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4 지배 정치 이념의 구현: 유교건축
  • 03. 종류별 유교건축
  • 향교
  • 1. 역사와 의미
김지민

향교는 전국의 지방 행정 체계에 맞추어 한 고을에 1개씩, 즉 규모가 제일 작았던 현(縣)까지 ‘1읍1교(一邑一校)’ 원칙에 따라 세워진 국립학교이다. 성균관이 주로 대과를 준비하는 국가 최고의 고등교육기관이었다면 향교는 소과 응시를 위한 중등교육 정도의 지방 학교였다. 교생의 연령은 보통 15∼20세 정도였고 평민도 입교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향교의 최초 설립은 고려 중기인 1127년(인종 5) 무렵으로 여겨지며 고려시대에는 모두 29개소84)박찬수, 「고려시대의 향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p.33.의 향교가 설립된 것으로 파악된다. 고려의 향교는 조선처럼 숭유정책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발전된 것이 아니고 학문적으로 뜻이 있는 수령이 있으면 일부 부흥되는 정도였다.

향교의 설립은 조선 초부터 본격화되었다. 즉, 조선 건국 후 100여 년이 지난 1488년(성종 17)에 나온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전국 8개도에 모두 329개소의 향교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는 지방 관제와 비교해 볼 때 거의 모든 고을에 학교가 설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초에 이렇듯 많은 향교가 설립된 배경은 조선의 통치이념이 바로 유교사상이었고, 각 왕들은 향교 설립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정치·사회적으로 유교 중심 사회를 건설하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수령의 직무로서 제시되는 ‘수령7사(守令七事)’85)守令七事는 1. 農商을 진흥, 2. 戶口를 늘림, 3. 학교를 일으킴, 4. 軍政을 잘함, 5. 賦役을 고르게 함, 6. 詞訟을 잘 처리, 7. 姦猾을 없앰.에 ‘학교흥(學校興)’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고을의 수령이 책임을 갖고 학교를 운영(건물신축 및 보수, 교육 등)하였던 것도 학교 정착에 큰 도움이 되었다. 향교는 조선 중기 이후 서원의 등장으로 교육적 기능이 많이 약화되었다. 그러나 행정 구역의 변화86)1884년 조선의 마지막 행정 구역 개편으로 전라남도의 지도향교(1896), 돌산·여수·완도향교(1897)가 설립됐고, 그후 충청남도의 오천향교(1905)가 조선땅에 마지막으로 건립됐다. 남한에만 모두 231개이다. 등 상황에 따라 건립은 꾸준히 지속되었고, 특히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향교는 중건 또는 이건을 통해 새롭게 조성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