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Ⅱ. 신석기문화
  • 1. 신석기시대
  • 1)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시대설정

(1) 시대설정

 洪積世(更新世)의 빙하기가 끝나고 完新世(沖積世)가 되면 한반도는 온난화 현상이 일어난다. 이로 인해 해수면이 차차 높아지고, 새로운 동·식물이 번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홍적세의 빙하시대가 끝나고, 후빙기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정착생활을 시작한 한반도의 선주민이 남긴 문화가 바로 우리의 신석기문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신석기시대라고 하면, 후빙기 이후 새로이 습득한 식량공급수단, 즉 주로 원시농경(또는 목축)에 의한 식량생산경제를 배경으로 전개된 문화를 가리킨다. 그러나 후빙기 이후, 지역에 따라서는 농경이 실시되지는 않았으나 토기의 제작이나 마제석기와 같은 신석기문화의 특성을 갖춘 문화가 번성한 지역도 있다. 이런 지역에서는 토기에 커다란 비중을 두어 신석기시대를 규정하기도 한다. 우리 나라의 신석기시대도 이러한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즉 한국의 신석기시대는 홍적세 이후 最古의 토기군 출현부터 금속기의 사용 이전까지 주로 어로와 수렵·채집에 의한 식량공급을 배경으로 전개된 토기문화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쓰이는 것이다.

 이제까지 가장 오랜 연대를 보이는 토기는 강원도 오산리유적으로 기원전 6,000년까지 올라가고, 금속기의 사용은 기원전 1,000년경이기 때문에 약 5,000년간 존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구석기시대가 끝나는 기원전 10,000년 전후부터 신석기가 시작되는 기원전 6,000년 사이에는 관련유물이 발견되지 않아 공백기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최근 제주도 고산리에서는 그러한 공백을 메워줄 새로운 자료가 제시되었다. 그것은 제주도 고산리유적의 발굴결과로 채집된 6,500점의 석기와 토기파편들이다. 이 중에는 육지에서는 보기 어려운 삼각형 모양의 소형 돌화살촉이 404점이나 포함되어 있고, 무늬가 없는 갈색토기편 50여 점도 포함되어 있다. 더구나 화산재층으로 형성된 이 유적의 유물포함층 가운데 유물들은 한결같이 기카이(鬼界) 아카호야화산재층 아래에서 출토되고 있다. BC 6,800∼6,300년의 아카호야화산 폭발은 일본의 九州에서도 가장 강력했던 것으로, 그 재층은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쌓였던 것이 확인된다. 이 화산재는 우리 나라의 동해나 인도차이나 바닷속에서도 시추(Boring)한 결과 나타나고 있으며, 제주도에서도 발견되었던 것이 바로 그 화산재층이었다.

 일본 愛媛縣 上黑岩 6층에서는 고산리와 흡사한 돌화살촉과 갈색토기편이 다수 출토되었는데 방사성탄소 측정연대는 BP10,085±320으로 나왔다. 이처럼 고산리출토 유물류는 이제껏 한반도 본토와는 구분되는 문화양상으로 고산리연대는 적어도 우리 나라 최고의 강원도 오산리의 신석기 시작 이전부터 BP12,000년 사이의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보이는 소형 화살촉과 함께 나온 갈색토기류는 민무늬로 토기를 빚을 때 짚을 혼입한 흔적이 보인다. 이들은 한반도에서 정형화된 빗살무늬토기문화의 발생 이전에서 구석기시대가 끝나는 시기에 해당하는 문화요소로서, 이를 근거로「古新石器」단계를 새로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