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40권 사냥으로 본 삶과 문화
  • 3 권력과 사냥
  • 05. 호환(虎患)과 사냥
  • 호랑이 사냥부대의 창설
  • 1. 착호갑사
심승구

호환의 방지를 위한 부대의 조직은 중앙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중앙집권체제에서 호환의 제거는 왕실의 안정과 체제 수호를 위한 근간이 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호랑이는 인왕산과 백악산은 물론 궁궐에까지 출몰하였다. 이는 조선왕조가 호환 방지를 위해 국왕을 시위하는 갑사와는 별도로 착호갑사를 조직하는 배경이 되었다.

착호갑사는 말 그대로 호랑이를 잡는 사냥부대였다. 기록상으로 착호갑사가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은 태종 16년(1416) 10월이었다.

경상도 도관찰사 이은과 경력 은여림을 파직하였다. 처음에 주인기·공계손 등이 경상도에 가서 ‘착호갑사’라고 거짓으로 칭하니, 이은이 병조의 이문을 상고하지도 않고 마음대로 군마를 조발해 주어 성주에서 호랑이를 잡았다. 이에 사건을 아뢰니 의금부에 명하여 은여림을 체포하여 그 까닭을 물어 파면하고, 주인기 등은 장 1백대를 때렸다.396) 『태종실록』 권32, 태종 16년 10월 을유.

위의 내용은 착호갑사가 이미 조직되어 활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착호갑사는 호환이 발생하면 중앙에서 파견되어 지역의 군사와 마필을 동원하여 활동하였던 것 같다. 그런 관행을 이용하여 거짓으로 착호갑사를 칭해 군마를 동원하였다가 발각되어 처벌된 것이다. 이로써 보면 착호갑사는 태종 16년 이전에 이미 처음 설치된 사실을 알 수 있다. 다만, 착호갑사는 국왕의 친병인 갑사 가운데 호랑이 사냥을 위해 만든 임시 조직으로서, 호환이 생길 때마다 해당지역에 내려가 활동한 것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계속된 호환을 시급히 막기 위해서는 상설적인 전문 부대가 요구되었다.

착호갑사가 정식으로 조직을 갖추게 된 것은 세종대에 들어와서였다. 세종 3년(1421)에는 국왕을 호위하는 갑사와는 달리 별도로 착호갑사 정원 20명을 뽑아 조직을 갖추었다.397) 『세종실록』 권11, 세종 3년 3월 병자. 이들은 당번과 하번으로 나누어 활동하되, 호랑이 5마리 이상을 잡으면 시위갑사와 같이 승진을 시켜주었다. 착호갑사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갈수록 그 인원이 점차 늘어나 세종 7년에는 80명, 세종 10년에는 90명으로 확대되었다.398) 『세종실록』 권41, 세종 10년 9월 경술. 그후 세조 14년(1468)에는 200명으로 늘어났고, 성종 때에 완성된 『경국대전』에는 모두 440명으로 정해졌다.399) 착호갑사는 5교대에 의해 80명이 6개월씩 복무하면서 체아직을 받았다.

<표> 착호갑사의 시취 과목400) 『경국대전』 권4, 병전, 시취, 착호갑사.

구분 보사(步射) 기사(騎射) 기창(旗槍) 주(走) 력(力)
180보 木箭 130보 片箭
합격 기준 3발 중 1발 이상 3발 5발 중 2발 이상 3창 중 1창 이상 3주 이상 3력 이상

착호갑사는 목숨을 내놓고 사나운 짐승을 제어하는 만큼 무엇보다 용맹성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용맹성의 평가가 쉽지 않자 활쏘기와 창쓰기 가운데 한 가지에 합격한 자를 선발하였다. 그러다가 각 지방에서 호랑이와 표범이 많이 나오는 때에 자원자로 잡게 하되, 창과 활을 주고 먼저 잡게 하고 그 수에 따라 많은 자부터 충원하였다.401) 『세종실록』 권43, 세종 11년 2월 무인. 착호갑사는 서울에 있던 경군(京軍)이었다. 그런데 호랑이 사냥을 위해 경군을 많이 파견하면 그 군현에서 착호갑사들을 접대하느라 많은 폐단이 발생하였다. 이는 지방에 착호군이 조직되는 배경이 되었다.

결국 착호갑사는 활이나 창의 무예가 뛰어나거나 달리기나 힘이 좋은 사람을 취재시험을 통해 선발하였다. 앞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착호갑사는 목전·철전·기사·기창·달리기·들어올리기 등의 무예가 있는 자를 선발하였다. 다만, 활이나 창으로 호랑이 2마리를 잡는 자는 시험을 면제하고 임명하였다. 이처럼 착호갑사가 늘어나게 된 배경에는 호환의 피해가 계속되었기 때문이었다. 착호갑사는 그 역할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성종대 북방으로 백성을 이주시키는 사민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착호갑사는 16세기를 정점으로 사라져 갔는데 임진왜란 이후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5군영이 생기면서 그 기능을 대신하였기 때문이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