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Ⅱ. 신라의 융성
  • 2. 정치체제의 정비
  • 3) 지증왕대
  • (1) 지증왕의 등장

(1) 지증왕의 등장

 신라가 중앙집권적인 귀족국가로서의 체제를 갖추기 시작하는 것은 지증왕대의 일이다. 500년 내물왕의 직계인 소지마립간이 죽은 뒤 왕위는 그 방계혈통인 지증왕으로 이어졌는데, 그의 왕위계승은 그렇게 순조롭지만은 않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우선≪삼국사기≫에 의하면 그는 내물마립간의 손자인 習寶葛文王의 아들로 전왕인 炤知의 再從弟로 되어 있으나,185)≪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지증마립간 4년.≪삼국유사≫에는 내물마립간의 손자로 되어 있어 소지의 再從叔이 된다.186)≪三國遺事≫권 1, 王曆 1. 이 두 기록 중 어느 것이 옳은 것인지 단정할 수 없으나,187)지증왕은 즉위시의 나이가 64세였으므로 소지왕과 같은 세대로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三國遺事≫의 기록이 옳지 않을까 생각된다(李基東,<新羅 奈勿王系의 血緣意識>,≪歷史學報≫53·54, 1972;≪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一潮閣, 1984, 63∼74쪽). 그의 혈통이 내물왕의 방계로 왕위계승의 제1후보자가 아니었던 것만은 틀림없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영일 냉수리비>에 의하면 503년 계미년에 그는 갈문왕의 직함을 사용하고 있었음이 확인되는데,≪삼국사기≫에 의하면 이 해는 그의 재위 4년째 되는 해인 것이다. 그렇다면 그는 실질적으로 왕위를 계승한 지 4년이 되도록 정식의 왕(寐錦王)이 되지 못하고 갈문왕이란 칭호를 사용하고 있었음에 틀림없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 볼 때 그의 왕위계승은 정상적인 것은 아니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188)文暻鉉,<迎日 冷水里 新羅碑에 보이는 部의 性格과 政治運營問題>(≪迎日 冷水里 新羅碑(가칭)의 綜合的 檢討≫, 한국고대사연구회, 1989), 57쪽.
李喜寬,<新羅上代 智證王系의 王位繼承과 朴氏王妃族>(≪東亞硏究≫20, 西江大, 1990), 74쪽.
아마 그가 왕이 된 데는 왕비족인 박씨의 후원에 힘입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후 진지왕대에 이르기까지는 박씨가 왕비족으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지증왕의 등장은 내물왕의 직계손이 독점하고 있는 권력에 대해 그 방계인 지증계와 박씨족 연합세력의 도전이 성공한 것이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189)李喜寬, 위의 글, 75∼78쪽.

 이렇게 하여 새로이 등장한 지증왕은 그 이후 중고왕실의 실질적인 시조가 된다는 점에서 신라정치사에 있어서 커다란 의미를 갖는 것이다.≪삼국사기≫에 지증왕대에 처음으로 신궁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이것이 비록 사실은 아니라 할지라도190)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神宮의 설치에 대해≪삼국사기≫신라본기에서는 소지마립간 9년의 일로 기록하고 있는데 반해, 祭祀志에는 지증왕대의 일로 기록하고 있다. 지증왕대의 새로운 왕계의 형성과 관련되어 생각할 수 있다. 즉 지증왕대에 이르러 그 이전과는 달리 그들 가계의 직접 조상들을 신궁에 새로이 배향하였을 것이고, 이에 따른 새로운 의례라든가 제의의 성대함이 후대에 기억될 만큼 의미있는 것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