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Ⅱ. 철기문화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2) 사회
  • (1) 사회구성

(1) 사회구성

 철기의 생산과 도구화가 사회의 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하기는 어렵다. 문헌기록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전쟁, 인구의 이동과 증가, 교역 등과 그 밖에 여러 면에서의 생업기술 발전 등이 철기 보급 못지 않게 사회변동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그러나 농기구와 무기가 철기로 만들어지면서, 농업생산력과 군사력이 크게 증대된 것만큼은 틀림없다. 그리하여 철기의 소유 정도가 개인 혹은 집단간에 실력의 차별을 가져오고 사회의 계층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보여진다. 또한 철기의 생산과 유통에 대한 통제력이 지배권력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1006)李賢惠,<삼한사회의 농업생산과 철제농기구>(≪歷史學報≫126, 1990), 46쪽. 나아가 한반도 여러 지역의 사회집단이 국가단계로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철기문화가 보급 확산될 즈음에 한반도 각지에 초기국가의 성격을 갖는 정치체가 등장하였음이≪三國志≫나≪三國史記≫초기 기록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다.1007)李鍾旭,≪新羅國家形成史硏究≫(一潮閣, 1982).
金貞培,≪韓國古代의 國家起源과 形成≫(高麗大 出版部, 1986).

 국가의 형성은 무엇보다도 최고 지배층의 출현과 그 권력의 성장, 그리고 계층화의 발전과 관련이 있다. 지배층의 성장을 고고학적으로 밝히려면, 적어도 그가 거주한 궁정지가 확인되고, 그 건물을 짓는데 필요한 인력과 재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1008)예를 들어 일반 가옥의 몇 백배가 넘는 인력이 동원되어야 지을 수 있는 궁정건물이 있을 때 왕의 존재를 쉽게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구성원의 계층분화도 가옥 배치상에 일정한 패턴이 확인되고, 각 가옥의 규모에 대해서 짓는데 필요한 인력이 여러 등급으로 서열화될 수 있을 때 추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성읍이나 촌락유적이 전면적으로 발굴된 예가 거의 없고, 다만 주검을 묻은 고분유적을 중심으로 지배층의 성장과 계층분화에 대해서 접근된 바 있을 뿐이다.1009)崔鍾圭,<무덤에서 본 三韓社會의 構造 및 特徵>(≪韓國古代史論叢≫2, 1991), 135∼158쪽.
李盛周,<1-3세기 가야 정치체의 성장>(≪韓國古代史論叢≫5, 1993).
삼국시대 고분의 계층화에 대해서는 金龍星,<慶山·大邱地域 三國時代 古墳의 階層化와 地域集團>(≪嶺南考古學≫6, 嶺南考古學會, 1989), 29∼58쪽 참조.
고분의 경우 일단 속세의 실제 사회관계를 직접적으로 반영한 것은 아닌 점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유물을 부장하는 행위 자체가 묻힌 사람에 대한 상징적 행위로서, 繼世思想을 반영하므로 생전의 신분과 지위를 연장하는 것으로 보아도 좋다. 또한 매장 형식과 그 규모, 그리고 군집 상태 등을 통해서도 묻힌 사람의 지위와 성격을 미루어 추정할 수 있다.

 철기문화의 보급은 그 규모와 시기적 완급이 한반도 각 지역마다 차이가 난다. 기원전 3세기경에 청천강 이북의 지역에서는 중국 燕나라 철기가 발달하였다. 대동강유역에서는 기원전 2세기 말 1세기 초부터 본격적으로 철기가 보급되었음이 이 지역의 여러 토광무덤에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기원전 1세기경부터 철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었는 바, 이러한 철기문화의 전개과정이 무덤유적을 중심으로 확인되고 있다.

 국가를 둘러싼 사회구성의 변천과정과 관련하여 검토의 대상이 되는 철기시대(초기 철기시대∼삼국시대 전기)의 주된 무덤 형식은 石槨墓, 木棺墓, 그리고 木槨墓가 있다. 이 몇 개의 묘제 형식은 상호 동시기에 공존하기도 하나, 대체적으로 시대적인 선후관계가 인정될 뿐만 아니라 부장품 등의 성격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

 남북한간의 지역적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석곽묘는 기원전 3∼2세기경 세형동검단계, 목관묘는 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경의 漢代 철기 유입단계, 그리고 목곽묘는 기원후 2∼3세기경의 단계로 크게 구분된다.1010)李淸圭,<細形銅劍의 型式分類 및 그 變遷에 대하여>(≪韓國考古學報≫13, 1982). 이를 각각 Ⅰ기, Ⅱ기, Ⅲ기로 하여 각 단계의 지배층의 성격과 계층화 양상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