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40권 사냥으로 본 삶과 문화
  • 5 사냥의 의례와 놀이
  • 03. 굿과 놀이에서의 모의 사냥
  • 황해도 굿의 사냥 놀이
  • 1. 황해도 대동굿의 절차와 내용
임장혁

황해도는 서·남쪽이 바다로 둘러 싸여 있으며, 내륙 지방에는 평야가 발달하고 산맥이 형성되어 있어, 해양 문화·수렵 문화·농경 문화가 고루 발달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은 굿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쳐 각 굿마다 특색이 있으며 종류가 다양하다.

황해도 굿 중에서 사냥놀이(사냥굿, 사냥거리라고도 한다.)가 굿거리로 전승되고 있는 것은 마을 굿인 대동굿을 비롯하여 만수대탁굿·철물이굿·꽃맞이굿 등이다. 여기서는 황해도 대동굿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황해도 대동굿은 서해안의 해주·옹진지방에서 마을 주민들이 한 마음을 모아 한 해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면서 공동운명체로서의 확신과 단결을 도모하는 마을 단위의 굿이다. 당주(굿을 주관하는 무당)가 중심이 되어 행하는 굿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 함께 먹고 마시며 즐기는 마을 축제로서의 굿이기도 하다.

황해도 대동굿은 지역별로 굿을 주재하는 무당에 따라 순서나 방법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우선 황해도 평산 지역에서 행해지는 대 동굿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황해도 대동굿은 제장(祭場)을 정화하고 나서 굿에 모셔질 신들을 부르기 위한 산청울림, 상산맞이, 초감흥거리부터 시작된다. 잡신이나 부정을 물리쳐 정화하고 난 다음, 신들을 모시고 축원을 위한 칠성거리나 제석거리를 행한다. 칠성신은 수명을 담당하는 신으로 안당에서 칠성거리를 하는데 육식은 피하고 소찬을 올린다. 칠성거리는 거상춤, 사면춤, 바라춤을 추며 명덕과 복떡을 팔기도 한다. 또한, 쌀을 주는 요미성수님도 칠성거리에서 강림한다고 한다. 제석거리는 무녀가 칠성복을 입고 마마병을 퇴치하는 별상물림을 하는데 가공의 배를 만들어 바가지에 액을 담아 바다로 띄워 보낸다. 이어서 행하는 소놀음거리는 마을사람들이 모여서 하는 마을 굿으로 술과 음식을 먹으며 한판 논다.

소놀음거리는 농사의 파종부터 수확까지의 과정을 극적으로 보여주는데, 농신(農神)인 소에게 풍년을 기원하는 굿으로 농경적인 요소가 강하다. 소는 육식을 하지 않는 초식 동물이므로 소찬으로 떡과 과일 등을 올린다. 각 거리의 신들은 육식의 여부에 따라 제물을 마련하는데 농경신이나 육식을 하지 않는 신에게는 떡이나 과일을 올린다. 이어서 육식을 하는 신들을 위한 거리는 사냥거리부터 시작된다. 사냥거리는 군웅상을 마련하고 굿이 시작된다. 군웅상은 사냥에 쓰일 활과 화살을 상위에 놓고 과일과 떡으로 차려 놓는다. 활과 화살은 실제로 사냥에 쓸 수 있는 사냥 도구라기보다는 모의적인 도구라 할 수 있다. 군웅상의 한쪽에는 제물로 마련한 돼지나 닭을 묶어놓는다. 사냥거리는 가축을 제수로 마련하였지만 이들이 사냥하여 얻은 것임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황해도 대동굿의 순서는 ①안반고사-②산청울림-③상산맞이(산천거리)-④초감흥거리(초부정거리 포함)-⑤칠성거리-⑥제석거리(소놀음굿 포함)-⑦작두거리(쌍작두 그네타기 포함)-⑧사냥거리-⑨말명 거리-⑩서낭거리-⑪타살거리-⑫대감거리-⑬조상거리-⑭터주거리-⑮마당거리 순이다.

① 안반고사

안반고사는 굿하기 전날밤 떡을 빚으면서 굿이 잘 풀리기를 기원하는 고사이다. 굿당 한쪽켠에 떡판을 놓고 그 위에 굿에 사용될 여러 가지 떡들을 섞어서 양 사방 귀퉁이와 중앙에다 조금씩 올려놓는다. 3개의 술잔을 떡판 옆에다 놓는다. 만신은 상장구가 반주하는 음악에 맞쳐 축원한다. 축원이 끝나면 떡을 엎었다 뒤집었다 하면서 점괘를 낸다. 참관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공수를 준다.

② 신청울림

굿의 시작을 알리고 부정한 것을 물리친다. 굿청과 굿당 주위를 정화하여 신성한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치르는 절차이다. 굿판에 참가한 당골집들과 무당은 물론 참관자들에게 붙어 있는 부정한 것을 물리치며, 무가 사설로는 온갖 부정을 들먹인다.

③ 상산맞이(산천거리)

상산맞이거리 또는 산거리라고 한다. 맑은 정기의 원천인 산천의 신들, 곧 산신들을 굿청으로 모셔온다. 또한, 무당의 고향 본향산신도 모셔 와서 산천의 맑은 정기를 받아들인다.

④ 초감응거리

산상맞이 다음으로 하는 거리로서 굿청과 굿당 주위를 정화하며 굿판에 참가한 무당들은 물론 모든 참관자들에게 붙어있는 부정한 것을 물리치며 대동굿에서 모셔질 모든 신들을 차례로 불려들여 좌정시킨다. 모든 신을 불러 들인 다음 신령들이 입거나 사용하게 될 신복과 신구 그리고 굿에 필요한 모든 물건들을 일일이 입거나 들고 거풍(바람)을 일으킨다.

⑤ 칠성거리

수명을 담당하는 칠성님을 모시고, 무당 자신은 물론 모든 사람들의 명복을 기원하고, 자손의 수명장수를 기원한다. 또한, 이 거리에서는 도령애기씨, 천문지리풍수, 부인마마, 팔선녀 등을 불러들이기도 하며, 쌀을 내려주는 요미성수도 모신다. 뿐만 아니라 용궁단지에 올라타서 ‘용궁단지춤’을 추기도 하며, 경관만신(주무 만신)이 환쟁이로부터 꽃 타는 장면도 연출된다. 재가집에서 명복을 기원하기 위해 올려논 명다래를 놀리면서 만단골들의 명을 빈다.

⑥ 제석거리

복을 비는 제석거리는 칠성복을 그대로 입은채 이어지는 거리이다. 이 거리에서는 마마병을 퇴치하는 별상물림을 하는데 이때 가공의 배를 만들어 바가지에다 액을 담아 바다로 띄워 보낸다. 제석거리가 끝나면서 곧이어 소놀음굿이 이어진다. 소놀음굿은 풍농을 기원하고 액을 쫓으며 마을 사람들의 대동단결을 모색하기 위해 한다. 동네 청장년들로 구성된 난봉꾼들이 굿판에 끼어들어 한판 놀기 위해 벌이는 굿판 속에서 하는 놀이이다. 경관 만신이 소를 몰고 온 마부 및 풍물패와 갖은 재담을 주고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⑦ 작두거리

일명 장군거리라고도 한다. 장군복을 입고 작두 위에서 춤을 춘다. 작두를 타는 이유는 장군님의 영험력을 과시하는 것인데 장군님이 작두를 타고 있을 때는 그의 영험은 극대화된다.

⑧ 사냥거리

신에게 제물로 바쳐질 소, 돼지, 닭을 상산막둥이와 경관만신이 활·화살·삼지창·칼을 가지고 활·화살·삼지창·칼을 가지고 매타령을 하면서 사냥을 간다. 상산막둥이는 높고 깊은 산속에 사는 청년인데 신의 부름으로 만신의 굿판에 온 사람이다. 그는 산길은 물론 짐승이 있는 곳을 잘 알기 때문에 만신이 사냥을 나갈 때 도와준다. 그러나 처음에는 꾀를 부려 말을 듣지 않지만 나중에는 갖은 재담과 장난을 하면서 사냥길에 나선다. 이어서 군웅거리가 행해진다.

⑨ 말명거리

도산말명거리라고도 한다. 수많은 신을 부리다 죽은 만신이 다른 무당에 의해 신령님으로 모셔질 때 그 신을 말명이라 한다. 그러므로 말명은 무당들의 조상인 셈이다. 말명거리의 주기능은 무당신(말명신)을 대접하고 놀리어 무당의 신명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한편, 말명신은 병든 사람을 낫게 해주고, 자손점지를 해주기도 한다. 만신이 장구잽이와 신담을 하면서 말명신의 내력을 낱낱이 말한다.

⑩ 서낭거리

서낭거리에서는 대동 일대의 마을 사람들을 축원한다. 이때는 만신이 마을 집집마다 다니면서 각 가정에 일년 열두달 만사형통과 무사대길을 축원하는 기원을 하는데 이것을 ‘고사반 넘긴다.’라고 한다. 마을을 보호하고 마을을 지키는 서낭은 육고기로 대접하는 육서낭, 소찬으로 대접하는 소서낭, 호서낭, 물아래로 기고나는 용신서낭, 동서남북을 관장하는 사서낭, 여서낭, 남서낭 등을 축원한다. 서낭대는 소나무로 몸대를 만들고 거기에다 꽃, 솔잎, 치마와 저고리, 바지와 저고리 그리고 오색천 등을 매단다.

⑪ 타살거리

소, 돼지, 닭들을 신에게 제물로 바치는 타살을 한다. 활을 가지고 사냥해 온 짐승을 굿판에 놓고 타살하여 피를 먹으면서 군웅을 푼다. 군웅거리는 전쟁터에 나가 죽은 군웅, 나라를 위해 싸우다 죽은 자, 억울하게 한 맺혀 죽은 자 등을 위해 타살거리에서 잡은 육고기와 피를 가지고 군웅을 푼다. 이 때 신에게 제물로 올리는 육찬들을 삼지창에다 사슬을 세운다. 사슬이 잘 세워지면 신이 흔쾌히 받았다는 표시이다.

⑫ 대감거리

벼슬대감, 한량대감, 걸립대감, 터주대감, 욕심 많고 탐심 많은 대감 등 모든 대감님들을 불러들여 흥겹게 춤을 추어 놀린 후, 먹고 남고 쓰고 남게 재복을 달라고 비는 부분이다. 대감들은 복을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때는 오방기를 뽑아 복을 받을 수 있는지 점을 치기도 한다.

⑬ 조상거리

굿을 주관하는 만신의 조상들을 불러 들어 위로하고 후손들의 축복을 빈다. 또한, 동네 사람들의 조상들도 모셔 후손들이 잘 되기를 빈다. 조상은 5대 조상부터 모시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각 조상의 옷을 장만하고, 무명과 삼베를 준비하였다가, 조상이 들어오면 원한을 풀고 공수를 내린 후, 무명과 삼베를 갈라 좋은 곳으로 가도록 한다. 조상들을 좋은 곳에 가라고 축원하는 의미도 있어서 후반부에 염불이 이어진다.

⑭ 터주거리

집과 마을 그리고 나라 땅의 터주신을 위한다. 터주거리를 할 때 는 술과 떡 그리고 고기를 가지고 여러 곳의 터전을 다니면서 터주신을 위하는 춤을 추어서 터주신이 화가 나지 않도록 다랜다.

⑮ 마당거리

일명 뒷전 또는 뒷풀이라고도 한다. 마당거리는 마지막 거리로써 마당으로 나가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한 모든 잡귀 잡신들을 먹이고 놀려 보낸다. 마지막에는 무당과 참관자 모두가 어울려 한바탕 춤을 추며 논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