 부벼대며 돈을 뜯어내고 웃음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한참 이렇게 노는데, 천하궁도시와 지하궁도시가 이 적덕이와 적귀를 잡고 불로 태운다. 동네 분란을 일으키는 존재인 적덕이와 적귀를 제거함으로써 마을의 평안함을 꾀하는 것으로 적덕이놀이굿이 끝이 난다.

적덕이놀이굿은 동네에 분란을 일으키는 존재인 적덕이를 천하궁도시와 지하궁도시가 처치함으로써 동네의 평안을 가져온다는 내용이다. 적덕이는 재앙의 원흉으로 간주되는 잡귀이며, 인형으로 그 형상이 표현된다. 이 인형이 불태워지거나 배에 띄워보내짐으로써 동네의 재앙이 사라졌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핀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는 크게 재앙을 불러올 수도 있는 잡귀 잡신들을 풀어먹이는 내용과 병을 일으켰거나 일으킬 악귀들을 쫓아내는 내용으로 대별된다. 재앙을 불러올 수 있는 잡귀 잡신들을 풀어먹이는 내용의 무당굿놀이는 주로 무당굿의 맨 마지막에 행해진다. 황해도 마당굿, 서울 성주받이 뒷전, 경기도 도당 굿 뒷전, 동해안 거리굿, 진도 종천맥이, 전라도 삼설양굿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뒷전형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뒷전형 무당굿놀이는 대체적으로 웃음이 가득한 분위기에서 진행되며 놀이화·세속화되어 가는 양상을 많이 보인다.

병을 일으켰거나 일으킬 악귀들을 쫓아나는 내용의 무당굿놀이로는 평안도 자리곰방놀이, 동해안 말놀이, 동해안 여처낭굿, 동해안 호탈굿, 남해안 적덕이놀이굿, 제주도 구삼싱냄, 제주도 칠성새남굿 허맹이놀림, 제주도 영감놀이, 제주도 용놀이, 제주도 악심꽃꺾음, 제주도 전상놀이 등이 해당된다. 병을 치유하는 목적을 가진 치병굿에서 이러한 내용의 무당굿놀이가 많이 연행되어 치병굿형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동해안 맹인놀이도 넓게는 치병굿형 무당굿놀이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위에서 언급을 하지는 않았지만, 제주도 불찍앗음, 충청도 아산 우환굿, 충청도 미친굿, 충청도 깨비잡이 등도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 뒷전형 무당굿놀이가 연행자 일인의 다양한 역할 전환을 통해 연행되는 것에 비해, 치병굿형 무당굿놀이의 경우 다양한 양상의 극적 구성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도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