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2 모둠살이와 살림집: 전통마을과 한옥
  • 01. 전통마을
  • 마을의 입지와 영역구성
  • 1. 마을 입지의 요건
한필원

농경사회에서 마을의 입지를 결정하는 데는 환경적인 조건과 사회경제적인 조건이 같이 작용한다. 일찍이 이중환(李重煥)은 『택리지(擇里志)』에서 가거지(可居地)의 요건으로 지리(地理)·생리(生利)·인심(人心), 산수(山水)를 들었는데, 지리와 산수는 환경적 조건에, 생리와 인심은 사회경제적 조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환경적 조건은 마을의 지형조건 등이 정주지를 형성하는 데 유리한가 하는 점이고, 사회경제적 요인은 농업을 경영하고 물이나 연료, 건축재료 등 생활에 직접 관련되는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한가 하는 점을 말한다.

전통마을 입지의 환경적 조건 중에서 지형은 가장 중요한 판단기 준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마을의 입지를 선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 풍수지리는 바로 지형을 해석하는 논리였다. 전통마을의 전형적인 입지조건을 세부 지형의 측면에서 분석하면, 일반적으로 앞쪽을 제외한 삼면이 위요되는 장소에 주거지가 위치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지형 특성은 주거지의 영역감을 형성해 주며, 방풍 등 미기후를 조절하는 데도 유리하다. 또한, 입지를 수계(水系)의 측면에서 보면, 주거지는 마을 후면의 계곡으로부터 형성된 수로를 끼고 있다. 이는 수자원을 확보하고 마을 전면의 농경지 또는 하천으로 방류되는 수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유리한 입지이다.

확대보기
원터마을 지형의 컴퓨터그래픽
원터마을 지형의 컴퓨터그래픽
팝업창 닫기

위 그림은 전형적인 전통마을인 원터마을의 지형조건을 보여준다. 이 마을은 북쪽과 서쪽이 산으로 둘러싸이고 남쪽과 동쪽이 개방된 입지에 위치함으로써 겨울철의 일조 및 방풍과 여름철의 통풍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마을 뒤의 계곡에서 맑고 시원한 물이 내려와 북쪽 안길을 따라 마을 앞으로 흐른다. 이렇게 원터마을은 물을 확보하고 이용하기 쉬운 입지조건을 가지고 있다.

마을은 가능한 한 일상생활과 생업에 필요한 자원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입지에 위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마을에서 생활에 필요한 자원을 취득하는 데 드는 비용 단위를 비교하면 다음의 그림과 같다. 여기서 특히 물과 농경지를 확보하는 데는 건축재료나 목초, 연료 등 다른 요소들을 얻는 것보다 훨씬 많은 노력과 비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 그림에 의하면 물과 농경지는 마을의 입지를 정하는 데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다.

확대보기
마을의 입지조건과 비용단위
마을의 입지조건과 비용단위
팝업창 닫기

한국의 전통마을에서도 일상생활의 필수 자원인 식수를 확보하고 주변에 충분한 농경지를 확보할 수 있는 장소가 주거지로 적합하게 생각되었다. 특히, 식수를 확보하는 것은 마을의 입지를 결정하는 데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물은 사람의 거주와 생업인 농업에 다 같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곧, 물은 마을의 입지를 결정하는 데 작용하는 환경적 조건과 사회·경제적 조건 모두에 불가결한 요소이다. 더욱이 전통사회에서는 물을 대량으로 운반하고 저장하는 일이 곤란했으므로 물을 가까이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지역만이 주거지로서 적합하게 여겨졌다.

전통마을의 전형적인 입지인 산록완사면(山麓緩斜面)은 바로 지하수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지형조건을 갖춘 곳이다. 골이 깊지 않으면 수량이 적어 우물이 마르기 쉬우므로 골이 깊은 곳이 적당하다. 그리고 산록사면은 몇 개의 경사변환점을 가지고 있어서 지하수가 용출될 뿐 아니라 지하수대가 높고 풍부해 취수에 편리한 장소이다.58)오홍석, 『취락지리학』, 교학연구사, 1989, p.305. 앞의 그림에서 보는 원터마을의 주거지도 바로 그런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이같이 물을 손쉽게 얻는 것은 마을의 입지에 필요조건이며, 더욱이 좋은 물은 마을이 내세울 만한 자랑거리이기도 하다.59)대전시 동구 이사동 상사마을에서 寒泉이라는 우물을 주거지 전면에 두고 외부인에게 내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다. 한천은 이 마을의 入鄕祖, 곧 마을에 들어와 자리를 잡은 조상인 宋星駿의 호이기도 하지만 말 그대로 여름에 찬 물이 나는 우물이라는 뜻이다. 상사마을에서 차고 맛좋은 물을 마을의 가장 중요한 조건 가운데 하나로 여긴 전통 사회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