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40권 사냥으로 본 삶과 문화
  • 2 왕조의 중요한 국책사업, 사냥
  • 02. 삼국시대의 사냥
  • 왕의 사냥을 반대한 소송(訴訟)
정연학

왕이나 종친들의 사냥은 소송 대상으로 자주 등장한다. 주로 사냥에 몰두하여 정무를 등한시하거나 임금의 안위를 걱정하는 내용이다. 신라 이찬 김후직(金后稷)은 진평왕(579∼632)이 사냥에 몰두하자 죽어서까지 사냥을 막았다.

그가 간한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21) 『삼국사기』 권45, 열전5, 金后稷.

옛날의 임금은 반드시 하루에도 만 가지 정사를 보살피되, 깊이 생각하고 넓게 고려하여 좌우에 있는 바른 선비[正士]들의 직간(直諫)을 받아들이면서, 부지런하여 감히 편안하고 방심하지 아니한 까닭에 덕정(德政)이 순미(純美)하여 국가를 보전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전하는 날마다 광부(狂夫)와 엽사(獵師)와 더불어 매[鷹]·개[犬]을 놓아 꿩과 토끼들을 쫓아 산야를 달리어 능히 그치시지 못합니다. 노자는 “말 달리며 날마다 사냥하는 것이 사람의 마음을 미치게 한다.” 하였고, 『서경』에는 “안으로 여색에 빠지고 밖으로 사냥을 일삼으면, 그 중의 하나가 있어도 혹 망하지 아니함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이로써 보면, 안으로 마음을 방탕히 하면 밖으로 나라를 망하게 하는 것이니 반성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전하께서는 유념하십시오. 왕이 따르지 아니하니, 또 간절히 간하였으나 받아들이지 아니하였다.

후에 후직(后稷)이 병이 들어 죽기 전에 세 아들에게 자신의 유해를 왕이 사냥 다니는 길가에 묻어 달라고 하였고, 아들들은 그렇게 따랐다. 어느 날 왕이 출행하는 도중에 먼 거리에서 “가지 마시오.”라고 말하는 듯한 소리를 들었는데, 왕이 돌아보며 “소리가 어디에서 오는가?” 물으니, 따르는 사람이 고하기를 “저것이 후직 이찬의 무덤입니다.” 하고, 후직이 죽을 때 한 말을 이야기하였다. 왕이 눈물을 흘리면서 “그대의 충간(忠諫)이 사후에도 잊지 않으니, 나를 사랑함이 (이토록) 깊도다. 만일 (내가) 끝내 고치지 아니하면 유명간(幽明間)에 무슨 낯으로 대하겠는가?” 하고, 죽을 때까지 다시 사냥을 하지 않았다.

고구려 태조왕(53∼146)의 동생인 수성(遂成)은 잦은 사냥을 일삼았다. 그의 아우 백고(伯固)가 사냥을 멈추기를 간하였지만, 자신이 부귀환락(富貴歡樂)을 누리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여 듣지 않았다. 또한, 수성은 94년 7월에 왜산(倭山) 아래에서 사냥을 하다가 좌우 대신들과 왕위를 쟁탈하려는 모의를 하기도 하였다. 사냥을 빙자해 은밀하게 정치적인 의논을 한 것이다.

백제 문주왕은 4년 9월에 사냥을 나가 외숙(外宿)하다가 병관좌평(兵官佐平) 해구(解仇)에 의해 살해당하였다. 사냥은 사나운 짐승은 물론 음모를 가진 사람들에 의해 살해당할 수 있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어 많은 신하들이 임금의 안위에 대한 청을 올리기도 하였다.

<표> 『삼국사기』왕조 수렵 일람표-고구려
왕조 시기 장소 사냥용어 사냥물 비고
東明王(B.C. 37∼B.C. 19)   비류국(沸流國) 내    
瑠璃王(B.C. 19∼A.D. 18) 2년 9월 서쪽 노루 7일 넘게 사냥
3년 10월 기산(箕山)    
21년 4월 위중림(尉中林)    
22년 12월 질산(質山)   5일 넘게 사냥
24년 9월 기산(箕山)    
大武神王(18∼44) 3년 9월 골구천(骨句川)    
閔中王(44∼48) 3년 7월 동쪽 흰 노루  
4년 4월 민중원(閔中原)    
4년 7월 민중원(閔中原)    
太祖王(53∼146) 10년 8월 동쪽 흰 사슴  
46년 3월 책성(柵城) 계산(罽山) 흰 사슴  
55년 9월 질산(質山) 남쪽 자색 노루  
太祖王 동생 수성(遂成) 80년 7월 왜산(倭山)   태조왕 동생
86년 3월 질양(質陽)   7일 넘게 사냥
86년 7월 기구(箕丘)   5일 동안 사냥
94년 7월 왜산(倭山)    
次大王(146∼165) 3년 7월 평유원(平儒原)   백여우 사냥 불발
故國川王(179∼197) 16년 10월 질양(質陽)    
山上王(197∼227) 3년 9월 질양(質陽)    
中川王(248∼270) 4년 4월 기구(箕丘)    
12년 12월 두눌곡(杜訥谷)    
15년 7월 기구(箕丘) 흰 노루  
西川王(270∼292) 7년 4월 신성(新城) 흰 사슴  
19년 8월 신성(新城) 동쪽 흰 노루  
美川王(300∼331) 2년 9월 후산(侯山) 북쪽    
4년 7월 남쪽 巡狩    
故國壤王(384∼391) 9년 3월 낙랑 지역 멧돼지, 사슴  
長壽王(413∼491) 2년 10월 사천(蛇川) 흰 노루  
文咨王(491∼519) 15년 8월 용산(龍山) 남쪽   5일 동안 사냥
安藏王(519∼531) 11년 3월 황성(黃城)    
平原王(559∼590) 13년 7월 패하(浿河)    
<표> 『삼국사기』왕조 수렵 일람표-백제
왕조 시기 장소 사냥용어 사냥물 비고
溫祚王(B.C. 18∼A.D. 28) 5년 10월 북변(北邊) 사슴(神鹿)  
10년 9월   사슴(神鹿)  
22년 9월 부현(斧峴)    
26년 10월   田獵   마한 기습
43년 8월 아산(牙山)    
多婁王(28∼77) 4년 9월 횡악(橫岳) 사슴 2마리  
己婁王(77∼128) 27년 한산(漢山) 사슴(神鹿)  
蓋婁王(128∼166) 4년 4월 한산(漢山)    
仇首王(214∼234) 16년 10월 한천(寒泉)    
古爾王(234∼286) 3년 10월 서해(西海) 대도(大島) 사슴 40마리 사냥
5년 2월 부산(釜山)   50일 동안 사냥
7년 7월 석천 (石川) 大閱 기러기 매사냥?
比流王(304∼344) 22년 11월 구원(狗原) 북쪽 사슴  
辰斯王(385∼392) 6년 10월 구원(狗原) 북쪽   7일 동안 사냥
7년 7월 서쪽 대도(大島) 사슴  
7년 8월 횡악(橫岳)    
8년 10월 구원(狗原)   10일 이상
毗有王(427∼455) 29년 3월 한산(漢山)    
文周王(475∼477) 4년 9월     사냥 중 사망
東城王(479∼501) 5년 봄 한산(漢山)    
5년 4월 웅진(熊津, 공주) 사슴(神鹿)  
12년 9월 사비(泗沘, 부여)    
14년 10월 우명곡(牛鳴谷) 사슴  
東城王(479∼501) 22년 4월 우두성(牛頭城)   비와 우박으로 사냥 중단
23년 10월 사비(泗沘) 동원(東原)    
23년 11월 웅천(熊川) 북원(北原)
사비(泗沘) 서원(西原)
獵, 田   대설에 사냥 포기, 서천 한산에 머뭄
武寜王(501∼523) 22년 9월 호산원(狐山原)    
法王(599∼600) 1년 12월     사냥 도구를 불태우게 함
武王(600∼641) 33년 7월 생초원(生草原)    
<표> 『삼국사기』왕조 수렵 일람표-신라
왕조 시기 장소 사냥용어 사냥물 비고
儒理王(24∼57) 19년 8월   짐승 진상
婆娑王(80∼112) 지마왕 1년 기록 유찬택(楡湌澤)   태자 지마(祗摩) 동행
奈解王(196∼230) 32년 2월 서남 군읍(郡邑) 巡狩   3월 돌아옴
訥祗王(417∼458) 34년 7월 실직(悉直)   고구려 장군 사냥 중 하슬라 성주 삼직(三直)이 체포
眞平王(579∼632) 45卷, 列傳5, 金后稷 사냥 가는 중    
聖德王(702∼737) 10년 10월 남쪽 주군(州郡) 巡狩    
憲康王(875∼886) 5년 3월 동쪽 주군(州郡)    
5년 10월 준례문(遵禮門)   사냥 구경
5년 11월 혈성(穴城)    
眞聖女王(887∼897) 9년 10월     헌강왕 사냥 구경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