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총설
  • 01권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1. 생태학적 특성
  • 3) 식생
  • (1) 한반도의 자연식생과 잠재자연식생

(1) 한반도의 자연식생과 잠재자연식생

 식생(vegetation)은 어느 지역의 땅 위를 덮고 있는 식물을 통틀어서 말한다. 사람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자연 그대로 유지된 식생을 自然植生 또는 原植生이라고 하는데 우리 나라의 자연식생은 사람의 간섭을 받아 대부분 훼손되었다. 역사적으로 국력이 쇠약한 시기일수록 자연식생의 훼손 정도는 극심하였다. 예를 들면 대한제국의 말기에 러시아인과 청국인들이 우리의 자연식생을 훼손시킨 증거가 있다. 그리고 일제강점 하에서도 자연식생이 남벌되었고 한국전쟁 중에도 남벌이 극심하였다. 하지만 기후 조건이 온화한 우리 나라는 한번 훼손된 식생이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복원된다. 이렇게 변형되어 현재 남아 있는 식생을 現存植生이라고 한다. 현재 우리 주변에 흔히 보는 현존식생은 사람의 영향을 받아 대치된 代償植生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만약 인간이 식생에 전혀 간섭하지 않는다면 환경은 현존식생을 변화시키는 잠재력이 있으므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식생(원식생)에 가까운 식생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식생은 이론적으로 현재의 환경에 의하여 만들어진 潛在自然植生이라고 말한다. 이 잠재자연식생은 각각의 주어진 환경에 따라 각각 다른 식생으로 된다. 즉 현재의 환경은 유사 이전에 자연식생을 유지하였던 환경과 다르기 때문에 새로 생기는 잠재자연식생은 본래의 자연식생(원식생)과 똑 같지는 않을 것이다. 다음에 설명하는 삼림식생분포도는 각 지역의 기후요인과 잠재자연식생을 고려하여 작성한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