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총설
  • 01권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3. 인류학적 특성
  • 1) 한국인의 계통과 신체적 형질

1) 한국인의 계통과 신체적 형질

 인간의 신체적 특질인 체격, 피부색, 머리통의 모양, 머리카락의 모양과 색깔, 코의 모양과 크기, 눈꺼풀 등은 여러 개의 대립형질을 가진 유전자들이 모여서 그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신체적 형질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고 변화할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 및 사회ㆍ문화적 다양성과 변화에 적응하는 환경의 요인에 의해서도 결정되고 변화한다.017)박선주,≪체질인류학≫(민음사, 1994), 77∼79쪽.

 신체적 형질의 특징으로 볼 때 한국인은 인종분류학상 몽골인종(Mongoloid)에 속한다. 한국인은 피부 색깔뿐만 아니라 곧은 머리카락과 짧은 얼굴에 광대뼈가 나오고 눈꺼풀이 겹쳐져 있으며 둔부에 몽골반점이 있는 등 몽골인종의 공통된 신체적 형질을 대부분 가지고 있다. 몽골인종은 그들의 집단이동과 지역분포에 따라 서로 다른 자연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신체적 형질과 생활양식에 차이가 생겨 고시베리아족(Palaeo-Siberians)과 신시베리아족(Neo-Siberians)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한국인은 신시베리아족에 속하며 제4빙하기의 후기구석기시대까지 시베리아의 예니세이(Yenisei)강 유역과 알타이(Altai)산 기슭에 살고 있었다. 그 후에 기온이 상승하여 빙하가 녹으면서 후기구석기시대 및 신석기시대 때 시베리아로부터 남쪽으로 이동했다. 그들은 중국 동북부인 만주 서남부의 랴오닝(遼寧) 지방을 거쳐 한반도 남부까지 이동하여 한민족이라는 하나의 단일 민족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한민족의 형성 및 이동 과정에서 발전된 문화는 지금까지 남아 있어 후기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의 유물과 유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역사상 고대의 중국 문헌에 나타나는 肅愼, 朝鮮, 韓, 濊, 貊, 東夷 등의 여러 민족들은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우리 민족을 가리키는 말이다. 특히 랴오닝 지방의 한민족은 북부의 초원 지대에서 목축을 하는 한편, 남부의 평야 지대에서 농경을 주로 하면서 농경ㆍ목축 문화를 발전시켰고, 한반도 남부까지 내려온 한민족은 자연환경의 조건에 따라 목축을 버리고 농경에만 집중하면서 독특한 청동기문화를 발전시켰다.

 오늘의 중국 랴오닝 지방과 한반도에서 농경과 청동기문화를 발전시킨 한민족이 하나의 단일 민족으로서 부족연맹체의 족장사회를 통합하여 고대국가를 성립시킨 것이 바로 古朝鮮이다. 그 이후 국가가 나누어져서 몇 개의 새로운 독립국가로 분열되었다가 다시 통합되는 역사적 과정은 매우 복잡했지만 민족은 하나의 단일 민족으로서 한민족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018)한상복,<대한민국:민족ㆍ언어ㆍ종교>(≪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4,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1995), 542∼545쪽.

 체질인류학자들이 한국인 성인들을 실증적으로 계측하여 분류한 자료에 따라 한국인의 신체적 형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019)羅世振ㆍ張信堯,≪韓國人의 體質≫(中央日報社, 1981) 참조.

 한국인의 피부 색깔은 담황색이며, 평균 신장은 남자가 167.7(±5.0)㎝이고 여자가 155.5(±5.3)㎝로서 中身型(mesosome)에 속한다. 체형은 남녀 모두 하체에 비하여 상체가 긴 上體指數 54.7로서 長上體型(macrocormic)의 특징을 나타낸다. 骨格指數는 82.7로서 골격이 비교적 짧은 短骨格型(brachyskeletal)에 속한다, 한국인은 또 어깨폭이 넓은 廣肩型(broadshouldered), 팔이 짧은 短上肢型(short armed), 다리가 비교적 짧은 短下肢型(short legged)의 체형을 가지고 있다. 頭蓋容積은 평균 1,475cc로 비교적 큰 大頭型(aristocephalic)이다. 머리통의 길이(頭長)와 폭(頭幅)의 계측치에 의해서 산출된 머리통지수(頭指數)는 短頭型(brachycephalic)으로 몽골인과 비슷하지만, 중국인이나 일본인의 中頭型과는 구별된다. 얼굴의 길이(顔長)와 폭(顔幅)의 계측치에 의해서 산출된 얼굴지수(顔指數)는 廣顔型(euryprosopic)으로 몽골인과 비슷하고 중국인의 狹顔型과는 구별된다. 코의 높이(鼻高)와 폭(鼻幅)의 계측치로 산출된 코지수(鼻指數)는 中鼻型(mesorrhine)에 속하여 몽골인이나 일본인과는 비슷하지만 중국인의 狹鼻型과는 구별된다. 머리카락은 곧고 검은 색이며, 눈의 색깔은 흑갈색이다. 눈꺼풀이 겹쳐진 몽골눈과 둔부의 몽골반점도 한국인 신체 형질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한국인 신체 형질의 특징들은 겉으로 나타난 생물학적 표현형(phenotype)의 평균치로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체 형질의 특징들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환경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또 변화할 수도 있다. 실제로 한국인 신체 형질의 특징과 환경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1970년대에 농촌과 도시의 남녀 성인, 청소년, 어린이들에 대한 인체측정학적 조사를 통해서 도시화와 발육 및 체질적 특징과의 관계를 밝힌 연구 결과가 있다.020)權彛九,<都市化와 發育 및 體質的 특징>(韓相福 편,≪한국인과 한국문화:인류학적 접근≫, 심설당, 1982), 10∼24쪽. 이 연구는 한국의 농촌과 도시에서 한국인의 발육과 체질적 특징이 어떻게 다르고 그 차이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밝힐 수 있도록 환경의 요인들을 고찰의 범위 속에 포함시켰다. 연구의 자료는 임상학적으로 정상적인 한국인 4,012명의 형태학적 특징, 특히 이체 계측을 통한 계측치를 주로 이용하였다. 예컨대 신장 계측자료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남자의 경우 도시의 어린이가 같은 또래의 농촌 어린이보다 키가 평균 4㎝ 가량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도시와 농촌 사람들간의 발육 및 신체적 특징의 차이는 도시에서만 나타나는 환경의 요인들이 발육과 신체적 특징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개선된 영양과 보건, 의료, 위생 등이 환경의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같은 도시 안에서도 인구학적 요인과 사회ㆍ문화적 요인이 다름에 따라 학교 아동들의 신체적 성장과 발육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021)Sunyoung Pak, A Longitudinal Study of Growth, Maturation, and Functional Performance among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1995, pp. 85∼89. 본인의 출생 서열과 부모의 교육수준 및 가족의 사회경제적 조건들은 학교 아동들의 신장과 체중, 체량 등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 고등학생(15∼17세)의 신체 발육 상태가 지난 30년 동안 꾸준하게 향상되어 왔다는 보고도 있다.022)문화관광부,≪2001년도 청소년 백서≫(문화관광부, 2001), 제3부 제1장 제1절,<청소년의 체격>참조. 교육인적자원부가 매년 실시하고 있는 학생 체격검사 결과 2000년도 고등학교 남학생의 평균 신장은 171.90㎝(여자는 160.06㎝)로 10년 전인 1990년에 비해 3.29㎝(여 1.95㎝) 커졌고, 20년 전인 1980년에 비해서 6.7㎝(여 3.6㎝) 커졌으며, 30년 전인 1970년에 비해서는 8.4㎝(여 5.0㎝) 커졌다. 몸무게, 가슴둘레, 앉은키 등의 신체 발육도 크게 향상되었다. 그 원인은 국민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식생활, 보건, 위생 등의 국민복지 여건이 꾸준히 개선되어 청소년의 체격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