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2 모둠살이와 살림집: 전통마을과 한옥
  • 01. 전통마을
  • 마을의 입지와 영역구성
  • 2. 마을의 영역
  • 마을의 경계와 입구
한필원

‘마을’이라는 용어가 지칭하는 공간적 범위는 마을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주거지, 곧 택지가 조성된 범위만을 마을이라고 하기도 하며, 주거지를 비롯해 인접한 농경지와 산을 포함하기도 한다. 주 거지의 주변에 있는 농경지의 대부분을 그 주거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경작하는 경우, 그들은 마을의 공간적 범위에 농경지를 포함시키는 경향이 있다. 반면, 주거지 주변의 농경지를 인접한 여러 마을에서 나누어 경작하고 있는 경우, 마을의 영역에서 농경지를 제외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로부터 마을영역의 경계 인식은 농경지의 소유와 경작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경계 인식에서 성별(性別) 차이를 보면, 남자는 여자보다 주거지 주변의 농경지를 더욱 많이 포함해 마을의 범위를 넓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응답자의 활동범위와 마을에 대한 영역감이 밀접하게 관련되고 있음을 말해 준다. 따라서 마을의 경계 인식은 단순한 지각 심리적 현상이 아니라 거주자의 생활과 밀접히 관련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물리적 요소든 인위적 요소든 선적인 성격이 강한 요소가 마을의 경계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마을영역을 둘러싸는 산의 능선이 마을의 경계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주민들의 의식 속에서 마을의 영역이 지형에 의해 자연스럽게 규정됨을 암시한다. 또한, 마을영역의 경계지점으로 인식되는 곳에는 독특한 조경 처리를 하여 영역이 바뀜을 뚜렷이 표시한 마을들이 많다. 마을 뒷면이나 옆면의 선적인 조경은 영역성을 확인시켜 주는 환경심리적 기능과 함께 주거지 뒤에서 불어오는 겨울철 계절풍을 막아주는 환경조절의 기능도 갖는다.

마을영역을 뚜렷이 규정한다고 해서 그것을 답답하게 폐쇄적으로 구성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마을에서 정자(亭子)의 위치와 구성을 살펴보면 이를 잘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을의 앞쪽에 위치하는 정자는 주민들이 자연스럽게 접촉하는 사회적 성격의 공간으로 마을의 중심 시설이다. 그것은 주로 뒤쪽의 주거지에서 접근되어 이용되지만 마을의 앞쪽에 마을 외부를 향해 배치된다. 그리고 정자 건물의 모퉁이에는 흔히 주변의 경관을 읊은 싯구를 적은 주련(柱聯)을 달아 놓는데, 이는 마을영역과 그 바깥의 자연환경이 시각적으로 원활히 연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는 여기서 마을의 거주영역이 마을공간에 한정되지 않고 시각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주변의 경관까지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통마을의 시설들을 마을공간만이 아니라 마을 주변의 광역적 자연환경을 고려해 배치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그림은 원터마을의 정자인 방초정(芳草亭)에서 바라본 마을 앞의 경관이다. 방초정은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건립되었다가 정조 11년인 1787년에 다시 지어진 아름다운 정자로, 이 사진으로부터 정자의 위치와 구성이 마을 앞 멀리 보이는 산과 관련됨을 이해할 수 있다.

확대보기
나주 도래마을 경계의 조경
나주 도래마을 경계의 조경
팝업창 닫기

마을은 하나의 정주단위로 인식되어 왔기 때문에 입구에는 장승·당간지주·솟대 등 표시물을 설치해 특정한 영역이 시작됨을 알렸다. 또한, 마을의 입구에 당산나무와 같은 특별한 자연요소를 배치하기도 한다. 마을입구는 마을영역과 외부를 연결하는 곳으로 그 위치는 마을공간의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마을공간의 각 부분들을 이어주는 마을길은 마을입구에서부터 뻗어나감으로써 마을입구는 마을길의 체계와 직접 관련된다. 또한, 마을공간을 이루는 주 택과 공동시설들은 대개 마을입구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므로 마을입구는 마을공간의 전체적인 방향성에도 밀접히 관련된다.

확대보기
김천 원터마을의 정자인 방초정에서 본 마을 앞 경관
김천 원터마을의 정자인 방초정에서 본 마을 앞 경관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전라북도 정읍 칠보면 백암리의 당산나무
전라북도 정읍 칠보면 백암리의 당산나무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