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가. 조사현황

가) 북부지역

 지금까지 조사된 북부지역의 철기시대 집터는 두만강유역의 무산 호곡동·회령 오동·웅기 송평동 유적, 함경남도의 영흥 소라리유적 등에서 모두 23기가 발견되었다. 압록강유역의 시중 노남리·중강 토성리·영변 세죽리 유적 등에서는 7기가, 대동강유역의 북창 대평리유적에서는 9기가 발견되었다(<표 1>).


유적명
평면
형태
내 부 시 설 출 토 유 물 조사
연도
화 덕 기 타 토기류 철기류 기 타
회령
오동
1 장방형 무시설형 구덩이(150㎝×100㎝), 불탄흔적 꼭지형파수토기 철부, 鐵滓 숫돌, 방추자, 활비비추, 벽옥제반지, 동물뼈 1954

1955
무산
호곡동
21 장방형 위석형
무시설형
  흑색·갈색마연토기, 굽접시, 시루 철부, 철재, 철낫, 철조, 철편 청동환, 골침, 골추, 복골, 석부, 숫돌, 방추자, 어망추 등 1954

1955
웅기
송평
    터널형 온돌시설       1929

1931
영흥
소라리
1             1956
시중
노남리
2   터널형   흑색·갈색마연토기, 회색토기, 백색토기 철부, 철촉, 철조, 철추, 꺾쇠, 교구 청동촉, 천, 명도전, 오수전 1965
중강
토성리
2 장방형 터널형
위석형
  흑색·갈색마연토기, 회색토기 철재, 철편, 절도자, 철조, 교구, 철촉(도끼날) 석촉, 반월형석도, 어망추, 방추차 1960

1962
영변
세죽리
3 장방형
원형
터널형 화구로 추정되는 타원형 구덩이 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부, 철도자, 철착   1962

1963
북창
대평리
9 장방형 터널형 2호 집터에 아궁이 시설 적갈색토기, 갈색토기, 회색토기 철환, 철편, 철도자 방추차 1967

<표 1>북부지역 집터 조사현황

 북부지역의 집터는 대개 14.0∼55.0㎡의 규모를 보이고 있는데, 125㎡의 노남리 남파동 1호나 97.8㎡의 호곡동 17호와 같이 예외적으로 큰 것도 있다. 움의 깊이는 0.2∼0.9m로서 청동기시대에 비해 얕아지는 경향이 있다.0719)林永珍,<움집의 分類와 變遷>(≪韓國考古學報≫17·18, 1985).

 내부시설 중 화덕시설은 철기시대에 나타나는 외곬 혹은 ㄱ자형의 터널형이 많고 이보다 발전된 다곬형 화덕이 웅기 송평동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나) 중부지역

 한강유역에서 발견된 철기시대 집터로는 가평 마장리·이곡리, 춘천 중도, 하남 미사동, 서울 석촌동, 수원 서둔동, 횡성 둔내, 중원 하천리·지동유적 등을 들 수 있는데 조사된 집터의 수는 미사동유적을 제외하고 15기이다. 동해안에서는 양양 가평리와 명주 안인리유적이 있는데 조사된 집터의 수는 40여 기이다(<표 2>).


유적명
평면형태 내 부 시 설 출 토 유 물 조사
연도
화 덕 기 타 토기류 철기류 기 타
가평
마장리
1 말각장방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용도불명의 小片 석촉, 석도편, 석부, 숫돌, 방추차, 토관 1952
가평
이곡리
1 원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철편, 철도자편, 철제보습 마제석부, 반월형석도, 숫돌, 마제석촉, 타제석부, 어망추 1978
춘천
중도
2 말각방형,
방형
타원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넙적촉, 끌, 도자, 철겸, 장방형고리 철정, 용도 미상 철편 석봉, 연석, 마제석부, 어망추, 방추자, 관옥형토제품 1980

1982
하남
미사동
? 타원형,
말각방형,
장방형
(呂,凸)
아궁이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1988

1992
수원
서둔동
3 방형,
장방형
터널형 4호집터에서 불탄 서까래 발견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부, 철거, 철촉, 도자 볍씨자국이 새겨진 토기저부편 1979

1981
횡성
둔내
3 방형,
장방형
타원형 1호에 출입구시설, 2·3호에 불탄 서까래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흑도 도자, 철촉, 낫, 철정, 용도미상의 철편, 창끌, 굽은철 옥, 마제석촉, 마제석검, 숫돌방추차, 갈돌, 골각기, 탄화곡물, 조개 1983
양양
가평리
2 방형
터널형 1호에 작업재, 저장공, 2호에 숯기둥, 작업대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용도 미상 철편 방추차, 숫돌, 골촉 1983
명주
안인리
40 방형,
장방형
(呂,凸)
타원형
아궁이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흑도, 회색토기 철부, 도자, 용도미상의 철편 가락바퀴, 숫돌, 곡물류 1989

1990
중원
하천리
지동
2 방형
(呂,凸)
타원형 1·2호에 출입구 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연질토기 철부, 철겸, 가래, 도자, 철모, 괭이, 철정 어망추, 관옥, 연석, 숫돌, 방추차, 녹각 1983

1984
중원
하천리
3 장방형,
원형(凸)
위석형 1·3호에 출입구 시설 경질무문토기편, 타날문토기편 철촉, 용도 미상 철편 어망추, 숫돌, 석부, 석촉, 반월형석도, 방추차 1983

<표 2>중부지역의 집터 조사현황

 이들 집터 중에서 평면 형태는 원형·방형·말각방형·장방형 등이 있는데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장방형이 주류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명주 안인리·하남 미사동·중원 하천리유적의 경우는 呂자형 및 凸자형이 있어 주목된다.

 집터의 규모는 특수시설로 여겨지는 소형의 석촌동의 것을 제외해도 19.6㎡로부터 40.0㎡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둔내 1호 집터의 경우 154㎡나 된다. 움의 깊이는 0.3∼0.9m로서 약간 깊은 편이다.0720)林永珍, 위의 글.

 내부시설 중 화덕시설은 바닥에도 돌을 깔면서 주변에 돌이나 점토를 돌리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서둔동 집터에서는 ㄱ자형의 터널형 화덕이 발견되었고, 미사리유적에서는 화덕에서 발전된 부뚜막 시설도 나타난다.

다) 남부지역

 낙동강유역에서 발견된 철기시대 집터유적으로는 경주 황성동, 김해 부원동·봉황대, 거창 대야리, 합천 저포리 A·C지구, 삼천포 늑도유적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유적에서 발견된 집터의 수는 60여 기이다. 전라 남북도지역에서 발굴된 철기시대의 집터는 남원 세전리, 광주 오룡동, 승주 낙수리·대곡리, 보성 죽산리, 해남 군곡리, 벌교 척룡리 유적 등 모두 160여 기에 이른다(<표 3>).


유적명
평면형태 내 부 시 설 출 토 유 물 조사
연도
화 덕 기 타 토기류 철기류 기 타
남원
세전리
23 장타원형, 말각방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편 관옥, 다면옥, 곡옥 1985
광주
오룡동
24 방형 없음   적갈색연질토기, 회색연질옹, 시루편   방추차 1993
승주
대곡리
100
여기
원형, 타원형, 장방형, 방형, 말각방형, 말각장방형 무시설형
타원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도자, 철촉, 철편 석촉, 숫돌, 석검, 어망추, 방추차, 소옥 1986

1989
승주
낙수리
15 말각방형, 장방형 무시설형 도랑시설, 저장공, 단시설 타날문토기 철편 석촉, 숫돌, 방추차, 갈돌 1986

1987
보성
죽산리
4 원형, 말각방형, 타원형, 장방형 A-1호에 불탄 흔적 의 도랑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석촉, 방추차, 석부, 어망추, 환상석부, 검편 1989
해남
군곡리
2 원형 없음   경질무문토기 철도자 석촉, 어망추, 홈돌 1987

1988
경산
조영동
        파수부토기, 고배형토기 철기 어망추, 방추차삼각형석촉 1979
경주
황성동
20 말각방형, 원형, 타원형, 방형 무시설형   경질무문토기, 연질토기 철촉, 철겸, 철도자, 단조철부, 철착 돌끌, 숫돌 1990
김해
봉황대
20 타원형, 말각방형     타날문토기, 와질토기 철도자, 철재 숫돌, 골각기, 목제빗 1991
김해
부원동
A·C지구
6 원형,
타원형
타원형 A지구 1·2호사이에 저장공, C지구 1호 저장공, 구상유구 타날문토기   복골 1980
삼천포
늑도
11 장방형, 방형, 말각장방형 없음 1호에 저장공, 5호에 도랑, 12호에 斷面孤狀溝 경질무문토기 판상철부, 철도자, 철제낚싯바늘 어망추, 골촉, 골침, 첨두기, 작살, 석부 1985

1986
거창
대야리
5 타원형 U자형 16호에 원형구덩이 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어망추, 숫돌 1986

1988
합천
저포리
A·C지구
4 원형, 타원형 무시설형 1·2지구 각 1호에 저장공 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숫돌, 어망추, 방추차, 구슬 1987

<표 3>남부지역 집터 조사현황

 이들의 평면 형태는 원형·타원형·방형·장방형·말각장방형 등 다양하지만 타원형과 말각장방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집터의 규모는 10∼50㎡ 내외가 다수를 차지하며, 움의 깊이도 대체로 0.15∼0.6m 정도이다. 내부시설 중 화덕시설은 삼천포 늑도유적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집터에서 1개씩 발견되고 있는데 무시설형이 많다.0721)林永珍, 위의 글.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