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2 모둠살이와 살림집: 전통마을과 한옥
  • 01. 전통마을
  • 전통마을 연구의 교훈
  • 1. 공동사회적 특성
한필원

일반적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의 주택은 내부 공간을 비교적 잘 갖추고 있지만, 집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주거단지에는 여러 문제점들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공동사회의 결속을 지지하고 조장하는 공간체계를 갖지 못했다는 것은 현대 주거단지의 가장 취약한 점 가운데 하나로 꼽히고 있다. 현대의 거주생활은 가족 중심의 개별적인 생활에 그칠 뿐 공동체적인 활동은 매우 제한적으로 일어난다. 이에 따라 가족이기주의가 팽배하고 인간의 소외현상도 심화된다. 이런 현상은 청소년 문제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병리현상의 주된 원인으로 생각된다. 현대 생활의 많은 부정적 측면들이 일상생활의 무대인 주거공간과 깊이 관련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전통마을의 공간조직을 살펴보면 큰 교훈을 얻는다. 앞에서 거주자들의 사회적 접촉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도록 구성된 전통마을의 공간체계를 살펴보았다. 개별 주택에서 마을 입구로 연결되는 과정에 마을의 대표적인 사회시설인 정자를 거치도록 길의 체계가 구성되어서 거주자들은 자연스럽고 빈번하게 서로 접촉 한다. 이것은 마을을 공동체로 유지하는 물리적인 장치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또한, 도래마을의 예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요구되는 개별 주택 사이에도 필요에 따라 긴밀히 연결될 수 있는 공간 시스템을 갖추었음을 보았다. 이는 전통마을의 생활이 가족 중심적이기보다 공동체 중심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이같은 전통마을의 논리가 현대 도시공간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겠지만, 전통마을의 공동체 중심적 공간체계가 갖는 기본적 정신과 개념은 현대의 주거지를 계획하는 데에도 중요한 참조가 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