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8권 삼국의 문화
  • Ⅰ. 토착신앙
  • 1. 고구려의 토착신앙
  • 1) 천신신앙

1) 천신신앙

 고구려에서 하늘(天神)에 대한 신앙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알 수 있는 기록은≪三國志≫魏書 東夷傳,≪三國史記≫祭祀志,≪東國李相國集≫東明王篇,<廣開土王陵碑>등을 들 수 있다.

 ≪동국이상국집≫동명왕편과<광개토왕릉비>에는 고구려가 天帝의 자손임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삼국지≫위서 동이전에는 고구려의 제천의례인 東盟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10월에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나라의 큰 행사로 이름을 동맹이라 한다. 그 공적인 모임에는 의복을 모두 비단과 금은으로 장식하여 입는다. 大加와 主簿는 모두 幘을 쓰는데 (중국의 책과) 같기는 하지만 뒤로 늘어뜨리는 부분이 없으며, 小加는 折風을 쓰는데 모양이 고깔과 같다. 나라의 동쪽에 큰 굴이 있어 隧穴이라 하는데 10월 國中大會 때 隧神을 모셔다가 나라 동쪽의 위에서 제사를 지내며 나무로 만든 수신을 신좌에 모신다. 감옥은 없으며 죄가 있으면 제가가 의논하여 문득 죽이고 처자를 몰입하여 노비로 삼는다(≪三國志≫권 30, 魏書 30. 東夷, 高句麗).

 10월에 제천의례를 행하는데 그 제의는 거국적인 대회이며 그 제의의 이름은 동맹이라 하였다. 이 동맹이란 제의명은 고구려의 건국자 동명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제의는 제천의례이면서 또한 국조신에 대한 제의로서 양면성을 가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천의 자손인 동명에 대한 제사의례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제천대회는 공회로서 국가의 공식적인 의례이며 단순한 민속행사가 아닌 것이다. 아울러 그 공회에 참석할 때 의복을 모두 비단과 금은으로 장식하여 대단히 화려하게 의례를 거행하였다. 따라서 이 의례는 지배계층의 의례라고 볼 수 있다. 모자를 쓰는데 대가와 소가가 차별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복장의 차별성은 바로 고구려 지배층 내부의 계층성이 매우 확연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국왕이 제의를 주관함으로써 왕권의 위엄을 보여 수직적인 지배구조를 과시하는 것이다. 제천의례를 행하는데 수혈에서 신을 맞이하여 神木을 만들어 제사를 지내는 것은 맞이굿·오구굿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006)金宅圭,≪韓國民俗文藝論≫(一潮閣, 1980), 22∼32쪽. 수혈의 유적이 지금 集安市 下解放村 산중턱에 通天洞과 國洞大穴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007)鄭永鎬,<高句麗의 東盟과 그 遺蹟>(≪于江權兌遠敎授停年紀念論叢≫, 1994), 7∼9쪽. 東盟은 산위의 통천동과 국동대혈에서 왕과 귀족들의 제례로 시작하여 산아래에 일반민들이 모여 가무를 즐겼다고 생각한다.008)申瀅植,≪集安 高句麗遺蹟의 調査硏究≫(國史編纂委員會, 1996), 167∼169쪽. 제사의례 중에 재판과 형벌이 집행된 경우는<부여전>과 신라의 금석문에서도 볼 수 있다. 종교적인 축제에 범죄자를 재판하는 것은 재판이 神에 의해서 행해진다는 신앙에 뿌리를 두는 것임을 인류학의 지식에 비추어서 알 수 있다.009)李基白,<韓國 古代의 祝祭와 裁判>(≪歷史學報≫154, 1997), 22∼27쪽. 이것은 제의가 규범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다.010)崔光植,≪韓國古代의 祭儀 硏究≫(高麗大 博士學位論文, 1990), 40쪽. 이처럼 제천의례는 종교적인 행사일 뿐만 아니라 지배이데올로기적 성격을 갖고 있던 것이다.

 ≪三國史記≫祭祀志에서는 고기를 인용하여 제천의례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고기에 운운 … 고구려에서는 항상 3월 3일에 낙랑의 언덕에서 모여 돼지와 사슴을 잡고 하늘과 산천에 제사하였다(≪三國史記≫권 32, 志 1, 祭祀).

 ≪삼국지≫위서 동이전에서는 10월에 제천대회를 하였다고 하였는데≪삼국사기≫제사지에서는 3월 3일에 제천의례를 행하였다고 하였다. 그 제사 지내는 날을 볼 때 중국문화의 영향이 엿보이는데 돼지와 사슴을 잡는 희생의례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하늘과 더불어 산천에 함께 제사를 지낸 것을 알 수 있다. 장천 1호분은 그림의 내용이 제천의례의 모습을 담고 있다. 사냥하는 모습은 제사에 필요한 犧牲을 잡기 위한 것이며, 나무를 중심으로 사람들이 모여 있는 것이 바로 제의를 행하는 모습이며, 춤추는 모습도 제의 과정의 하나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