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40권 사냥으로 본 삶과 문화
  • 5 사냥의 의례와 놀이
  • 03. 굿과 놀이에서의 모의 사냥
  • 우이동 도당제의 사냥놀이
  • 2. 우이동 도당굿의 사냥놀이의 내용
임장혁

우이동 도당제의 도당굿에서 사냥거리는 제석거리가 끝난 후에 지내는데 제장을 이동하여 굿당과 굿당의 위쪽 산으로 이동하여 무당과 마을 주민이 함께하는 굿놀이이다. 산신거리의 등장 인물은 군웅 할아버지·이방·문복쟁이·말아범 등으로 구성된다. 무당은 군웅할아버지·문복쟁이·이방의 역을 맡으며, 마을 주민은 몰이꾼이나 말과 말아범의 역할을 맡는다.

우이동 도당제의 사냥놀이는 군웅할아버지가 사냥을 나가 동서남북으로 활을 쏘며 사냥하는 모습을 보여준 다음에 사냥에서 사냥감을 얻지 못하자 이방과 문복쟁이에게 사냥감이 있는 곳을 일러달라고 한다. 문복쟁이는 장구제를 지내면 성과가 있을 것이라 일러준다. 군웅할아버지는 장구 위에 술과 떡, 돈을 놓고 사냥을 많이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제사를 지낸다. 장구제가 끝나면 군웅할아버지는 문복쟁이가 가르쳐주는 방향의 산으로 사냥을 나간다. 주민들은 몰이꾼이 되어 막대기를 들고 몰이 시늉을 하고, 군웅할아버지는 사방에 활 쏘는 시늉을 한다. 사냥감은 사냥놀이를 시작하기 전에 마을 주민들이 미리 숨겨 놓는다. 사냥감이 있는 곳을 지목하면 화살을 꽂아 명중을 하였음을 표시한다. 사냥감은 노루와 꿩은 닭으로 대신하며 산돼지는 돼지머리로 대신하는데, 말아범은 군웅할아버지가 사냥한 노루와 산돼지를 각각 짊어지고 산을 내려와 굿청에 바친다. 사냥놀이가 끝나면 돼지를 삶아서 군웅 거리를 한다.

사냥놀이에 이어서 군웅거리가 행해지는데 마부가 사냥거리에서 얻은 사냥감을 가져오면 문복쟁이는 ‘삶아서 바치겠소, 날로 바치겠소?’하고 군웅할아버지에게 묻는다. 군웅할아버지는 ‘말랑말랑하게 푹 삶으되 맛보지 말고 삶아라’라고 답한다. 문복쟁이가 다 삶으면 군웅거리가 시작된다. 군웅거리는 마을의 액을 막아주기 위해 하는 굿이다. 무녀는 홍철릭을 쓰고 왼손에 삼지창과 오른손에 월도를 들고 군웅을 논다. 돼지머리는 도당에 올리고 닭은 만신이 가져가기도 한다. 군웅거리에서 삶아 올리는 돼지머리는 신에게 바치는 의미를 지니며 제의가 끝나면 다 같이 나누어 먹는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