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2 모둠살이와 살림집: 전통마을과 한옥
  • 01. 전통마을
  • 씨족마을의 공간구조
  • 3. 씨족마을의 공간구조
  • 마을공간과 공간요소의 관계
한필원

[정위성] 사회관계에서 상하질서를 중시하는 한국 전통사회의 특성은 마을의 공간구조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으며, 그 결과 마을공간은 균일하지 않은 장소의 연속적인 체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마을공간에서 공간요소의 위치는 그 공간요소의 성격을 규정하는 하나의 요인이다. 이러한 생각에 바탕을 둔 개념인 정위성은 마을공간에서의 위치에 따라 규정되는 공간요소의 성질이라고 정의된다.

정위성은 마을공간에서 공간요소가 위치하는 장소가 달라지면 그 공간요소의 특성에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씨족마을의 공간은 정신적 위계성을 가진다는 일반적 사실에 근거하고 있으며, 마을주민들의 사회계층이 혈연관계의 서열과 반상(班常)의 구분에 따라서 상이하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즉, 주민들의 사회경제적 차이가 필연적으로 공간의 차이를 초래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위성은 다음에 설명하는 위계성의 개념과 밀접히 관련된다.

정위성의 개념은 마을 안에서 공간요소들이 상이점을 갖는다는 것이므로 주택을 지역적·경제적 혹은 문화적 산물로 보는 일종의 거시적 시각을 보완해 주는 개념이다. 정위성의 개념에 따르면 한 마을에서도 위치에 따라 주택의 구성과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확대보기
경주 양동마을
경주 양동마을
팝업창 닫기

씨족마을을 구성하는 데는 마을공간에서 앞·뒤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위계를 달리 부여하는 ‘전후(前後) 개념’이 강력하게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정위성의 개념으로 마을의 공간구조를 파악할 때는 주로 마을에서 앞·뒤 공간의 차이에 따라 공간요소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69)현대의 주거단지 계획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온 近隣住區(Neighborhood) 이론에서는 주거단지의 공간구성을 중심과 주변의 개념을 바탕으로 동심원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한국의 마을 구성에서는 중심과 주변의 개념보다 ‘전후 개념’이 더 강력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주거지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우리는 우리의 전통과 현실에 적합한 계획원리가 필요함을 느끼게 된다. 전통마을을 오늘의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은 그러한 계획원리의 근거들을 찾아내는 하나의 중요한 방법이다. 씨족마을의 마을공간은 위상기하학적 위치관계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는데, 이러한 정신적 질서는 마을의 앞·뒤 공간이 갖는 의미의 차이로 표명된다. 이같은 질서의 공간적 표현을 앞서 설명한 마을의 3영역, 곧 개인적 영역, 사회적 영역, 의식 영역과 관련지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전면: 위계가 낮음, 사회적 영역, 속(俗): 주로 정자가 위치함

- 후면: 위계가 높음, 정신적 영역, 성(聖): 주로 사당, 재실, 선산이 위치함

그리고 전·후면의 사이에 개인적 영역이 위치한다. 그런데 이같은 전후의 위계는 일반적으로 지형의 높고 낮음과도 일치한다. 곧, 지형이 높은 장소는 정신적·사회적 위계도 높다고 할 수 있다.

[연계성] 공간요소들은 일대 일로 관계를 형성하고, 더 나아가서는 일련의 요소들이 하나의 선적(線的) 관계를 이루어 마을공간을 구성한다. 연계성은 공간요소들의 연속적인 연결관계를 의미한다. 그것은 사람의 이동에 의한 공간요소의 시간적 배열을 함축하고 있는 개념으로, 마을공간의 깊이감을 형성하는 원리이다. 그런데 공간요소들을 연결하는 요소는 길이므로 연계성은 길과의 관계에서 파악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공간요소가 갖는 특성은 그것 자체의 논리에 한정되지 않고 그것에 이르는 경로와 관계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우리는 연계성의 개념으로 공간요소를 마을공간과 관계지어 공간구조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을공간 전체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연계성은 다음과 같은데, 이것이 바로 전체 마을공간의 축을 이룬다.

확대보기
팝업창 닫기

개별 주택으로부터 마을입구, 공동시설 또는 농경지로 이어지는 연계적 과정은 길의 체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한 연결과정 은 일반적으로 ‘주택입구 → 샛길 → 안길 → 공동시설(특히 정자) → 마을입구’의 순서로 구성된다. 주택에서 마을입구에 이르는 과정에는 마을의 중심적 사회시설인 정자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거주자들은 마을 안팎을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서로 접촉한다. 위 사진에서 보듯이, 원터마을에서는 아름다운 정자인 방초정이 마을의 중심적 사회시설인데 마을의 길들이 이 방초정에 모아지도록 길의 체계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을 사람들은 마을의 공간을 이동하면서 자연스레 정자를 거치게 되고 그러한 일상적인 움직임 속에서 사회적 관계를 다진다.

확대보기
정자(방초정)로 모아지는 원터마을의 길 체계
정자(방초정)로 모아지는 원터마을의 길 체계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