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8권 삼국의 문화
  • Ⅰ. 토착신앙
  • 2. 백제의 토착신앙
  • 1) 천신신앙

1) 천신신앙

 백제에서도 천신에 대한 숭배가 초기부터 이루어져≪삼국사기≫제사지에서는 중국의 각종 문헌을 인용하여 기술하고 있다.

 먼저≪冊府元龜≫를 인용하여 백제의 제사의례를 논하고 있다.

책부원구에 가로되 백제에서는 사계절의 가운데 달에 왕이 하늘(天)과 五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그 시조 仇台의 廟를 國城에 세워 해마다 네번 지냈다(≪三國史記≫권 32, 志 1, 祭祀).

 이 기록을 통하여 백제에서는 왕이 하늘에 해마다 네번 제사지낸 것을 알 수 있으며 제천의례가 가장 중요하였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5제의 신과 시조 구태묘보다도 가장 먼저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5제의 신과 함께 제의가 이루어진 것을 볼 때 중국문화의 영향이 깊이 침투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측 기록이기 때문에 기록한 사람의 중국적 개념화의 영향일 수도 있다 하겠다.

 <古記>를 인용한 다음의 기록은 천지신에 대한 제사일시가 기록되어 있다.

고기에 가로되 온조왕 20년 봄 2월에 단을 설치하여 천지신에 제사하였다. 38년 겨울 10월, 다루왕 2년 봄 2월, 고이왕 5년 봄 정월, 10년 봄 정월, 14년 봄 정월, 근초고왕 2년 봄 정월, 아신왕 2년 봄 정월, 전지왕 2년 봄 정월, 모대왕 11년에도 이와 같이 하였다(≪三國史記≫권 32, 志 1, 祭祀).

 온조왕 20년(A.D. 2) 2월에 단을 설치하여 천지신에 제사지내고, 38년에도 이에 제사를 지냈다. 그 뒤 다루왕 2년(A.D. 29)에도 제사를 지냈다. 고이왕 때에는 5년(238) 정월, 10년 정월, 14년 정월 등 3회에 걸쳐 제사를 지냈다. 그리고 근초고왕 2년(347) 정월, 아신왕 2년(393) 정월, 전지왕 2년(406) 정월, 모대왕 11년(489) 10월에도 위와 같이 제사지냈다.

 다루왕·근초고왕·아신왕·전지왕 때에 제사를 지낸 해가 신왕 즉위 다음해이므로 즉위의례적 성격이 강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온조왕 때의 제사나 고이왕 때의 제사, 모대왕 때의 제사는 즉위의례로 볼 수가 없다. 한편 제사의례가 행해진 달(月)을 보면 대부분이 정월이나 2월이다. 이것은 그 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기풍제적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외 온조왕 38년이나 모대왕 11년에는 10월에 제사의례가 행해졌는데 이것은 삼한의 10월제와 같은 시기로 농경을 마치고 수확의례적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겠다.

 ≪삼국사기≫백제본기를 보면 제의에 대해 보다 상세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온조왕 20년에 대단을 설치하여 천지에 제사를 지냈는데 신이한 새 다섯 마리가 날라왔다고 한다. 천신과 새는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조 온조왕 때에는 동명묘와 국모묘, 천지에 대한 제사가 따로따로 행해졌다. 그런데 그 다음 왕인 다루왕대에는 동명묘와 천지에 대한 제사가 같은 해에 행해졌다. 한편 기루왕대·개로왕대·근초고왕대 등 약 200년간에는 시조 동명묘와 천지에 대한 제사기록이 보이지 않다가 구수왕 15년(227)에 동명묘에 대한 제사가 보이고, 다음 고이왕 5년 정월에 천지에 제사를 지냈는데 鼓와 吹를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것은≪삼국지≫한전을 보면 제천대회 때 소도에 대목을 세우고 방울과 북을 달았는데 이와 유사한 모습이다. 비류왕 10년(313) 정월에도 천지에 대한 제사가 남교에서 행해졌다는 기록이 있어 중국의 교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왕이 친히 희생의례를 행하였는데 제사의례에서 희생의례가 중요한 것은 최근 발견된<울진봉평신라비>나<영일냉수리신라비>에서 확인되었다. 어떤 짐승을 사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은데 온조왕대 기록을 보면 사슴(鹿)을 희생으로 하였다. 한편 근초고왕대 이후에는 천지신에 대한 제사와 함께 중신의 임명기사가 보인다. 그런데 법왕 2년(600) 기우 기사는 백제에서의 제의와 불교와의 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즉위 다음해 동명묘와 천지에 제사를 지내지 않고 사찰에서 비가 오기를 빌었다. 이것은 시조묘 제사나 천지신 제사보다 불교의례가 중요시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