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8권 삼국의 문화
  • Ⅳ. 문학과 예술
  • 8. 음악
  • 2) 삼국시대의 음악문화
  • (3) 가야와 신라

가. 가야의 가야금과 우륵의 12곡명

 지리적으로 대륙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신라는 삼국 중 가장 늦게 국가체제를 갖추었고, 따라서 음악문화도 고구려와 백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빈곤할 수밖에 없었다. 다행히 신라와 이웃한 가야의 가야금을 수용함으로써 신라가 새 음악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으므로, 먼저 가야금의 내력에 대한≪삼국사기≫악지의 기록을 제시하는 것이 순리적이다.

⑧ 加耶國 嘉實王이 唐나라 樂器를 보고 만들었는데, 王이 ‘여러 나라의 方言이 각기 다르니 聲音을 어찌 일정하게 할 것이냐’ 하며 省熱縣人인 樂師 于勒에게 명하여 十二曲을 짓게 하였다. 그 후 우륵이 그 나라가 어지럽게 되므로 樂器를 가지고 新羅 眞興王에게로 歸化하니, 王이 받아들여 國原에 편안히 거처하게 하고, 大奈麻 注(法)知·階古와 大舍 萬德을 보내어 그 業을 傳受하게 하였다(≪三國史記≫권 32, 志 1, 樂).

 흔히 가야고라고 부르던 가야금은 ⑤에서 제시했듯이 변진의 瑟처럼 생긴 고대 현악기를 嘉實王이 조금 고쳐서 만들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낙동강 주변의 변한 땅에서 건국된 가야는 틀림없이 변진의 고대 현악기를 전승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가실왕이 개조했다는 가야금은 신라 토우 및 正倉院에 보관된 新羅琴에서 볼 수 있듯이 羊耳頭의 장방형으로 만든 현행 法琴 또는 풍류가야금처럼 생겼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만들어진 가야금을 위해서 가실왕이 于勒에게 새로운 악곡을 짓도록 명령했고,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이≪삼국사기≫악지에 기술되었다.

⑨ 于勒이 지은 十二曲은, 一은 下加羅都, 二는 上加羅都, 三은 寶伎, 四는 達己, 五는 思勿, 六은 勿慧, 七은 下奇物, 八은 師子伎, 九는 居烈, 十은 沙八兮, 十一은 爾赦, 十二는 上奇物이라 한다. 泥文이 지은 三曲은, 一은 烏, 二는 鼠, 三은 鶉이다(≪三國史記≫권 32, 志 1, 樂).

 우륵의 12곡명 중에서 下加羅都는 경남 咸安지방의 이름으로 밝혀졌고, 上加羅都는 경북 高靈지방의 이름으로, 達己는 경북 예천군 多仁지방명으로, 思勿은 경남 泗川지방명으로, 勿慧는 경남 함안군 利安지방명으로, 下奇物과 上奇物은 경북 금릉군 開寧지방명으로, 居烈은 경남 居昌지방명으로, 沙八兮는 경남 합천군 草溪지방명으로 각각 밝혀졌다.633)梁柱東,≪古歌硏究≫(一潮閣, 1965), 30∼31쪽·597∼598쪽 참조. 樂師 우륵이 지었다는 12곡명은 현재의 경상도 낙동강 지역의 함안·다인·개령·고령·초계·이안지방의 옛 지명으로 밝혀졌으므로, 12곡들은 향토색이 짙은 그 지방의 민요를 가야금반주의 성악곡으로 편곡한 악곡으로 풀이되고 있다.

 신라에 투항한 우륵이 지금의 충주지방인 國原에 머물면서 階古에게는 가야금을, 法知에게는 노래를, 그리고 萬德에게는 춤을 각각 가르쳤다는 사실634)≪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진흥왕 13년.에 의거하면, 우륵은 가야금으로 노래와 춤을 반주하는 소위 樂·歌·舞의 총체적인 공연활동에 능통했음이 확실하다. 노래와 춤 곧 가무는 신라의 고대사회 여러 지방에서 연주되던 토속적인 음악이었고, 우륵이 그런 가무에 가야금 반주를 곁드려서 새로운 차원의 음악으로 발전시켰던 것이다.

 가야의 멸망 이후 가야금이 이렇게 우륵에 의해서 신라사회에 수용됨으로써, 신라음악사는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신라사회에서의 가야금 수용은 음악사적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그 이유는 대략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만약 가야금이 신라땅에 수용되지 못했다면, 첫째로 삼국통일 이후 향악의 중요한 三絃이 성립될 수 없었을 것이고, 둘째로 신라악사와 악생들이 일본에서 新羅琴(시라기고토)이라는 이름으로 국위를 선양하지 못했을 것이며, 셋째로 오늘날까지 대표적인 전통 현악기의 하나가 역사무대에서 영원히 사라졌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