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2 모둠살이와 살림집: 전통마을과 한옥
  • 01. 전통마을
  • 씨족마을의 공간구조
  • 3. 씨족마을의 공간구조
  • 마을 공간구조의 분석의 틀
한필원

다음에 보이는 그림은 경상북도 김천에 있는 원터마을이라는 한 전형적인 농촌마을의 배치도이다. 이 도면을 볼 때 당장 어떠한 공간적 질서를 읽어내기는 쉽지 않다. 한국의 전통마을은 기하학적 질서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언뜻 보아서는 어떠한 질서도 갖지 못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통마을, 특히 씨족마을을 기하학적인 관점이 아닌 ‘위상학적’ 관점68)위상기하학이 연구하는 것은 도형의 크기·모양 등에 관계된 성질이 아니고, 도형을 이루고 있는 점·선·면끼리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를 보고 같은 상태인지 아닌지를 살피는 일이다(김용운 외, 『공간의 역사』, 전파과학사, 1977, p.214). 위상기하학은 변하지 않는 거리나 각도, 면적을 문제삼지 않고 근접(proximity), 분리(separation), 계속(succession), 폐합(closure, 내부·외부), 연속(continuity)이라는 관계에 기초를 두고 있다. 따라서 ‘위상기하학적’이란 기하학적인 절대위치가 일정한 원칙에 따라 변형되어도 그것이 가지는 의미는 변함이 없다는 의미이다(Norberg-Schulz, Christian, Intentions in Architecture, Allen and Unwin, 1963, p.43). 한편, 장 피아제(Jean Piaget)는 모든 공간지각의 기본이 되는 위상기하학적 요소로 근접관계, 분리관계, 질서관계, 폐합관계, 연속관계 등 다섯 가지를 든다.으로 볼 때 마을에 내포된 명료한 질서를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앞에서 분류한 마을 공간의 구성요소들이 이루는 전통마을의 공간구조를 정위성(定位性), 연계성, 상관성, 그리고 위계성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마을의 전체 공간과 공간요소들의 관계는 주로 정위성과 연계성의 개념으로, 공간요소들 사이의 관계는 주로 상관성과 위계성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개 념들은 서로 독립된 것이 아니며, 같은 현상을 다른 시각으로 해석하는 개념으로서 서로 밀접히 관련된다. 이 개념들은 여러 연구자들이 1980년대부터 축적해 온 한국 전통마을에 대한 현지 실측조사의 성과를 토대로 필자가 도출, 정립한 것이다.

확대보기
김천 원터마을 배치도
김천 원터마을 배치도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