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1 한국 건축의 변화 양상
  • 03. 한국 전통 건축의 특성
  • 문화적 의미
천득염

한국과 일본의 건축을 흔히 중국계라고 한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은 원래 각각의 민족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원시 문화와 외부로부터 도입한 문화 요소들을 시대가 경과함에 따라 융합, 동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시켰다. 한국과 일본은 상이한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에 의하여 각기 특성이 다른 건축 문화를 형성하였다. 즉, 같은 중국계 건축문화라고 하여도 중국, 한국 및 일본은 그 건축양상이 각기 적지 않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차이는 통속적인 개념으로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다면 건축문화의 전반적인 면에 있어서 중국은 대륙성, 한국은 반도성, 일본은 도서성의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건축의 외관상에 있어서는 중국은 장중성, 한국은 유려성(流麗性), 일본은 단순성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하겠다. 또한, 건축의 색채면에 있어서는 중국은 번화성, 한국은 청초성, 일본은 농연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39)윤희순, 『조선미술사연구』, p.30 : 윤장섭, 『한국의 건축』, p.8 재인용.

넓은 국토와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발전한 중국 건축은 거대 한 규모와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보는 이를 압도하는 바가 있다. 따라서 시각적으로는 기름진 포만감을 느끼게 만든다. 이와 대조적으로 일본 건축은 단순하고 정교하며 그 표현에서는 담백함이 느껴진다. 그러나 한국 건축은 기교가 적으며 자연과 합일하는 느낌을 주는 특성이 있으며 ‘대교약졸(大巧若拙, 훌륭한 기교는 오히려 졸렬함)’의 멋을 나타내는 점이 있다.40)윤장섭, 『한국의 건축』, p.9.

윤장섭 교수는 그의 저서 『한국건축사』에서 한국 건축 문화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① 건축 구조 형식의 특징 ② 친근감을 주는 척도 ③ 자연과의 조화 ④ 조형의장의 특징으로, ㉠ 기둥에 배흘림이 있는 것, ㉡ 기둥의 안쏠림과 우주의 귀솟음을 두는 것, ㉢ 지붕의 처마곡선미(후림, 조로) ⑤ 공간구성의 특징 ⑥ 장식과 색채의 특징 ⑦ 건축미의 특징 등이라고 하였다.

또한, 주남철 교수는 그의 저서 『한국건축사』에서 기존의 견해를 포괄적으로 정리하여 한국 건축 문화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① 좌우대칭 균형과 비좌우대칭 균형의 공존체계 ② 선적구성과 유연성 ③ 채와 칸(間)의 분화 ④ 개방성과 폐쇄성 ⑤ 인간적 척도와 단아함 ⑥ 다양성과 통일성 ⑦ 사상성: 풍수지리, 도참사상, 도가사상과 음양오행론, 유교 ⑧ 자연과의 융합성 등이라 하였다.

그렇다면 우리의 전통 건축은 어떠한 문화적 의미와 특징을 지니는가? 흔히 우리의 전통 건축은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다고 한다. 반만년 역사를 지내면서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가장 잘 반영해 주는 것이 우리의 글과 음식, 의복, 그리고 건축일 것이다. 그러나 정말 우리 건축이 다른 나라의 건축에 비하여 남다른 특성이 있고 아름다운 것일까? 구체적으로 무엇이 아름답고 우리다운 것이며, 우수한 것인가?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