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Ⅱ. 신석기문화
  • 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신석기유적의 분포
  • (2) 주요 신석기유적

가. 유적의 분포상태

 최근까지 확인된 우리 나라의 신석기시대 유적은 400여 개소에 이른다.423)韓永熙,<新石器時代>(≪韓國考古學의 半世紀≫, 韓國考古學會, 1995). 이 유적들은 대개 遺物散布地·포함층·패총 등의 형태로 남아 있고, 그 외에 동굴이나 분묘유적 등이 극소수 있다(<표 1>). 이 가운데 산포지는 아직 정식 발굴조사가 되지 않은 유물지표채집상태의 유적이므로, 이는 대개 포함층유적일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우리 나라의 신석기시대 유적은 대개가 패총과 포함층의 두 종류 속에 포함된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들 패총이나 포함층유적은 둘 다 그 곳에 집단취락이 형성되어 있었던 결과 남겨진 것이기 때문에 그 곳에는 반드시 주인공들의 주거지나 무덤과 같은 유구들이 남아 있게 마련이다.

 패총은 모두 육지의 해안지대나 섬지방에 남아 있다. 간혹 담수패총도 있을 수 있으나 아직 우리 나라의 경우는 본격적인 것이 알려진 예가 없다. 이와 반대로 포함층유적은 내륙지역의 강가에 주로 남아 있다. 그러나 동해안지역의 경우 울산 西生에서 함경북도 漁郞까지의 해안지역에는 지금까지 확인된 유적 모두가 포함층유적이다. 이러한 분포상황은 패총이 울산 서생 이서지역에서 평북 定州까지의 사이와 동해안지역 최북쪽인 두만강 하류에서 鏡城까지의 사이에만 형성되어 있는 점과 대비되어 주목된다. 아무래도 패총은 해안선이 복잡하고 섬이 많아 해양자원이 풍부한 남해안지역과 서해 중부 이남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내륙의 강이나 하천변에 살면서 포함층유적을 남긴 사람과 바닷가에 살면서 패총을 남긴 사람들의 생활은 식량자원과 그것을 구하는 방법의 차이 때문에 사는 방법이 달랐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같은 바닷가에 살면서 남해안과 서해안지역과는 달리 동해안지역에 살았던 신석기인들은 내륙 강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바닷가의 砂丘에 포함층유적을 남기고 있다. 이는 아마 동해안지역의 해양생태계의 특징과 관계가 깊으리라 생각된다.424)이기길,<우리 나라 신석기시대 주민들의 생계유형>(≪博物館紀要≫7, 단국대, 1991).

 지금까지 우리 나라의 신석기시대 유적은 주로 바닷가에서 많이 조사되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내륙지역의 유적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어 우리 나라 전역의 강이나 바닷가에는 어디든지 이 시대의 유적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매우 많아졌다.

 신석기시대 유적의 밀집지역은 대동강 중하류지역, 한강 중류 및 상류지역, 금강 상류지역, 낙동강 하류지역과 그 지류인 남강유역, 두만강 중류지역 등의 강유역과 서해 중부도서지역 및 남해안 전역, 선봉에서 청진 사이의 동해안 북부지역 등의 해안지역이다. 대개 이 시대의 유적은 큰 강과 그 주변지역에 밀집분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이 시대의 생활이 모두 물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 경상북도와 함경남도지역에는 확인된 신석기시대의 유적이 적어 거의 공백지역으로 남아 있다. 지금까지는 동해안의 지역적인 조건 때문에 이 시대의 유적이 없을 것이라고 판단해 왔다. 그러나 근래 강원도 강릉·양양지역 일대의 사구에서 신석기유적이 새로이 많이 조사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동해안 일대에도 다른 지방과 마찬가지로 신석기시대 유적이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이 지역의 바닷가에 형성되어 있는 사구를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유적 산포지 포함층 패 총 주거지 동 굴 분 묘 기 타
지역
자강도 2 2   2       6
평 북 6 4 1 2 1     14
평 남 12 3 2 4 5     26
황 북 2 1   3       6
황 남 7 1 4 1       13
경기도 30 14 23 3       70
충 남 4 3 3 3       13
충 북 16 4   1 4     25
전 남 · 4 34       1 39
전 북 1 2 10         13
제 주 3 2 1   1     7
경 남 13 7 35 2       57
경 북 3 2   1 1 1   8
강 원 24 5   4 1     34
함 남 1 1           2
함 북 42 14 9       1 66
양강도 6             6
172 69 122 26 13 1 2 405

<표 1>신석기시대 유적의 지역별·종류별 분포상황

韓永熙,<新石器時代>(≪韓國考古學의 半世紀≫, 韓國考古學會, 1995)에 의거 작성.

 앞의<표 1>에서 400여 개소의 유적 가운데 발굴이 이루어져 그 성격과 중요성이 알려진 유적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