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Ⅱ. 신라의 융성
  • 2. 정치체제의 정비
  • 1) 배경
  • (2) 사회의 변동

(2) 사회의 변동

 이상에서 신라사회가 4∼6세기에 들어가면 광범위한 철제 농기구와 우경의 보급, 수리시설의 확충 그리고 새로운 작물의 재배 등을 통해 농업생산력이 급격히 발달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농업생산력의 발달은 생산물의 증가와 함께 여러 가지로 사회적인 변화를 유발하였다고 생각된다.

 먼저 1차산업인 농업의 발달은 잉여생산물의 증가로 상업과 수공업의 발달을 유발하였을 것이다. 소지마립간 12년(490)에 처음으로 경주에 시장을 개설하여 사방의 물화를 유통하게 하였으며,156)≪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소지마립간 12년. 지증왕 10년(509)에는 東市를 개설하고 아울러 이를 관할하는 東市典이라는 관청을 설치하고 있다.157)≪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지증마립간 10년 정월. 시장이 개설되고 이를 관리하는 관청이 신설된다는 것은 상업이 발전하여 국가에서 관리하지 않으면 안될 정도로 그 규모가 커졌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상업의 발달과 아울러 도로망과 운송수단의 정비도 필요하였을 것인데, 눌지마립간대에 牛車의 사용법을 널리 알려 물자의 수송을 편하게 하였다는158)≪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눌지마립간 22년. 기록을 통해 당시 인력에만 의존하던 운송수단이 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바뀌지 않으면 안될 정도로 유통물량이 증가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 지증왕 6년에 선박의 이로움을 권장하였다는159)≪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지증마립간 6년.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운송수단의 변화에는 반드시 도로망의 정비가 필요하였을 것인데, 소지마립간 9년(487)에 사방에 郵驛을 설치하였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160)≪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소지마립간 9년 3월.

 그리고 이렇게 상업과 운송이 발전하면서 자연히 수공업도 함께 발전하였을 것이다. 당시의 수공업의 발전상은 4∼6세기의 적석목곽분의 화려한 부장품을 통해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비단 왕실뿐만이 아니라 사회적 분업화가 진행되면서 보다 전문적으로 농기구 제작 등을 비롯한 수공업에 종사하는 계층이 증가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161)朴南守,<신라의 성장과 수공업경영형태>(≪新羅手工業史≫, 신서원, 1996), 31∼60쪽.≪삼국유사≫에 전하는 석탈해의 설화에서 그가 대대로 冶匠집안의 출신임을 말하고 있음으로 보아162)≪三國遺事≫권 1, 紀異 2, 第四脫解王. 야철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은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등장하였으며, 광범위한 철제 농기구의 보급은 더욱 이러한 추세를 부추겼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제적 발전과 함께 당시 수도인 경주의 인구도 상당한 증가를 보여 수도의 규모가 확장되었다. 자비마립간 12년(469)에 서울의 坊里 이름을 제정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163)≪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자비마립간 12년 정월. 경주의 도시화가 이 시기에 급격한 진전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지방에도 지증왕 15년에 阿尸村에 처음으로 小京이 설치되었는데,164)≪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지증마립간 15년 정월. 아시촌의 위치는 확실치 않으나 지방도시의 성장을 보여 주는 자료임에는 틀림없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경주와 지방도시의 성장은 사회적 분업이 진전되면서 농촌사회에서 이탈한 계층들이 수공업 등에 흡수된 결과로 보이지만, 여기에는 자연적인 인구증가의 영향도 있었을 것이다. 당시의 인구 변동에 대하여는 이를 구체적으로 증명할 만한 자료는 없으나, 농업생산력의 획기적 발전은 당연히 절대인구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이며, 많은 인력 동원이 필요한 대규모의 고총고분의 등장은 이를 간접적으로나 증명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전반적인 사회상황의 변화로 인해 읍락사회도 적잖은 변화의 과정을 겪었을 것임은 쉽게 추측된다. 우선 철제 농기구와 우경의 보급은 이전의 집체적인 농업경영을 점차 개별적이고 家戶를 단위로 한 방식으로 전환시켜, 기존의 농촌공동체가 급속히 와해되었을 것이다.165)全德在, 앞의 글, 16∼50쪽. 그리고 철제 농기구가 일부 계층에 독점됨으로 인해, 새로운 농업기술과 우수한 철제 농기구나 소 등을 보유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농민들 사이에 빈부의 차가 확대되어 계층분화가 확대되었을 것이다.166)全德在, 위의 글, 33∼40쪽.
李賢惠, 앞의 글, 69∼77쪽.
일부 계층 중에는 스스로 몸을 팔아 노비로 전락하는 자도 있었을 것이고, 더러는 수공업에 흡수되기도 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농촌사회의 계층분화는 이전의 공동체적 결속력을 현저히 약화시켜 중앙의 권력이 지방사회에 침투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 주었을 것이다. 5세기 이후 경상도지역의 소국의 수장들이 사용하던 금동관이 신라국가의 금관과 똑같은 出字形 立飾으로 획일화되는 것은 바로 신라세력이 이들 소국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한 결과일 것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충분한 것이다.167)全德在,<新羅 州郡制의 成立背景 硏究>(≪韓國史論≫22, 서울大, 1990), 37∼45쪽. 그리고<迎日 冷水里碑>에 節居利라는 외위를 소지하지 않은 개인에게 갈문왕 이하의 중앙 고위관직자들이 함께 판결을 내려 특정한 재산의 소유를 증명하고 있는 것은 부의 축적을 통한 계층분화와 새로운 지배계층의 등장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신라의 중앙집권력은 더욱 공고히 되었으며 과거 소국의 지배자들은 신라의 중앙집권체제에 편입되고 그 지역들은 주나 군으로 재편되었던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