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병
을 혁파하였다. 사헌부 겸 대사헌 권근
과 문하부 좌산기(門下府左散騎) 김약채(金若采) 등이 상소
하였다. “병권은 국가의 큰 권세이니, 마땅히 국가에서 통솔하여 관리해야 하고, 개인에게 분산시켜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분산시켜서 통솔함이 없으면, 이것은 태아(太阿 : 중국 초나라 보검(寶劍)의 하나)를 거꾸로 쥐고 남에게 칼자루를 건네주는 것1)
과 같이 제어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그러므로 군사를 맡은 자가 많으면, 각각 무리를 지어 그 마음이 반드시 달라지고, 그 형세가 반드시 나누어져서, 서로서로 시기하고 의심하여 화란(禍亂)을 이루게 됩니다. 형제들이 서로 해치고 공신(功臣)이 보전되지 못하는 것이 항상 여기에서 비롯되니, 이것이 고금의 공통된 근심입니다. …(중략)…
'사병' 관련자료
'권근' 관련자료
'상소' 관련자료
1)
천자(天子)를 상징하는 검의 칼자루를 다른 사람의 손에 넘긴다는 뜻으로 남에게 그 권력을 주거나 자신을 해칠 틈을 준다는 의미이다.
우리 태상왕
(太上王)께서 개국하던 처음에 특별히 의흥군부(義興三軍府)를 설치하여 오로지 병권을 맡게 하니, 규모가 원대하였습니다. 그때에 의논하는 자들이 말하기를, ‘혁명하는 초기에 인심이 정하여지지 않았으니, 마땅히 생각지 못한 변(變)을 방비해야 합니다. 훈신(勳臣)·종친으로 하여금 각각 사병
을 맡게 하여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일에 대응하게 해야 합니다’ 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사병
을 다 없애지 못하였는데, 군사를 맡은 자가 도리어 난을 선동하기를 꾀하여 화를 예측할 수 없는 지경에 있었으나, 다행히 하늘이 전하를 인도하고 도와주어 난을 평정하고 종묘와 사직
을 안정시켰습니다.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사병
을 두는 것이 아직도 전과 같아 머뭇거리고 없애지 않으므로, 대간
(臺諫)이 이미 일찍이 글을 올려 파하기를 청하였습니다.
'태상왕' 관련자료
'사병' 관련자료
'사병' 관련자료
'사직' 관련자료
'사병' 관련자료
'대간' 관련자료
전하께서는 종친과 훈신은 다른 마음이 없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하여, 다시 군사를 맡기게 하였는데, 얼마 되지 않아서 내부의 분란[蕭墻之禍]2)
이 매우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였습니다. 이것으로 본다면, 사병
을 두는 것은 한갓 난만 일으키고 그 이익은 보지 못하는 것이니, 대간의 말이 이제 이미 들어맞았습니다. 그러나 사문(私門)의 군사를 지금도 역시 없애지 않으니, 장래의 화를 참으로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2)
소장(蕭墻)은 임금과 신하가 조회하는 곳에 세우는 병풍으로, 그 속에서 일어나는 근심거리라는 뜻에서 내부의 변란이나 갈등을 의미이다. 여기서는 제2차 왕자의 난
을 비유한 표현이다.
'왕자의 난' 관련자료
'사병' 관련자료
또 더구나 외방 각 도의 군마(軍馬)를 여러 절제사에게 나누어 소속시켜, 혹은 시위(侍衛)라 칭하고, 혹은 별패(別牌), 사반당(私伴儻)이라 칭하여, 번거롭게 번상(番上)하고 소란하게 징발해서 그 폐단이 심히 많으며, 배종(陪從)이 많고 전렵(田獵)
(三軍府)에 속하게 하여 공가(公家)의 군사를 삼아서, 체통(體統)을 세우고 국권을 무겁게 하고, 인심을 편안케 해야 할 것입니다. 양전(兩殿)
사냥
이 잦아서 그 수고로움이 또한 지극합니다. 사람은 굶주리고 말은 지쳤으며, 비와 눈을 마구 맞아 가며 사문(私門)에 숙직하므로, 군중의 마음이 원망하고 탄식하니, 심히 민망한 일입니다. 지금의 큰 폐단이 이것보다 더 심한 것이 없습니다. 원하건대, 이제부터 서울에 머물러 있는 각 도의 여러 절제사를 모조리 혁파하고, 서울과 외방의 군마를 모두 삼군부
'삼군부' 관련자료
왕과 왕비
의 숙위(宿衛)를 제외하고는, 사문(私門)의 숙직은 일절 모두 금단하고, 조회하는 길에도 사반당으로 하여금 병기를 가지고 수행하지 못하게 하여, 예전의 집에 병기를 감추지 않는다는 뜻에 응하고, 후일에 서로 의심하여 난을 꾸미는 폐단을 막으면, 국가에 심히 다행하겠습니다”
소
(疏)가 올라가니, 임금이 세자와 더불어 의논하고, 곧 시행하게 하였다. 이날 여러 절제사가 거느리던 군마를 해산하여 모두 그 집으로 돌아가게 하였다. 이저(李佇)
에서 이저에게 사람을 보내어 빨리 돌아오게 하였다. 이거이(李居易) 부자와 병권을 잃은 자들은 모두 마음에 섭섭하여, 밤낮으로 같이 모여서 격분하고 원망함이 많았다.
'소' 관련자료
태조의 부마
가 평주(平州)에서 사냥하다가 아직 돌아오지 않으니, 삼군부
'삼군부' 관련자료
『정종실록』권4, 2년 4월 6일 신축
- 천자(天子)를 상징하는 검의 칼자루를 다른 사람의 손에 넘긴다는 뜻으로 남에게 그 권력을 주거나 자신을 해칠 틈을 준다는 의미이다.
- 소장(蕭墻)은 임금과 신하가 조회하는 곳에 세우는 병풍으로, 그 속에서 일어나는 근심거리라는 뜻에서 내부의 변란이나 갈등을 의미이다. 여기서는 제2차 왕자의 난
'왕자의 난'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