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2 모둠살이와 살림집: 전통마을과 한옥
  • 01. 전통마을
  • 씨족마을의 공간구조
  • 2. 씨족마을의 공간 구성요소
  • 마을공간 구성요소
한필원

마을공간을 이루는 물리적 구성요소는 관점과 척도(scale)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토지이용에 따라서 마을공간을 분류하면 크게 주거지와 농경지 그리고 주변 자연요소로 나뉜다. 이들을 좀 더 세분하면 주거지는 그것을 이루는 대지(垈地)와 길, 그리고 대지 위에 놓이는 주택과 공동시설로 구분된다. 농경지는 논·밭과 농로로 주변 자연요소는 산·시내(川)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들 중 주거지를 이루는 요소들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확대보기
마을의 전형적인 토지이용 형태
마을의 전형적인 토지이용 형태
팝업창 닫기

대지는 지적 상의 한 분류로서, 주택과 공동시설의 건립을 위해 사용된 토지를 일컫는다. 주거 지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단위인 대지는 그 위에 세워지는 주택의 배치에 큰 영향을 준다. 길은 마을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시켜 하나의 유기적인 마을영역으로 조직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마을의 주거지에서 주된 외부공간은 바로 길이며, 그것은 대지와 달리 공적인 공간으로 인식된다. 이는 서양의 전통적인 정주지에서 외부 공간이 가로와 광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과 비교된다.

마을 길은 두 가지의 기능을 지닌다. 하나는 각각의 주택이나 공동시설로 이동하는 ‘통로’ 역할이며, 다른 하나는 농작물의 건조, 만남, 어린이의 놀이와 같은 ‘행위의 장소’ 역할이다. 길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우선적인 요인은 ‘이동 목표점의 위치’이므로 길이 형성되는 데 전자가 우선 영향력을 갖는다. 이동의 목표점으로는 주거지 내부에 있는 각 주택을 비롯해 정자, 마을회관 등 공동시설물을 들 수 있고, 주거지 외부에는 마을입구, 농경지 또는 주변의 산과 같은 자연요소가 있다. 그러나 마을공간에서 길이 갖는 중요성과 의미는 바로 후자의 역할, 곧 길이 통로의 역할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동생활의 행위를 수용하는 데 있다. 전통마을에서 길은 동선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거주자들이 간단한 작업을 하거나 잠시 머물러 서로 대화하고 아이들이 놀이를 하는 공적인 생활의 장소가 된다.

마을에 있는 길은 ‘안길’과 ‘샛길’로 구분된다. 마을공간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들을 연결하는 도로인 안길은 마을 입구에서 시작해 마을 뒤쪽의 경계까지 이어지는 길이다. 안길은 씨족마을의 경우 종가가 자리 잡으면서 가장 먼저 생기는 마을의 주도로이다. 각각의 주택으로 진입하기 위해 형성된 길이라기보다 마을공간 구성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연결하는 통과의 성격이 강한 도로인 안길은 마을공간을 전체적으로 조직하는 축의 역할을 한다. 또한, 그것은 마을의 내부와 외부를 이어주는 동선이며 동일한 정주권을 이루는 인접 마을들로 연결되는 도로이다. 안길의 형태는 굴곡이 심하지 않은 직선형이거나 마을에 따라서는 몇 개의 직선형 길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기도 한다.

확대보기
제주도 성읍마을 올레
제주도 성읍마을 올레
팝업창 닫기

샛길은 안길이 형성된 후 그것에서 뻗어 나와 점차 조성되는 대지에 접근하고 진입하는 데 이용된다. 이렇게 샛길은 통과의 기능보다 주택으로의 접근과 진입을 위해 형성된 길이다. 샛길은 일반적으로 한 집의 대지에서 종결되는 막다른 골목의 형태 혹은 고리형태를 취한다. 샛길은 남부지방에서 고샅, 제주도에서는 올레라고도 부른다.

전통마을에 있는 주택들은 제각기 다른 유형이 아니라 일정한 유형이 변형된 것이며, 따라서 주거지의 경관에 통일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마을에 존재하는 주택형을 완성형과 일반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거주자들에게 하나의 모델로 인식되는 유형으로 공간구성과 재료의 사용 등에서 격식을 갖춘 주택형을 말한다. 이는 거주자의 사회경제적 여건이 갖추어졌을 때 채택되는 유형으로 종가 등 일부 주택에서만 제한적으로 선택된다. 후자는 완성형의 변형으로 생각될 수 있는 주택형으로 완성형보다 격식이 약화된 형태이다. 일반형에서는 격식보다 생활의 편의성과 같은 실용적 목적이 중시 된다. 마을에 있는 대부분의 주택들은 이 일반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일반형은 특정한 상황에 따라 다시 몇 종류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공동시설은 공유되는 규범의 틀 안에서 마을사람 누구나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시설을 말한다. 전통마을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공동시설로는 의식시설(儀式施設)로서 사당과 재실, 사회시설로서 정자·정사(精舍)·마을회관 등이 있으며, 그밖에도 마을창고 등의 농업시설과 상점 같은 편익시설이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